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숨겨진 위험, 심정지로부터 안전하게!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이유"
2023-09-19 14:12
구좌119센터 소방사 고은주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가을의 선선한 바람과 함께 다가오는 건강 위험에 대해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 한 해 중 가장 아름다운 시기로 알려진 가을은, 놀랍게도 급격한 일교차로 인한 심정지 환자의 증가로 큰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위험 상황에서 목격자의 심폐소생술은 결코 간과될 수 없는 중요한 요소다.

심정지는 우리 일상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심정지 초기 4분은 환자의 뇌 손상을 막기 위한 '골든타임'이다. 이 시간 동안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비가역적인 뇌손상이 나타나며, 생명의 위험이 증가 할 수 있다. 이 중요한 순간에, 현장의 목격자는 바로 생명을 구하려는 '구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특히, 대부분의 심정지는 생각보다 가장 친숙한 공간, 가정에서 발생한다. 이는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우리 가족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필수 사항임을 알 수 있다. 심폐소생술은 직장 및 학교, 온라인 매체에서 받은 교육만으로도 여러분들이 충분히 시행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심폐소생술을 올바르게 시행할 수 있을까? 우선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119로 신고, 그 후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만약 인공호흡에 대한 불편감을 느낀다면 가슴압박만으로도 충분하다.

결과적으로, 심폐소생술은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는 생명을 구하는 기술이다. 가을의 건강 위험을 대비하여, 이 방법을 배우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전파하는 것이 어떨까? 가을의 아름다움을 더욱 안전하게 즐기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N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홈커밍데이 개최  ×1[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04-05
N (사)제주YWCA 디지털성범죄특화상담소, 통합상담소 3·8 여성의날 맞이 캠페…  ×2[4] 진애령 03-07
N ‘그린워싱’주의하세요! -올바른 친환경 인증 마크를 확인하자  ×1 ×1[2]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민희 09-26
3593 [기고] 제주 바다에 일렁이는 플로깅 물결  ×1 양세하 12-09
3592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사)서귀포YWCA 12-08
3591 < 2023 강연소감 기록>세계시민강좌 [세계적인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 특별…  ×2 홍수경 12-07
3590 (사)제주YWCA 고미연 회장, ‘제 28회 소비자의날’ 기념식 대통령 표창 수상  ×1 (사)제주YWCA 12-07
3589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예래동 찾아가는 복지상담소 운영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2-06
3588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연 12-04
3587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연 12-04
3586 피어나리다함께돌봄센터‘함께하는 김장 김치’ -김장김치 담그기&주변이…  ×2 피어나리 다함께돌봄센터 12-01
3585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찾아가는 복지 상담소 운영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1-30
3584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자립지원관”, “탑동 365일 의원”과 MOU 체결  ×1 제주특별자치도청소년자립지원관 11-30
3583 별장 중과세 일반과세로 도내 지역 경제 활성화 기대  ×1 고종필 11-30
3582 포지티브 임팩트 메이커즈, 서부종합사회복지관에 심폐소생술도우미키트 2…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1-29
3581 감귤산업 상생을 위한 비규격 감귤 시장유통 근절 절실  ×1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감귤관리팀 이장 11-29
3580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운영위원회 개최  ×1 서귀포YWCA 11-28
3579 청년 맞춤형 정책 전달체계(청년이어드림) 시범운영 추진   ×1 김신관 11-28
3578 반디지역아동센터 창작연극 ‘우리는 연극배우다 LEVEL UP’ 발표회 진행  ×1 반디지역아동센터 11-27
3577 눈 속의 안전한 여정, 겨울의 한라산을 향해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7
3576 거꾸로 환경 정책이 불러온 제주 내 일회용품 규제 휘청 잇따라...  ×1 강지윤 11-26
3575 기후변화로 사라지고 있는 특산품  ×1 김찬우 11-25
3574 전파분야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전파측정 기술교육 특강  ×1 오철종 11-24
3573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청소년복지시설 숏폼 영상 공모전 수상  ×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11-22
3572 전기자전거, 제주의 새로운 길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