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들의 무관심 속에 사라져가는 제주 용천수
2020-12-03 18:18
이창석 (Homepage :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이창석

무분별한 개발로 오염ㆍ훼손되는 제주 수자원 공급의 중심 용천수
개인하수처리시설이 용천수 오염의 주요인


대수층을 따라 흐르는 지하수가 암석이나 지층의 틈을 통해 지표면으로 자연스럽게 솟아나는 지점을 용천이라 하고, 이 물을 용천수라고 부른다. 제주는 옛날부터 물 공급을 용천수에 크게 의존해왔다. 상수도가 없던 시절 제주도민에게 용천수는 단순히 식수로서뿐만 아니라 목욕이나 빨래 등 생활과 밀접하게 사용되었고, 자연스럽게 용천수를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99년 조사 당시 제주 용천수가 1025곳으로 조사됐으나, 2013~2014년 조사에서는 661곳만이 확인되었다. 매립되거나 멸실된 용천수가 270곳이고, 확인할 수 없는 용천수가 94곳이었다. 조사된 용천수 661곳 중에서도 보존 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수량이 부족해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곳도 있었다. 용천수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611곳 중 199개소는 이용되고 있으나 나머지 70%(462곳)는 이용되지 않는 상태였다.


개인당 물 사용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한 생활하수 발생량 증가,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 오염물질의 유입 통로가 되는 허술한 지하수공, 정화시설을 갖추지 않은 불법 축산폐수배출, 비료와 농약의 과다한 사용이 제주 용천수의 보전ㆍ관리의 위협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도청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제주도 내 잠재오염원 15,138곳 중 개인하수처리시설이 10,058곳으로 잠재오염원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정폐기물 배출시설 1,456곳, 가축 분뇨 배출시설 1,279곳으로 심각한 잠재오염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용천수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ㆍ제도적 관리방안이 미흡한 실태이다. 예로부터 제주도민들의 생명수였던 용천수를 보호하기 위해, 용천수가 솟아나는 장소에는 반드시 돌담을 쌓아 올려서 가축의 출입을 막거나 또는 주변부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보호하였다. 하지만 1953년 상수도의 보급이 진행되고 용천수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이 줄어들고 관리가 소홀해졌다. 특히 마을에서 용천수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인공 시설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원형을 훼손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환경문제가 세계적으로 심각한 현대사회에서 깨끗한 수질의 제주 용천수는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열쇠이다. 도민들의 애정 어린 관심으로 제주의 소중한 자산 용천수를 되살려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행정에서의 제주의 수자원 용천수의 전문적인 보호ㆍ이용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고, 더 이상 지체되어서는 안 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
3989 [기고]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풍수해·지진재해보험!  ×1 장명서 04-16
3988 "제주, 가로등 불빛의 밝혀 드립니다. “한 줄기 빛으로 시작되는 안심의 …  ×1 심소연 04-14
3987 봄철 부주의 화재, 예방이 최우선!  ×1 제주소방서 외도119센터 조영수 04-14
3986 환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다  ×1 ×1 강지상 04-11
3985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11
3984 (기고) 비밀글 박승빈 04-10
3983 전동가위 사고 주의! "안전이 수확의 시작입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4-10
3982 (기고)제주 바다를 지키는 작은 실천, 플로깅의 힘 제주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4-10
3981 불법 소각, 더 이상은 안 됩니다  ×1 ×1 아라119 센터장 김승률 04-09
3980 두 바퀴 위의 제주, 변화의 길을 찾다  ×1 오명수 04-07
3979 산불, 우리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  ×1 김제현 04-04
3978 [기고] 봄철 산불,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회재난으로 이어집니다.   ×1 ×1 김지훈 04-04
3977 119구조대가 알려주는 봄철 안전하게 산행하기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4-02
3976 고사리 채취 안전수칙!  ×1 제주특별자치도의용소방대연합회 여성회장 03-31
3975 서귀포시노인복지관, 고치모영봉사단 어반스케치팀 '겨울이야기25' 작품…  ×2 서귀포시노인복지관 03-27
3974 [기고] 오동통통 고사리 안전하게 따세요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3-27
3973 (기고)김 육상양식산업의 미래, 제주 염지하수가 답이다  ×1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김수강 03-26
39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노동 인권 교육…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