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을 위한 제주 자전거도로 확충해야
2022-05-29 11:04
조예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전국적으로 자전거 도로가 많아지고 자전거를 탈 수 있는 환경이 좋아지면서 건강을 위해 자전거로 출ㆍ퇴근하거나 레저용으로 자전거 라이딩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탄소없는 섬을 위해 제주는 버스이용지원 등 많은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자전거 혹은 킥보드를 이용하는 것도 제주 대기 오염 개선과 로드킬 문제 등 여러 생태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는 제대로 실천되고 있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무탄소 교통수단인 자전거는 탄소중립 정책에서도 소외되고 있다. 탄소중립 시나리오에는 전기차를 위한 인센티브, 충전 인프라 확충, 운영 예산 확보 등이 포함돼 있는 반면 자전거는 ‘무탄소 이동수단 활성화’ 정도가 나열되는 수준이다.

자전거가 탄소중립 달성에 효과적인 교통수단이며 더 나아가 에너지 절감, 교통혼잡과 도로 인프라 비용 절감 등 다른 중요 교통 정책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감축, 건강 개선, 도시환경 개선 등에도 효율적이며 코로나 유행 시기 비접촉 교통수단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제주 해안도로에는 자전거도로가 지정되어 있는 곳이 여러 곳 있다. 하지만 도심지는 자전거도로가 있는 곳은 극히 드물다. 킥보드는 자전거 도로 대신 도로를 함께 이용해야 하니 자전거도로가 필요 없는 것은 아닐까 해도 킥보드는 제한속도가 20~25 이기 때문에 다른 자동차들에 비해 현저히 속도가 느려 자동차들이 앞에 있는 킥보드나 자전거를 답답해하는 건 당연한 것이다. 그렇다고 제한속도를 높이는 것은 안전에 큰 위험이 있어 불가능하다.

환경을 위해 자전거를 타는 것을 장려하지만 실상 자전거를 탄 사람들이 다닐 곳은 없었다. 제주는 현재 자전거 이용활성화계획을 법률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자전거도로에 대한 기형적 구조와 불편에 대해 많은 민원이 제기되어 왔지만 이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제주는 형식적인 계획만 발표할 것이 아닌 자전거 이용을 늘려 제주 환경 개선을 추구하려면 외곽 도로가 아닌 도심지에 자전거 도로를 설치해야 한다.

자전거도로 시설 개선과 확충을 통해 제대로 된 자전거 도로망을 제공해야 하며, 교통 관련 법제도와 운영도 보행자와 자전거를 자동차와 동등하게 고려하는 체계로 개선해야 한다. 또한 자전거 이용자 확대를 위한 지원 및 안전 이용 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등도 중요하다.

자전거 정책은 제기된 문제를 개선하면서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중요한 미래 교통 정책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조예진

No 제목 이름 날짜
3871 동행합창단 작가의 산책길 공연  ×1 ×1 허희진 11-14
3870 일회용컵 보증금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문수아 11-13
3869 차고지 증명제, 이제는 개선해야할 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부유민 11-13
386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빼빼로데이 기념 쿠킹클래스’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1-12
3867 11월 26일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을 아시나요? 미래를 여는 환경 솔루션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12
3866 11월 11일 '보행자의 날'을 아시나요.  ×1 고기봉 11-08
3865 디지털 시대 어떻게 소통할까?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11-08
3864 중력식 하수 이송 시스템 단계적 전환   ×1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 이윤재 11-08
3863 [기고] 비상구 관리의 중요성 : 폐쇄등 불법행위를 근절하자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원 우춘길 11-07
3862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포상제 바로알기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 서무반장 김순영 11-07
3861 지속가능한 제주, 친환경우수골프장의 가치  ×1 강윤정 제주특별자치도 물정책과 11-06
3860 대중교통 활성화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06
3859 [기고]우리나라 환경 정책의 태동과 변화,현 모습  ×1 오진우 11-05
3858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의 중요성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지도부장 우민호 11-04
3857 플라스틱 덫으로부터 제주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수연 11-04
3856 보행자의 날, 안전한 세상을 위한 우리의 노력 11월 11일, 보행자의 안전을 …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03
3855 [기고]제주 바다 갯녹음,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필요  ×1 강유민 11-02
3854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 작은 실천이 생명을 구합니다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부대장 주창범 11-02
3853 신엄중학교, 국화꽃 축제(꿩지빌레국화한마당축제) 성황리 개최  ×2 최병훈 11-01
3852 NH농협은행 제주시지부, (사)제주YWCA에 우리쌀 소비촉진을 위한 ‘아침밥 먹…  ×1 (사)제주YWCA 10-30
3851 자율방범대,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든든한 파트너! 곽대주 10-30
3850 [봉사활동] 제이피엠 임직원 헌혈 봉사 참여로 따뜻한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1 (주)제이피엠 10-29
3849 (사)제주YWCA, ‘2024 가을 나눔바자회’ 성료  ×1 (사)제주YWCA 10-28
3848 홀로 사는 노인의 대한 소고  ×1 ×1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서귀포시종합 10-28
3847 도민감사관 하반기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