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을 위한 제주 자전거도로 확충해야
2022-05-29 11:04
조예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전국적으로 자전거 도로가 많아지고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환경이 좋아지면서 건강을 위해 자전거로 출ㆍ퇴근하거나 레저용으로 자전거 라이딩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탄소없는 섬을 위해 제주는 버스이용지원 등 많은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자전거 혹은 킥보드를 이용하는 것도 제주 대기 오염 개선과 로드킬 문제 등 여러 생태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는 제대로 실천되고 있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무탄소 교통수단인 자전거는 탄소중립 정책에서도 소외되고 있다. 탄소중립 시나리오에는 전기차를 위한 인센티브, 충전 인프라 확충, 운영 예산 확보 등이 포함돼 있는 반면 자전거는 ‘무탄소 이동수단 활성화’ 정도가 나열되는 수준이다.

자전거가 탄소중립 달성에 효과적인 교통수단이며 더 나아가 에너지 절감, 교통혼잡과 도로 인프라 비용 절감 등 다른 중요 교통 정책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감축, 건강 개선, 도시환경 개선 등에도 효율적이며 코로나 유행 시기 비접촉 교통수단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제주 해안도로에는 자전거도로가 지정되어 있는 곳이 여러 곳 있다. 하지만 도심지는 자전거도로가 있는 곳은 극히 드물다. 킥보드는 자전거 도로 대신 도로를 함께 이용해야 하니 자전거도로가 필요 없는 것은 아닐까 해도 킥보드는 제한속도가 20~25 이기 때문에 다른 자동차들에 비해 현저히 속도가 느려 자동차들이 앞에 있는 킥보드나 자전거를 답답해하는 건 당연한 것이다. 그렇다고 제한속도를 높이는 것은 안전에 큰 위험이 있어 불가능하다.

환경을 위해 자전거를 타는 것을 장려하지만 실상 자전거를 탄 사람들이 다닐 곳은 없었다. 제주는 현재 자전거 이용활성화계획을 법률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자전거도로에 대한 기형적 구조와 불편에 대해 많은 민원이 제기되어 왔지만 이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제주는 형식적인 계획만 발표할 것이 아닌 자전거 이용을 늘려 제주 환경 개선을 추구하려면 외곽 도로가 아닌 도심지에 자전거 도로를 설치해야 한다.

자전거도로 시설 개선과 확충을 통해 제대로 된 자전거 도로망을 제공해야 하며, 교통 관련 법제도와 운영도 보행자와 자전거를 자동차와 동등하게 고려하는 체계로 개선해야 한다. 또한 자전거 이용자 확대를 위한 지원 및 안전 이용 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등도 중요하다.

자전거 정책은 제기된 문제를 개선하면서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중요한 미래 교통 정책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조예진

No 제목 이름 날짜
3248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을 아시나요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희진 10-27
3247 도움 될 정보에요 유익한 10-25
3246 제주시 지원 애월읍 아동 꿈성장 배움터 종강식 진행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4
3245 제1회 제주학생 생명존중 열린토론대회  ×1 애서원 10-24
3244 자원봉사 시작하기  ×1 ×1 김희범 10-21
3243 서부종합사회복지관 삼성꿈장학재단 배움터 지원사업   ×1 김루대아 10-21
3242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친절의 기본이다  ×1 ×1 김성봉 10-21
3241 제주 바다의 위기 이제는 보호해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윤아 10-18
3240 재활용 이제는 새활용이다! 업사이클링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현진 10-18
3239 기후변화는 육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바닷속 온난화 ‘해양열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미선 10-17
3238 우리 지역의 안전 지킴이 의용소방대  ×1 고기봉 10-17
3237 도로건설보다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장희수 10-17
3236 제주 쓰레기에 대한 인식, 언제까지 그대로인가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성환 10-15
3235 위기 상황에 노출된 남방큰돌고래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양희진 10-15
3234 10월 25일 독도의 날을 국가 기념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소연 10-13
3233 초등학교총동창회 체육대회 지속성 확보릉 위한 육성책 강구  ×1 어도초등학교총동창회장 강상희 10-06
3232 돌아온 '일회용컵 보증금제', 환경을 향한 발걸음이 될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건일 10-04
3231 기후변화의 대책과 습지 보존의 필요성  ×1 오조리마을회 10-03
3230 현대인의 지친 마음에 밴드를 붙여주는 청년마음건강 바우처를 아직도 모…  ×1 최은정 10-03
3229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소방출동로 확보  ×1 노형119센터 김성철 10-01
3228 벼랑 끝에 선 남방 큰 돌고래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희진 10-01
3227 탄소제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업사이클링'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현진 09-29
3226 일상으로의 복귀(중심이 바로 선 사회로 복귀)  ×1 고경희 09-29
3225 제주 물 부족, 모두의 실천으로 극복해야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원고운 09-29
3224 제주특별자치도장애인태권도 협회, 사랑의 나눔과 봉사  ×1 김기완 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