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나무를 베면 알 수가 없죠
2021-04-30 10:19
|
|||
---|---|---|---|
한성찬 (Homepage : http://)
|
|||
최근 국토의 효율적 관리 등을 위해 설립된 공공기관의 관련 내부정보를 훔쳐 불법적인 토지취득을 한 일부 공직자로 인해 국민의 공분이 거세다. 그만큼 토지의 취득 및 개발로 인한 불법적 이익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이 크다는 반증이라 생각된다. 이처럼 지가 상승 등 개발로 인한 이익만을 생각하여 중장비를 이용한 토지 절·성토, 수목 임의벌채등의 산림 훼손을 하는 경우도 많지만, 단순한 농경지 개간 목적의 임의벌채, 경계침범등으로 형사처벌을 받는 것을 담당 수사관으로서 종종 보게 된다. 내 소유의 땅이라도 그 땅과 산림을 불법 훼손하는 행위는 관련 법령에 의해 엄격히 처벌되고 있다. 산림훼손의 불가피한 이유가 있다면 관련 행정기관의 인·허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이는 산림의 다양한 공익기능 및 국토환경의 보전과 더불어 한번 훼손된 산림의 원상복구가 사실상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 자치경찰단에서는 지난해 불법 산지전용 65건, 무단벌채 16건 등 총 81건의 산림훼손 행위를 사법 조치하였으며, 현재에도 불법 산림훼손 행위를 지속적으로 단속하고 있으며, 연도별 위성사진, 드론등을 활용하여 불법 산지전용등 산림훼손 행위를 철저히 감시 및 순찰 활동을 전재하고 있다. 그러나 자치경찰의 이 단속행위는 분명 한계가 있고 도민 사회 모두가 함께 주인의식을 가지고 적극 동참할 때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요즘 어느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큰 관심과 사랑을 받았던 제주소년 오연준 군의 ‘바람의 빛깔’ 노랫말에 “얼마나 크게 될지 나무를 베면 알 수가 없죠”라는 내용이 있다. 제주의 나무들이 얼마나 크게 될지 우리 모두가 지켜보는 노력이 지금부터 시작되기를 기원해 본다. |
|
[종합] 제주 기획조정실장 양기철·서귀포 부시장 김원칠
제주농협, 신사옥 옆 주차장 15일부터 주민 개방
제주 어르신 '기초질서 지킴이' 활약상 빛났다
‘작별하지 않는다’ 표선 한모살 4·3학살터 표지석 어디로
구좌농협 송철주·오복민 부부, 7월 '이달의 새농민상'
[양병우의 문연路에서] 삼나무, 천덕꾸러기 취급되어서는 안…
'원거리 출어' 제주 갈치 위판량·위판액 모두 늘었다
[해설] 제주도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 배경은…
[양건의 문화광장] 호암 양창보, ‘바람의 섬과 붓끝 사이’ …
제주서 렌터카로 고의 사고… 보험금 편취 일당 덜미
서귀포도서관, 여름방학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제주자치도의회 국민의힘 원내대표 구성.. 수석 …
'디지털시대, 우리 아이의 뇌 어떻게 지킬 수 있…
우도면 오봉리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선…
제주연구원 조직개편.. 미래대응전략실 신설
제주 여름 감성 품은 '이호 필터 페스티벌' 18일 …
'체육영재학교' 설립 추진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윤호중 행안부 장관 18일 인사청문 주목
문대림 의원, 양식업 신재생에너지 자가설비 설…
제주 지역 자살률 전국 최고… 예방 사업 강화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