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체육고등학교설립의필요성
2021-10-08 08:52
강권식 (Homepage : http://)
(체육고등학교 설립의 필요성)-최종 (3).hwp ( size : 93.00 KB / download : 12 )
제주 체육고등학교 설립의 필요성

지난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세계인의 이목은 일본 도쿄에 집중되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개최되는 올림픽에 출전한 자국 선수들을 응원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내년 베이징동계올림픽, 항저우아시안게임, 카타르월드컵 등을 벌써부터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처럼 스포츠는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각본 없는 드라마다.
필자 역시 세계대회에서 국위선양을 하는 선수들을 볼 때마다 경외감을 느끼는 한편, 제주에서 배출되는 세계적인 선수는 찾아보기 힘들까 하는 안타까움이 앞선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세종시와 제주도를 제외한 15곳에서는 체육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체육중학교의 설립까지 추진하면서 청소년의 체력 향상을 증진하고 전문적인 체육인이 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기본 요소들을 갖추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제주의 학교 체육은 생활체육(스포츠클럽)에서 기본적인 체육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취미활동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물론 생활체육활동을 통해 즐거움을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주도가 전국체육대회 등에서 하위권을 면치 못하는 점을 생각하면 지금처럼 생활체육과 그리고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체육 엘리트를 지도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체육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조기에 체육 영재를 발굴하고 전문 체육인으로 양성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제주도는 각 지역마다 체육시설이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체육고등학교 설립 시 이런 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공론화가 된다면 설립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국적으로 전지훈련 장소로도 적합할 만큼 날씨도 좋다. 이러한 환경에 더해 좋은 커리큘럼과 지도자를 겸비한 체육고등학교가 설립된다면 제주의 체육 영재를 발굴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국의 우수한 체육 영재를 흡수함으로써 제주체육의 위상은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했듯 체육 분야에서도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관심이 필요하다. 다행인 것은 제주 체육고등학교 설립의 필요성에 대해 체육인들은 물론 지역주민과 학부모님들이 오래전부터 공감해 오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제주도와 교육청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역민들의 협조만 있다면 제주 체육고등학교 설립은 빠른 시간에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상황에서도 쓰여졌던 각본 없는 드라마. 그 드라마의 주인공이 제주 체육고등학교 출신이라는 것에 가슴이 벅차오름을 내 이웃들과 함께 맛보고 싶다.

전) 제주영송학교 교장 강권식

No 제목 이름 날짜
3696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4-15
3695 푸른 제주의 바다를 지키는 플로깅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찬우 04-14
3694 풍수해보험, 우리의 내일을 위한 현명한 준비!  ×1 제주특별자치도 자연재난과 장명서 04-11
3693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4-09
3692 [후보자들의 방송토론, 충분한 연습과 준비가 필요하다] [1] 김봉춘 04-08
3691 자원순환사회 조성에 우리모두 동참합시다.  ×1 ×1 청정제주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04-07
3690 청년들은 언제나 정치적이었다.  ×1 강규선 04-07
3689 공직자의 청렴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4-03
3688 우리 가족과 이웃, 제대로 안전하게! 지역사회의 재난, 재해상황 대비를 위…  ×1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4-02
3687 기고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4-02
3686 제주의 에메랄드 수호자들: 생태 보호의 선구자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지 03-31
3685 제주관광, 기회의 확대와 도전의 극복  ×1 김신관 03-29
3684 기고) 4월 법인지방소득세 자진 신고납부에 적극 동참을  ×1 고종필 03-28
3683 4.3 올바른 시각 가지기 - 4.3 침묵하지 말고 소리 내자  ×1 ×1 조혜인 03-28
3682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3-27
3681 기고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3-25
3680 공직자와 도민감사관의 청렴관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20
3679 [기고] 생활주변 자연재난 위험요인 확인으로 피해 최소화 첫걸음  ×1 장명서 03-20
3678 제주 환경보전분단금 도입 신중해야  ×1 [1] 강승현 03-20
3677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하게 이용하자!  ×1 김규범 03-19
3676 기후변화 시대, 자연이 품은 생명의 물을 아끼자!  ×1 비밀글 고기봉 03-17
3675 2024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활동계획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부단장 김용균 03-16
3674 소화기 비치,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1 비밀글 고기봉 03-15
3673 (사)제주YWCA, ‘2024년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1] (사)제주YWCA 03-13
3672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