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2020-12-09 16:30
최유라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으며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가 단순히 중국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국립환경과학원이 발표한 LTP보고서에 의하면, 51%는 국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원인 중에서 미세먼지가 자꾸 생기는 원인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자연적 원인과 두 번째 인위적 원인이다.
자연적인 원인이 몇몇 있지만, 현재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극히 일부에 해당되며 대부분 인위적인 원인으로 나타난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울 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 현장 등과 가정에서 가스레인지, 오븐 등을 사용하는 조리를 할 때도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에서도 많이 발생하며 이러한 행동들이 미세먼지를 최소 2배에서 최대 60배 높게 발생시킨다.

지난 10월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를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 이로 인해 미세먼지가 얼마나 우리 몸에 나쁘다는 것인지 알 수 있다.

미세먼지가 심각해지는 상황이 일어나 내 몸에 영향을 끼치기 전에 우리가 해야 할 행동은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실천 가능한 행동들을 아는 것이며 환경운동연합에서 내세운 미세먼지 행동 안내서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평소에 미세먼지 행동 안내서를 잘 익혀두고, 미세먼지가 심각해졌을 때 실천 할 수 있도록 상기시키려 노력해야 한다.

미세먼지의 문제점은 수없이 많지만 이를 해결해야 하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우리 모두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이지만 자원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할 행동들을 차근차근해 나아간다면 미세먼지가 없는 환경에서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제주대학교 수학과 2학년 최유라

No 제목 이름 날짜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
3971 세계 물의 날을 맞이하여  ×1 고기봉 03-15
3970 (사)제주YWCA, ‘2025 1차 이사실무자 연수’ 진행  ×1 (사)제주YWCA 03-12
3969 길어진 바닷속 여름, 수산물이 사라지고 있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12
3968 3월 22일 물의 날, 제주 지하수가 마르고 있다  ×1 김현우 03-11
3967 도민감사관 직무와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3-11
3966 (기고)고향사랑기부로 함께하는 ‘제주오름 지킴이’  ×1 제주시 양은옥 03-10
3965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미소이음(친사회성증진프로그램)…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