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食문화, “전통주”를 아시나요?
2022-01-07 17:00
제주도청 식품원예과 김지영 주무관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의 食문화, “전통주”를 아시나요?

제주도청 식품원예과 김지영 주무관

코로나로 모임·회식은 자제하고 집에 일찍 들어와야 해서 술집 대신 집에서 ‘혼술’ 또는 ‘홈술(집술)’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구매가 가능한 전통주의 경우 호기심 많고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2030세대 덕분에 ‘홈술’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전통주에 관심을 갖는 세대가 5060세대에서 40대로, 이제는 MZ세대인 20~30대로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전통주 등의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전통주란 대한민국 식품명인, 무형문화재 보유자, 농업인 등이 지역농산물로 제조한 지역특산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경우에도 제조자의 법적인 자격과 무관하게 전통주로 인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2020년 기준으로 전통주(민속주, 지역특산주) 출고액은 전체 주류시장의 0.58%이나, 온라인 판매 허용 등으로 매년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고, 전통주에 대한 관심 증가로 전통주 제조면허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전통주의 온라인 판매 허용은 영세한 전통주 제조자 보호와 육성을 위해 주류제조면허 담당부처인 국세청에서 2017년에 고시를 개정하면서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11번가, 네이버 같은 일반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전통주를 쉽게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지난 2년 동안 지속된 코로나19로 전국의 전통주 양조장들은 체험 방문객이 현저히 줄었고,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여행 인구가 줄면서 매출도 감소했다.

과거 우리의 술이 ‘애환’이었다면, 이제 술은 ‘문화’이다. 우리 조상들은 전통술을 단순한 기호음료가 아닌 음식이라고 여겨, 술을 마신다고 하지 않고 술을 먹는다고 했다. 우리에겐 조선시대에 집집마다 술을 빚던 가양주 문화가 일제강점기를 거쳐 파괴된 후 시골 동네에서 몰래 담그던 밀주의 시대를 경험한 아픈 역사가 있다.
전통주는 나름의 스토리를 갖고 있어서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전통주 제조방법이나 맛이 궁금하다면 「찾아가는 양조장」을 방문해보길 권한다. 전국에 46개소가 있고 제주에는 제주샘주와 제주술익는집 2곳이 있다.

No 제목 이름 날짜
3183 폭염대비! 어렵지 않아요!  ×1 동홍119센터 소방교 강규택 07-11
3182 농촌문화유적길  ×1 고성봉 07-11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
3180 제주도, 어르신 주거정책 확대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7-07
3179 생명의 문, 비상구 '안전을 위한 백신'  ×1 서귀포소방서 06-29
3178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개최   ×1 서귀포YWCA 06-28
3177 보행자 안전을 위한 건설사업장 보행안전도우미 배치 의무화  ×1 ×1 김성수 06-28
3176 공사장 화재예방의 첫걸음 '안전수칙 준수'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문동식 06-26
3175 스마트경로당을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유은숙 06-25
3174 서귀포YWCA, 2022년 서귀포평화아카데미 4강좌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06-23
3173 마늘·양파 의무자조금 납부, 생산농업인의 의무이자 권리  ×1 식품원예과 강형미 06-20
3172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6월 초…  ×1 서귀포YWCA 06-20
3171 시민들이 지키는 골든타임, ‘소방차 출동로 확보’  ×1 성산 센터 119 소방사 김정호 06-16
3170 자동차세 납부의 달 6월, 연납 신청  ×1 삼도2동 06-14
3169 2022 서귀포시 행복드림아카데미 사회공헌 및 전문역량과정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8 서귀포YWCA, 창립30주년 기념 청소년대상 차세대리더지원사업 진행   ×1 서귀포YWCA 06-13
3167 일상 속 노인혐오 문화 경계하기, 노인 학대 예방의 첫걸음.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9
3166 ‘백신 없는 플라스틱 팬데믹’ 플라스틱 줄이기로 행동해야 한다.  ×1 원고운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6
3165 유기동물 줄이려면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 조성이 ‘열쇠’ 사설보호소에 …  ×1 홍은정 06-05
3164 무인화 결제 시스템의 명암  ×1 김태훈 06-03
3163 선거철이면 밤•낮 없이 울려대는 선거 전화 해결책은?  ×1 문지현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2 제주사랑렌트카 김경란 대표, (사)제주YWCA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공간 환경… 추현우 06-03
3161 제주 바다에서 ‘남방큰돌고래’가 사라지면 어떻게 될까?   ×1 고하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6-03
3160 기후변화로부터 우리가 지켜야 할 자산 ‘해양생태계’  ×1 김현주 06-02
3159 제주 오랜 삶의 터전 오름, 몸살을 앓다  ×1 이민서 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