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추자도에서 최영장군 사당 등 정비 진행
2021-10-27 16:12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재)제주문화진흥재단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는 지난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한반도 남서부와 제주특별자치도 중간 지점에 위치한 추자도 내 관리대상 문화재 2개소, 최영장군 사당 (시도기념물 제11호) 및 추자처사각(시도유형문화재 제9호)의 문화재 돌봄활동을 진행했다.

추자처사각은 조선 중기 추자도로 유배 당하여, 추자도 내 주민들의 병을 치료해주고 불교적 교리를 가르친 처사 박인택의 유덕을 높이 기리기 위해 그 후손들이 지은 사당으로, 1975년 3월 제주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된 곳이다.

이날 돌봄활동으로 추자처사각의 진입로 및 주변 보호 울타리의 오일스테인칠을 하여 관람 환경을 개선하고, 문화재 화재에 대비하여 소화기기를 점검했다. 또한 부분적으로 훼손된 부분(와구토 탈락 및 화방벽 부분 파손)을 경미보수 범위 내에서 수리하여, 문화재 원형을 유지하고 훼손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했다

최영장군사당은 최영장군이 고려 후기 반란을 진압하러 원정을 가는 도중 거센 풍랑을 만나 추자도로 대피하였고, 이때, 추자도 주민들에게 선진 어업 기술을 가르쳐 생활의 번혁을 가져다 준 최영장군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추자도 주민들에 만들어진 사당이다. 1981년 8월 제주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됐다. 오랜 세월 동안 훼손되어 1935년 새로 지은 후, 1970년 국가 보조로 건물을 재복원했다. 이후 1975년에 단청과 담장을 보수했으며, 1998년에 외문을 새로 지어 현재의 모습에 이르고 있다.

최영장군사당에서는 문화재 주변 쓰레기 청소, 기존 배수로 청소, 나방집 제거 등의 작업을 통해 문화재 관람 환경을 개선하고, 가을철 화재 예방을 위해 소화기기를 점검했다. 또한 사당 전면 세살분합문의 경첩이 부식으로 파손되어, 기존의 경첩과 가장 유사한 경첩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현재 제주역사문화재 돌봄센터는 추자도 내 관리대상 문화재인 최영장군 사당과 추자처사각 이외에도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화재에 대해서도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연 2회 이상의 경미수리·일상관리 활동을 통해 문화재 훼손에 대해 예방적 보존 활동을 이행하고 있다.

모니터링팀 임치경 팀장은 “문화재 훼손 방지를 위해,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경미수리 및 일상관리 활동으로 아무리 멀리 떨어진 문화재라도 관리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노력하며, 많은 사람들이 문화재 돌봄활동과 훼손방지에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끝>.


No 제목 이름 날짜
3618 지속  ×1 고기봉 01-02
3617 '고향사랑기부제'로 농업·농촌에 희망을  ×1 비밀글 유효상 12-28
3616 공공주택, 주거 본연의 가치를 담은 공간으로 진화   ×1 제주개발공사 분양주택사업팀 김은정 사 12-27
3615 (오피니언)우리사회에 강요되고 있는 미의 기준  ×1 건입동주민센터 심소연 12-27
3614 도로  ×1 12-26
3613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26
3612 (사)제주YWCA-(사)제주YWCA디지털성범죄상담소, 디지털성범죄 심각성 인식 확… (사)제주YWCA 12-22
3611 우리들이 꿈꾸는 행복한 사회  ×1 이도초등학교 4학년 2반 안유린 12-22
3610 이제는 관심을 가져야 할 용천수  ×1 비밀글 김광민 12-22
3609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김수연 12-21
3608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사)서귀포YWCA 12-21
3607 기후의 미래, 제주의 선택: 탄소 중립으로의 여정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지 12-20
3606 파리들이 사는 세상에 묻지마 폭력이 일어난다면 손용석 12-18
3605 '때문에' 보다는 '덕분에'로 살자!  ×1 오정애 12-15
3604 환경교육도시를 통한 지속 가능한 제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김가인 12-14
3603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서귀포YWCA 12-13
3602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서귀포YWCA 12-13
3601 생태계보호 다 함께 노력해야 (부제 :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시후 12-13
3600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13
3599 지구의 몸살, 우리의 자그마한 실천으로  ×1 김찬우 12-12
3598 중대재해! 미리 준비하면 막을 수 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  ×1 ×1 제주특별자치도 안전정책과 황정호 12-12
3597 플로깅으로 청정 제주바다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미래 12-12
3596 함께하면 꿈은 이루어진다  ×1 고기봉 12-12
3595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첫걸음, 제주의 15분 도시 구축  ×1 안서영 12-11
3594 건강한 음주 문화, 행복한 연말연시 비밀글 김혜빈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