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상황 똘똘 뭉치는 대한민국 근성 꺼내야 할 때(환경의 날 맞아 환경 보호 관심과 실천 필요)
2021-05-28 13:27
허예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작년 우리를 괴롭혔던 것은 비단 코로나 19뿐만은 아니었다. 폭우와 폭설에 이어 무더위까지 기후 변화는 우리의 삶을 더욱 힘들게 만들었다. 올해도 이상 기후는 이어졌다. 봄에는 작년보다 개화가 앞당겨졌으며, 4월 하순에 초여름 날씨라 할 정도의 30도가 넘는 날씨를 기록했다. 반면 5월 들어서는 잦은 비로 평년보다 낮은 기온을 보였고, 5월 1일에는 강원도 산간지역에 대설특보가 내려지기도 했다. 이렇듯 기온 변동 폭이 증가하고, 날씨 예측도 시시때때로 변하고 있다.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6월 5일을 ‘환경의 날’로 제정한 것은 국제사회가 지구환경보전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여러 국가들의 우려 속에서도 사실상 기후 문제는 좀처럼 나아지고 있지 않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9년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K-방역’으로 모범을 보였던 우리나라의 모습은 어떠할까? 부끄럽게도 우리나라는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 성적을 나타내는 ‘기후변화대응지수 2020 ’ 보고서에서 61개국 중 58위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특히 경제협력 기구(OECD) 국가 중 탄소배출량 증가율 1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하위 2위로 나타나 ‘기후악당’이란 전 세계의 비판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불명예스러운 이름에 정부는 올해 2050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강력한 의지를 선언했다. 탄소 중립이란 탄소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고 남아있는 탄소는 흡수해 순 배출량을 0으로 맞추는 것이다.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결코 이루어 낼 수 없다. 그러기에 우리는 지금, 위기상황 때마다 똘똘 뭉쳐 어려움을 극복했던 대한민국 근성을 꺼내들어야 한다.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작은 습관변화의 시작부터 필요하다. 셋톱박스 전원을 끄고, 안 쓰는 플러그는 뽑아 대기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에서부터, 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자전거와 대중교통 이용하고, 저탄소 라벨이 붙은 제품을 이용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배달 주문 시 불필요한 일회용품은 받지 않고, 텀블러와 개인 컵을 사용하며, 과대포장 제품을 소비하지 않는 것도 도움이 된다.
다가오는 6월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가족과 지인과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이러한 국민들의 힘이 모이고 모여 ‘K-방역’ 모범 국에 이어 ‘기후 위기’ 영웅 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허예진

No 제목 이름 날짜
3023 ‘2021 전도 신장장애인 파크골프대회’ 성료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17
3022 아동 학대 예방의 날을 기억해 주세요!  ×1 김은지 11-17
3021 반복되는 아동학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 11-16
3020 1980년에 멈춰있는 성소수자들의 삶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전공 이혜윤 11-15
3019 “우리, “마음(心) 겨울 채비” 할까요!”  ×1 한전 제주본부 한은진 차장 11-15
3018 112는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1 ×1 제주경찰청 112상황실 경감 강권삼 11-13
3017 날이 갈수록 말라가는 제주의 물  ×1 비밀글 김제곤 11-13
3016 11월 11일, 이제는 유엔 참전용사의 날로 기억되길  ×2 제주대학교 2학년 이해창 11-09
3015 [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8
3014 의료 사각지대로 내몰린 농촌, 기다릴 여유가 없다.  ×1 임규현(농협창녕교육원 교수) 11-08
3013 2021년 노인일자리(전기차충전기관리사업)를 마치며..  ×1 허옥일 11-05
3012 자원순환사회로 가는 제주  ×1 ×1 제주도청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11-04
3011 김장철 원산지 위반, 이제는 달려져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3
3010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해신사, 김석윤 가옥, 제주목 관아, 삼성혈 4곳에…  ×1 제주문화진흥재단 11-03
3009 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1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11-02
3008 기고  ×1 이선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01
3007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2021 새 생명 나누기’사랑의 장기기증 …  ×1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01
3006 우리 가족을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만들기  ×1 ×1 생활공감 정책 10-31
3005 국민의 비상벨 112 올바른 신고를 당부한다 강준익 10-30
3004 알고 있었나요?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1 강동훈/남원읍사무소 10-29
3003 서귀포시노인복지관 노인일자리를 통해 나의 노년의 즐거움을 찾다  ×2 가순열 10-28
3002 서귀포YWCA 평화아카데미 현장탐방 진행  ×1 서귀포YWCA 10-27
3001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추자도에서 최영장군 사당 등 정비 진행  ×2 제주문화진흥재단 역사문화자돌봄센터 10-27
3000 비대면 디지털 건강관리 집중  ×1 ×1 오미옥 10-25
2999 (기고)신고포상제를 아시나요?  ×1 연동119센터 현재민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