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작은 불티도 다시 보자
2022-04-10 15:41
|
||||
---|---|---|---|---|
남원119센터 오봉근 (Homepage : http://)
|
||||
첫째, 용접 작업 전 작업 장소의 해당 부서장과 안전관리자에게 사전 통보한다. 용접 장소에는 소화기, 용접 불티 등을 받는 불꽃받이나 방염시트 같은 소화용품을 사전에 비치해야 한다. 둘째, 용접 작업 중 가연성ㆍ폭발성ㆍ유독가스 존재나 산소 결핍 여부를 지속해서 검사해야 한다. 용접가스 실린더나 전기동력원 등은 밀폐 공간 외부의 안전한 곳에 배치하고 작업자는 개인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셋째, 용접 작업 후 용접 불씨가 살아남아 화재를 일으킬 확률이 높기 때문에 작업장 주변에 불씨가 남아 있는지 30분 이상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2020년 12월 10일부터는 임시소방시설을 갖추지 않은 공사현장에 대해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는 등 더욱 강화된 법이 적용되므로 현장에서는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공사 현장은 화재 시 내부 가연성 물질로 인하여 많은 양의 연기가 발생하고 구조물 자체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건물이 붕괴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 공사장 관계자와 작업자는 무엇보다 안전수칙 소홀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명 및 재산피해가 크다는 점을 명심하여야 한다. 그리고 건축공사장 용접 작업 시 화재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는 일이 없도록 서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
[종합] 양영철 JDC 이사장 사표 수리..김현민 대행…
제주지방 오늘도 낮에 폭염, 밤엔 열대야.. 태풍 …
제주 온열질환 추정 80대 밭에서 숨진 채 발견
수령 72년 추정 한라산 '구상나무 대표목' 공개
서귀포시 기당미술관, 여름방학 어린이미술학교…
서귀포관악단 제88회 정기연주회 '3개의 춤·우주…
나비 연구·제주학 아우른 석주명의 일생… '제…
1인당 15만∼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어떻게 받…
제주서 경운기 뒤집혀 80대 중상... 11시간만에 구…
제주국제아트페어 개막… 국내외 52곳 갤러리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