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는 아동학대
2021-02-22 13:00
허성환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끊임없는 아동학대


외국 문학 작품을 읽다 보면 어린 시절을 가족과 함께 호숫가에서 낚시를 하며 보냈다거나, 물고기 잡는 법을 배웠다거나, 나무를 베어 통나무집을 지었다거나 하는 구절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혹은 잔디를 깎는 법에 대해서, 인디언 텐트에서 지낸 날들에 대해서, 자신의 비밀을 지하실에 넣어 뒀다는 따위의 소소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물론 우리에게도 옥상이나 다락방, 뒤뜰, 앞마당의 이야기들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한국 문학에서 찾아보는 유년 시절의 이야기들은 시절 탓이기도 하겠지만 대부분 가난과 부모의 불화와 먹지 못해 힘겨웠던 이야기와 부모나 선생님에게 맞으며 자랐던 이야기들이 많다.
개인의 유년기는 그 나라의 문화나 정서와 관련되어 있다. 격동기를 겪은 우리의 상황을 생각하면 포근한 유년기를 보낸 사람이 그리 흔치 않다는 것쯤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 문학 속에서 쉽게 찾아지는 유년시절의 따뜻한 정서가 부럽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정서가 삶의 바라보는 시선을 결정한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폭력이 폭력으로 인정되지 않던 시절이 있었다. 부부간의 칼을 든 싸움도 가정의 문제로 치부되고, 아이를 학대하는 부모의 행위도 자식을 걱정하는 부모의 염려로 치부되고, 학교에서 아이들을 때리는 일도 사랑의 매 혹은 지도라는 이름으로 묻히곤 했다.
우리가 아동학대나 폭력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건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다. 그럴만한 문화가 형성되지 않은 탓이다. 그러다 어느 순간 우리는 폭력이 더 이상 사랑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모가 아이를 때리는 일로 고발당하는 일이나, 부부간의 갈등에 공권력이 개입되고, 사랑하는 연인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이 데이트폭력이라는 이름으로 엄벌을 받는 일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일어난 일다. 그 동안 폭력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이 많이 달라진 탓일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변화하는 의식을 따라오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뉴스를 통해 아동폭력 소식을 들어야 하고 아이들의 죽음을 목도하는 것은 슬프다 못해 개탄스러운 일이다. 자식을 개인의 소유물로 여기는 부모들의 생각이 달라지지 않는 이상, 아이를 한 인격체가 아니라 단순히 보살피고 지도해야 하는 대상으로만 여기는 풍토가 달라지지 않는 이상 이런 폭력은 계속될지 모른다.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고유한 인격을 가지고 있는 인격체다. 아이들은 한 인격체로 존중받고 사랑받아야 하는 존재들이다. 미숙한 아이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며 학대하고, 하나의 인격체를 인격적으로 대하지 못하는 사회적 문화와 분위기가 하루 빨리 달라져야 한다.
최근 아동학대 뉴스가 줄을 잇는다. 세계 속에서 우리의 위치를 생각해 보면 여전히 이런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된다는 것은 낯부끄러운 일이다. 더 이상 아이들을 향한 학대나 폭력,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뉴스를 통해 만나지 않았으면 한다.
허성환(농협 구미교육원 교수. 010-2805-2874)

No 제목 이름 날짜
2930 반복되는 사회적 폭력 이대로 괜찮을까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산아 05-28
2929 코로나19 시대 관광, 변화에 맞게 해야  ×1 비밀글 변정윤 05-28
2928 위기상황 똘똘 뭉치는 대한민국 근성 꺼내야 할 때(환경의 날 맞아 환경 보…  ×1 허예진 05-28
2927 농어촌민박, 재난배상책임보험에 6월9일까지는 꼭 가입하셔야 합니다  ×1 ×1 비밀글 김지훈 05-27
2926 목재수확, 임업선진국의 시작  ×1 산림조합중앙회제주지역본부 05-27
2925 코로나로 알아보는 제주관광 산업의 발전방향  ×1 비밀글 변정윤 05-27
2924 현대사회의 근본이자 무너진 무죄추정의 원칙  ×1 ×1 강산아 05-27
2923 무분별한 농약 사용 과연 안전한가  ×1 김지환(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05-26
2922 제주도 코로나 19 안전지대 아니야  ×1 ×1 강산아 05-25
2921 코로나-19가 불러온 ‘플라스틱 대란’  ×1 ×1 김소현 05-25
2920 2030 무공해차 전환 100 전기차의 효능과 혜택, 환경적인 결함은 무엇일까  ×1 강향기나 05-24
2919 식탁에 올라온 미세플라스틱, 플라스틱 사용 줄여야  ×1 김두아 05-24
2918 친환경 제주, 도시 숲과 공원이 답이다.  ×1 송민주 05-24
2917 전동 킥보드 편리함 뒤에 숨은 위험성  ×1 현수진 05-24
2916 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다연 05-23
2915 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다연 05-23
2914 제주 환상자전거길 제대로 활용이 되는가? : 환장자전거로의 전락  ×1 강지원 05-21
2913 개인형 이동장치(전동 킥보드) 안전하게 알고 타야 하는 ‘개인형 이동장…  ×1 김다빈 05-20
2912 가정의 달 5월, ‘가정위탁의 날’을 아시나요?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5-20
2911 바다의 날에 즈음하여  ×1 ×1 고기봉 05-18
2910 주거,복지를 통합한 고령자복지주택 확충을 바라며 고경희 05-17
2909 코로나19와 교통안전 결국 예방이 먼저-'안전속도 5030'정책 시민 동참이 절…  ×1 허예진 05-17
2908 [기고]안전한 교통 환경을 위해 불법 주·정차 이제 그만!  ×1 양지온 05-11
2907 (기고)‘길잃음 사고’ 예방, 우리모두 안전히 집으로  ×1 ×1 비밀글 노형119센터 05-11
2906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블랙야크와 함께하는 '야크 …  ×1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