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아시나요?
2023-05-01 21:00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매년 4월 5일은 식목일이다. 이는 육지의 환경, 대기 오염, 더 나아가 사막화를 막아 산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된 나무를 심는 날이다. 이러한 보통의 식목일을 아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그러나 바다의 사막화라 불리는 백화현상, 이를 막기 위해서 2013년 새로 만들어진 바다식목일 또한 존재한다.

백화현상이란 갯녹음 현상이라고도 불리며, 해조류가 사라지고 산호처럼 생긴 석회질 성분의 홍조류만 바닷속에 퍼져있는 현상을 의미한다. 지구온난화로 해수 온도 상승은 해조류가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드는데, 이 때문에 석회질 성분의 홍조류만 남게 되고, 이마저 죽으면 석회 성분 때문에 하얗게 보이기 때문에 백화현상이라 불리는 것이다.

백화현상이 지속된다면 홍조류가 번성하고 이로 인해 해조류는 살아갈 장소를 확보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는 해조류를 서식지로 하는 물고기들의 살아갈 터전마저 잃어버리게 만들어 바다가 황폐화되는 바다의 사막화라고 불리는 것이다.

이러한 백화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해조류가 풍부히 자라는 이른바 ‘바다 숲’ 조성이 필요하다. 이렇게 해조류를 심어 바다 숲을 조성하기 위한 기념일이 바로 ‘바다식목일’이다. 백화현상은 어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우리 제주도에게 있어 매우 치명적인 환경 오염 현상으로 제주도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바다식목일’의 활성화와 해양생태계 보전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제주도 해양수산부는 바다 숲 조성을 위해 바다식목일에 해조류 심기 등의 바다 녹화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바다식목일은 일반 시민에게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바다식목일의 활발한 홍보와 해양 환경 사업 및 행사를 통해 육지의 식목일처럼 일반 지역 사회에 친근하게 다가가 생활화되었으면 한다. 바다식목일에 바다에 해초 씨앗 뿌리기, 해안 플로깅과 같은 자원봉사, 생활 쓰레기 분리수거, 쓰레기 되가져가기 운동 등의 바다식목일 참여와 생활 습관으로 시민 주도의 바다 가꾸기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풍요로운 바다 생태계를 가꾸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과거에 산림녹화를 통해 우리 산을 푸르게 만들었던 것과 같이 이제는 우리의 바다에 푸른 숲을 가꿀 차례이다.

이번 5월 10일 바다식목일이 해양생태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NAME : ロレックススーパーコピー | 2023-09-20
商品が来るのはとても早かったです。しっかり梱包されていました。
迷っていたので、今思えばお電話してご相談させていただけばよかったかなと思ってます。またお買い物するときは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送料無料】カルティエ リングをセール価格で販売中♪カルティエ リング Cドゥ パヴェダイヤ WG ホワイトゴールド 9号 新品 指輪 Cartier
ロレックススーパーコピー https://www.ginza78.com/repurika-11266.html 코멘트삭제
NAME : ロレックススーパーコピー | 2024-02-27
日本的な人気と信頼を得ています
当社の商品は絶対の自信が御座います
スタイルが多い、品質がよい、価格が低い!
迅速、確実にお客様の手元にお届け致します
実物写真、付属品を完備しております
ご注文を期待しています! 코멘트삭제

No 제목 이름 날짜
3896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5
3895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4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아시나요?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12-04
3893 기후감수성의 시대, 우리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1 김수민 12-04
3892 대설을 맞이하여, 겨울철 화재 예방 안전 수칙을 되새기고 안전한 겨울을 … 현주희 12-04
3891 12월 5일 자원봉사자의 날, 제주 환경을 지키는 작은 손길 김재원 12-03
3890 체육사에 빛나는 발자취, 김치부 선생과 위대한 도민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김혜인 12-03
3889 환경을 생각하는 크리스마스, 지속 가능성을 더하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2-03
3888 덕분에 리더십이 확산하길 기대하며  ×1 고기봉 12-03
3887 제주의 숨겨진 보물, 오름의 현실  ×1 오승민 12-02
3886 제주에서도 피할 수 없는 ‘기후위기’, 우리가 해결해야 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현기명 12-01
3885 소중한 토양, 지구의 미래를 위한 우리의 책임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송유진 12-01
3884 [기고]당신의 배려가 생명을 구합니다.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김선일 11-29
3883 안전한 화목보일러 사용, 따뜻한 겨울나기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11-29
3882 ‘주택용 소방시설’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1 구좌119센터 소방교 전지훈 11-27
3881 472년을 산 80대의 행복   ×1 김계담 11-26
3880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25
3879 [기고] ‘불조심 강조의 달‘ 양돈장도 안전한 겨울 나기   ×1 한경119센터 소방사 강창희 11-25
3878 차고지 증명제 문제점에 대한 소견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24
3877 [기고] 겨울철 화재예방, 우리의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  ×1 김성훈(제주소방서 119구조대) 11-24
3876 [기고]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안전한 삶의 첫걸음  ×1 효돈119센터 소방장 오병철 11-23
3875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  ×2 (사)제주YWCA 11-22
3874 제주도의 환경정책과 주민 삶의 질 향상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시현 11-22
3873 말이 씨가 된다  ×1 제주개발공사 사회공헌팀 국정연 11-21
3872 (사)제주YWCA, ‘2024세계평화의섬 실천을 위한 평화프로그램’ -공존과 상생…  ×1 (사)제주YWCA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