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화재 없는 안전한 추석을 위하여
2023-09-21 15:47
제주소방서 이도119센터 김형남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다가오는 추석 명절에는 고향에 계신 부모님과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추석을 맞아 고향에 내려가 가족과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려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추석 연휴는 화재 발생률이 높은 시기이기도 하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연휴 기간 동안 발생한 화재는 총 1,894건으로, 연평균 379건에 달한다. 특히, 주택화재는 전체 화재의 64%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택화재는 단독주택이나 다가구주택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이 용이한 반면, 단독주택이나 다가구주택은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초기 진압이 어렵기 때문이다.

주택 화재에서 가장 큰 피해는 인명피해이다. 주택화재의 90% 이상은 화재 발생 초기에 발생한다. 화재 초기에 대처하지 못하면 유독가스를 흡입하여 질식하거나, 화상을 입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주택용 소방시설은 화재 초기에 대처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주택용 소방시설은 크게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소화기로 구성된다.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울려 화재 발생을 알려주고, 신속한 대피를 유도한다. 소화기는 화재 초기에 직접 진압할 수 있는 소방 장비이다.

주택용 소방시설은 인터넷 쇼핑몰과 대형마트 등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설치 비용보다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훨씬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경제적인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주택용 소방시설은 화재로부터 가족의 안전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이번 추석에는 고향에 계신 부모님께 주택용 소방시설을 선물해 보자.

No 제목 이름 날짜
N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홈커밍데이 개최  ×1[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04-05
N (사)제주YWCA 디지털성범죄특화상담소, 통합상담소 3·8 여성의날 맞이 캠페…  ×2[4] 진애령 03-07
N ‘그린워싱’주의하세요! -올바른 친환경 인증 마크를 확인하자  ×1 ×1[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민희 09-26
3593 [기고] 제주 바다에 일렁이는 플로깅 물결  ×1 양세하 12-09
3592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사)서귀포YWCA 12-08
3591 < 2023 강연소감 기록>세계시민강좌 [세계적인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 특별…  ×2 홍수경 12-07
3590 (사)제주YWCA 고미연 회장, ‘제 28회 소비자의날’ 기념식 대통령 표창 수상  ×1 (사)제주YWCA 12-07
3589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예래동 찾아가는 복지상담소 운영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2-06
3588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연 12-04
3587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연 12-04
3586 피어나리다함께돌봄센터‘함께하는 김장 김치’ -김장김치 담그기&주변이…  ×2 피어나리 다함께돌봄센터 12-01
3585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찾아가는 복지 상담소 운영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1-30
3584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자립지원관”, “탑동 365일 의원”과 MOU 체결  ×1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자립지원관 11-30
3583 별장 중과세 일반과세로 도내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1 고종필 11-30
3582 포지티브 임팩트 메이커즈, 서부종합사회복지관에 심폐소생술도우미키트 2…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1-29
3581 감귤산업 상생을 위한 비규격 감귤 시장유통 근절 절실  ×1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감귤관리팀 이장 11-29
3580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운영위원회 개최  ×1 서귀포YWCA 11-28
3579 청년 맞춤형 정책 전달체계(청년이어드림) 시범운영 추진   ×1 김신관 11-28
3578 반디지역아동센터 창작연극 ‘우리는 연극배우다 LEVEL UP’ 발표회 진행  ×1 반디지역아동센터 11-27
3577 눈 속의 안전한 여정, 겨울의 한라산을 향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7
3576 거꾸로 환경 정책이 불러온 제주 내 일회용품 규제 휘청 잇따라...  ×1 강지윤 11-26
3575 기후변화로 사라지고 있는 특산품  ×1 김찬우 11-25
3574 전파분야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전파측정 기술교육 특강  ×1 오철종 11-24
3573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청소년복지시설 숏폼 영상 공모전 수상  ×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11-22
3572 전기자전거, 제주의 새로운 길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