싱그러운 봄내음과 함께 찾아온 고사리철 4월.
소를 키우는 구좌읍상도리축산계장 정공삼(49)은 고사리철이 반갑지 않다.
고사리를 꺽는 이들과 오름을 찾는 탐방객들이 무심코 버린 비닐,고무장갑등 나일론쓰레기가 자식처럼 키운 송아지의 목숨을 앗아 가기 때문이다. 해마다 소주인들은 비상대책회의를 열어 목장에 버려진 비닐쓰레기 수거에 온힘을 쏟는다.
죽음에 이른 송아지를 수의사가 부검하여 위에서 비닐이나 고무장갑을 꺼내 보일 때 정공삼계장은 분통이 터진다.
소들은 생리적으로 몸에 필요한 무기물이나 전해질섭취 방법으로 쇠붙이나 비닐,고무제품쓰레기를 맛나게 먹는 습성이 있다.
오래전 고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이 판문점을 통하여 북한으로 몰고 간 소때들이 숨을 거두었을 때 위속에는 예외없이 나일론끈,비닐등 고무제품쓰레기가 발견되었다.
이는 바다를 매립하여 조성한 서산목장에서 흙속에 묻혀있던 나일론쓰레기를 섭취한것으로 밝혀졌다.
고사리를 채취하는 제주의 중산간 들력에는 60여개의 마을공동목장이 있고 용눈이오름,동검은오름,아부오름,지그리오름 등 많은 오름들은 목장안에 자리하고 있다.
요즘 소를 키우는 축산인들은 사료값 폭등과 송아지값 하락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모든 지역에는 소브루셀라병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지만 2003년에 선포된 소전염병 청정지역 제주산 소들을 다른 지방으로 실어 나르는 우상들이 앞다투어 제주를 찾고 있다.
축산인들이 지켜낸 소전염병 없는 청정제주특별자치도, 그들의 노고를 기억하자.
정공삼축산계장을 비롯한 제주의 축산인들은 고사리를 꺽는 이들과 오름탐방객들에게 절규한다.
제발 비닐 고무장갑등 나일론쓰레기를 목장에 버리지 맙써. 우리 송아지 살려 줍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