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말 엉터리 운수 보기
2020-12-23 04:39
김승범 (Homepage : http://)
<기고>

연말 엉터리 운수 보기

노형동 시인 김승범

찬바람 쌩쌩 부는 겨울이다. 경자년 쥐의 해가 저물고 신축년 소의 해를 앞두고 있다. 소라고 하니 불쑥 정지용의 ‘얼룩백이 황소’가 떠오른다.

넓은 벌 동쪽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정지용, ⌜향수⌟ 1연(정지용문학관 홈페이지)

마지막 연에는 명절풍속을 넣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없지않지만 그럴겨를도 없이 외우고 싶은 명시다. ‘금빛 게으름’은 애매하여 개념이 잡힐 듯 말 듯 아지랑이처럼 아롱거리며 아삼아삼해진다. 한해가 벌써 아니, ‘벌써?’ 이다. 그동안 하고 싶은 일이 많았는데 어느새 달력의 마지막장이 달랑거리고 있다. 하지만 마냥 아쉬워 할 일만은 아니다. 개인의 삶이나 나라의 삶이나 다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면 맘이 좀 편하기도 하다.

요즘 명리학 공부를 다니고 있어서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 추미애와 윤석열에 대해서 엉터리 사주풀이를 한번 해본다. ‘추미애’는 추하지만 아름다운 면이 있고 애처롭기도 하다. ‘윤석열’은 윤기가 나지만 석두처럼 성질도 있고 고집스럽다. 열정이 지나쳐 결국은 꺾일 것이다. 추미애와 윤석열이 왜 이렇게 싸우는지, 이젠 오히려 정이 들었을 법도하다. 미운 정? 고운정? 애증의 정? 가만 들여다보면 전생에 부부였을지도···. 사람과 바람의 물결은 밀려왔다 밀려가는 것이니, 세인들은 걱정하지 말고 “다 지나가리라” 하고 기다리면 될 일이다.

나라의 운이 쇠하고 어지러워도 때가 되면 영웅이 나타나게 돼 있다. 조금만 더 견디면 이순신 같은 영웅이, 우리나라를 제대로 안정시키고 발전시킬 위대한 인물이 나타날 것이다. 그러니 과히 걱정하지 마시고 하얗게 쏟아지는 눈이라도 감상하며 소확행을 찾아보기 바란다.

아침에 일어나니 쌀쌀한 날씨 속에 갇힌 한라산의 눈도 보이고, 소나무 사이로 아직 다 못 딴 귤을 매단 채인 귤밭이 보인다. 필자도 귤 농사를 짓고 있는데 올해는 밥 빌어다가 죽도 못 쒀먹을 지경이다. 귤 값이 좋지 않아 아직 다 따지도 못했는데, 귤 값은 점점 내려가고 있으니 미치고 환장할 노릇이다.
올해는 수확해도 파치 값이요, 안 따면 나무에서 썩을 판이다. 아내도 힘들게 해봤자 고생만 하는데 내년에는 아예 귤 농사를 짓지 말자고 한다. 뭐 틀린 말도 아니다. 나도 여기저기 쑤시고 아프다. 지금까지 몇 콘테나 따서 팔았지만, 고작 십삼만 원 벌었다.

은행에 갔더니 디디알인가 뭔가 태워야 된다고 하고, 그렇게 한다고 해도 대출이 어려울 것 같다고 한다. 소득증명원을 떼오라고 하니 기가 막히다. 일 년에 십삼 만원 벌었다는 영수증을 갖다주랴? 참 그것도 없다. 현찰 받은 것도 있고하니 통장에 아마 삼만 원쯤 찍혀있을 거다. 은행 문을 나오면서 직원에게 한마디 했다. “굶어죽으렌 햄쑤과?”

국민은 영 죽을 맛인데…. ‘추하다 추미애, 윤석열, 참 아시덜이라시민 그만 싸우라 덜, 영 고라시믄 좀직허다.’ 둘만의 싸움임지, 검찰 저항의 프레임인지? 그러나 역사는 흐르고 “이 또한 지나가리라” 스스로 위로하면서 우직한 얼룩백이 황소를 생각해본다. 내년은 올해보다 좀 나아지겠지 하는 희망을 가져본다. 우직한 황소걸음을 그 누가 막으랴? 퇴고하는 걸 바라보고 있는 아내한테 조심스럼게 말을 건네본다. “고구마나 솔망먹게”

No 제목 이름 날짜
4068 65세 이상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 제도 시행  ×1 심소연 07-08
4067 서귀포시 중앙동 도시재생 거점시설 네이밍 공모전 “ 전국 대상 총149개 …  ×1 서귀포시중앙동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07-08
4066 지역을 살피는 따뜻한 눈길, 성산읍 사회보장 협의체  ×1 윤매순 07-06
4065 고향무정  ×1 ×1 강봉오 07-04
4064 무더운 여름 독서로 이겨내자!  ×1 고기봉 07-02
4063 “초록 감수성, 두 눈에 담고 마음에 심다”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02
4062 2026년 전국장애인체전을 먼저 개최하는 특별한 이유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강수연 07-01
406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6.25 전쟁 75주년 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30
4060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복작…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27
4059 우리 팀이 어린이집으로 향하는 이유  ×1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허성진 주무관 06-27
4058 반려견 등록은 의무입니다  ×1 심소연 06-26
4057 다시 찾아온 제주의 푸르른 바다, 관광 쓰레기 문제에 다시 주목해야...   ×1 신하늘 06-26
4056 지하수를 지키는 가장 힘 있는 목소리, 바로 ‘도민’입니다.  ×1 물정책과 이준호 06-25
4055 6·25참전유공자회 제주지부–한전MCS(주) 제주지사직할지점, 보훈의 달 맞아…  ×2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제주특별자치 06-24
4054 추락하는 서귀포 구도심 상권 이대로 놔둘 것인가?”  ×1 ×1 김장관 06-23
4053 도민감사관의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6-23
405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도박문제예방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20
4051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50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49 무알콜 제도의 필요성: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8 독·미·프국의 ‘폭력으로부터의 보호법' 한국의 과제 '가해자 주거 분리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7 정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1 고동현 06-14
4046 제주에서 울리는 평화의 종, 6.25를 기억하다  ×1 문지하 06-14
4045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심폐소생술(CPR)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14
4044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하루, 세계 리필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유진 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