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주문만 스마트하게? 포장 배출도 스마트하게!
2020-12-25 18:50
홍석준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된 지 거의 1년이 다 되어간다. 그 속에서 우리는 방역을 위해 덜 나가고 덜 모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을 이어가게 됐다. 다소 답답하고 불편하지만 나와 가족 그리고 이웃 모두를 위한 선택으로 전염병에 맞서고 있다. 그리고 생활또한 자주 나가지 못하는 현 상황에 맞추어 바꾸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배달’이다.
배달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되기 이전부터도 꾸준히 인기가 높아지고 있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되자 외출하지 않는 생활이 권장됐고, 이에 자연스럽게 배달의 빈도가 향상되었다. 꼭 배달 뿐이 아니더라도 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빈도 또한 상당히 늘어났다. 그리고 늘어난 배달량과 포장량 만큼 그와 관련된 폐기물 또한 늘어나게 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기존 매립장들이 잔여 매립공간이 얼마 남지 않고, 일부는 수용량을 넘어선 ‘과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어 폐기물의 적합한 처리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졌다. 이에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실시, ‘재활용 도움센터 설립’ 등 재활용 가능 자원의 자원순환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실시해왔다. 그러던 중 ‘배달용기’와 ‘포장지’ 폐기물이 늘어나는 상황에 놓였고, 이를 적절히 처리해야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서로간의 거리유지로 전염병을 방지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거리두기로 인해 바뀐 생활방식이 우리 생활환경을 망가뜨리지 않도록 좀 더 세심하게 관심을 기울이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 코로나 19에 이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폐기물 포화문제까지 겪지 않기 위해선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할까? 지금까지 해왔던 폐기물 분리배출 노력에 아주 살짝만 더해서 ‘새롭게 늘어난 폐기물’들을 올바로 배출하도록 조금 더 신경쓰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포장비닐이나 배달용기, 종이에 기름이나 소스가 묻었다면 따로 분리해 가연성으로 버리자. 특히 플라스틱 용기도 이물질이 잔뜩 뭍어 있다면 분리배출이 어려우므로 가능한 새척 후 재활용으로 배출하면 좋다. 혹시 페트병이 생겼다면, 현재 페트병 별도배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별도배출 함이 설치된 공동주택이거나 근처에 재활용도움센터가 있는 곳이라면 페트병만 구분해서 분리배출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2020년 일상들의 많은것이 바뀌었다. 하지만 변하는 삶 속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것들도 여럿 존재한다. 답답한 상황이 우리에게 번거로움을 주고 있지만 그럼에도 잠시 시간을 갖고 우리가 해야할 일들을 차분히 해나가야, 현 상황을 극복하고 극복 이후의 생활도 문제없이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상황속 사회적 거리두기, 자신도 관리하기, 폐기물도 가려 버리기. 함께 지켜 슬기롭게 우리 자신과 우리들의 생활환경을 지켜나가는 관리왕이 되보는건 어떨까?

No 제목 이름 날짜
3614 도로  ×1 12-26
3613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26
3612 (사)제주YWCA-(사)제주YWCA디지털성범죄상담소, 디지털성범죄 심각성 인식 확… (사)제주YWCA 12-22
3611 우리들이 꿈꾸는 행복한 사회  ×1 이도초등학교 4학년 2반 안유린 12-22
3610 이제는 관심을 가져야 할 용천수  ×1 비밀글 김광민 12-22
3609 물, 아껴야 마르지 않는다.   ×1 김수연 12-21
3608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사)서귀포YWCA 12-21
3607 기후의 미래, 제주의 선택: 탄소 중립으로의 여정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지 12-20
3606 파리들이 사는 세상에 묻지마 폭력이 일어난다면 손용석 12-18
3605 '때문에' 보다는 '덕분에'로 살자!  ×1 오정애 12-15
3604 환경교육도시를 통한 지속 가능한 제주로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 김가인 12-14
3603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서귀포YWCA 12-13
3602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사회적기업가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사회…  ×1 서귀포YWCA 12-13
3601 생태계보호 다 함께 노력해야 (부제 :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시후 12-13
3600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2-13
3599 지구의 몸살, 우리의 자그마한 실천으로  ×1 김찬우 12-12
3598 중대재해! 미리 준비하면 막을 수 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  ×1 ×1 제주특별자치도 안전정책과 황정호 12-12
3597 플로깅으로 청정 제주바다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미래 12-12
3596 함께하면 꿈은 이루어진다  ×1 고기봉 12-12
3595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첫걸음, 제주의 15분 도시 구축  ×1 안서영 12-11
3594 건강한 음주 문화, 행복한 연말연시 비밀글 김혜빈 12-11
3593 [기고] 제주 바다에 일렁이는 플로깅 물결  ×1 양세하 12-09
3592 (사)서귀포YWCA, 제주여성친화도시를 위한 대중매체 성평등 시민모니터사업 …  ×1 (사)서귀포YWCA 12-08
3591 < 2023 강연소감 기록>세계시민강좌 [세계적인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 특별…  ×2 홍수경 12-07
3590 (사)제주YWCA 고미연 회장, ‘제 28회 소비자의날’ 기념식 대통령 표창 수상  ×1 (사)제주YWCA 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