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
2022-11-09 17:43
|
||||
---|---|---|---|---|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장희수 (Homepage : )
|
||||
제주 농업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특별한 시작 올해로 27번째 기념일을 맞이하고 있는 '농업인의 날'은 대한민국 농업의 활기를 되찾고 농업 종사자의 소중함을 다시금 깨닫도록 만들어진 법정기념일이다. 농업과 농촌의 가치를 확산하여 활력을 도모하고자 1996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11월 11일로 정한 이유는 '흙에서 태어나 흙과 더불어 살다가 흙으로 돌아간다'라는 '삼토(三土)'에 기반을 두었다. 흙 토(土)를 파자하면 열 십(十)자와 한 일(一)자로 볼 수 있어, 11월 11일이 농업인의 날이 된 것이다. 농업인의 날 유래는 왕이 농사를 권장하던 기록은 고구려, 백제 등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나타나는 것에서 시작된다. 농업을 인간 생활의 텃밭으로 생각한다는 뜻을 가진 '농사지천하지대본(農事之天下之大本)‘이라는 말을 들어도 농업이 얼마나 우리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지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당시, 농업을 권하는 농민데이가 제정되었다가, 해방 후 폐지여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권농’이 우리 고유의 전통이라는 점이 인정되어 '농민의 날'로 명칭과 날짜를 변경해 지금까지 사용하게 되었다. 예로부터 돌과 바람이 가득한 제주, 척박한 이 곳에 활기를 띠게 한 것은 제주도민의 땀과 얼이 담긴 농업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제주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라는 점 등의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토착경제 기반이 미비하여, 전도적으로 농업과 축산 그리고 수산업에 의존하여 생활해왔다. 농업은 제주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으로 제주를 상징하고, 제주 그 자체의 존재감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제주의 전 지역에 걸친 감귤, 보리, 마늘 농업부터 최근 아보카도, 비트, 망고까지 다양한 농산물이 제주의 얼굴을 빛내고 있다. 농업민이 키운 '제주'라는 트렌드가 대한민국 국민에게 인정받고, 나아가 세계에서 각광받는 이미지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농업은 더 이상 극한의 상황에서 생계를 위해 선택한 방법이 아닌, 리더로서 제주를 빛내고 우리나라를 이끌어 나가는 길이 될 것이다. 농업민의 자긍심과 지속가능한 제주 농업을 위해 제주도민의 큰 관심과 사랑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끝으로 농업인의 날을 맞아 농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고 농업인에게 힘찬 격려와 응원을 보내며 농업과 농촌과 농업인의 무궁한 발전을 다시 한번 기원해 본다. |
|
[종합] 제주 기획조정실장 양기철·서귀포 부시장 김원칠
제주농협, 신사옥 옆 주차장 15일부터 주민 개방
제주 어르신 '기초질서 지킴이' 활약상 빛났다
‘작별하지 않는다’ 표선 한모살 4·3학살터 표지석 어디로
구좌농협 송철주·오복민 부부, 7월 '이달의 새농민상'
[양병우의 문연路에서] 삼나무, 천덕꾸러기 취급되어서는 안…
'원거리 출어' 제주 갈치 위판량·위판액 모두 늘었다
[해설] 제주도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 배경은…
[양건의 문화광장] 호암 양창보, ‘바람의 섬과 붓끝 사이’ …
제주서 렌터카로 고의 사고… 보험금 편취 일당 덜미
서귀포도서관, 여름방학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제주자치도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 구성.. 수석 …
'디지털시대, 우리 아이의 뇌 어떻게 지킬 수 있…
우도면 오봉리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선…
제주연구원 조직개편.. 미래대응전략실 신설
제주 여름 감성 품은 '이호 필터 페스티벌' 18일 …
'체육영재학교' 설립 추진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윤호중 행안부 장관 18일 인사청문 주목
문대림 의원, 양식업 신재생에너지 자가설비 설…
제주 지역 자살률 전국 최고… 예방 사업 강화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