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2020-02-20 00:35
고기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제주 도민안전공제보험 제도를 아시나요?
사람은 누구나 삶에 있어서 안전해지려는 기본적인 욕구가 있다. 이에 국가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국민에 대한 안전은 선택과 배려가 아닌 반드시 이행해야 할 책임이라고 본다.
이런 연유에서 최근 일부 지자체들은 시민안전보험이라는 새로운 보험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우리 주변에도 여전히 보험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등 사고를 당했을 때 삶에 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제주도민안전공제보험은 도민들이 일상생활 중 예상치 못한 각종재난·재해로 사고를 당했을 경우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 시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안전한 행복 제주 구축에 앞장서기 위해 추진 중인 제도이다.
제주도가 보험회사와 직접 계약을 하고 이를 통해 피해를 입은 시민들에게 금전적 지원을 제공한다. 가입대상은 제주도에 주민등록을 둔 모든 시민으로 등록외국인과 계약 기간 중 제주도로 전입한 시민이라도 보험의 보장대상이다.
제주도민인 경우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자동으로 보험의 대상에 포함돼 혜택을 받게 되므로 시민들의 편의가 증진되고 사회안전망의 실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민안전공제보험은 자연재해, 폭발, 화재, 붕괴, 대중교통, 뺑소니, 무보험차량사고, 강도사고, 스쿨존교통사고, 성폭력 상해, 농기계사고로 보험자가 입게 되는 사고에 한하며, 보장금액은 사고유형별로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된다.
특히 도민안전공제보험은 다른 보험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보상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재난 및 사고로 인해 일상의 어려움을 겪는 시민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험의 보장범위에 포함되는 재난 및 상해 등을 입은 시민은 관련 증빙서류를 첨부해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면 수령할 수 있으며, 보험계약 기간 중 발생한 사고라면 사고일로부터 3년까지 보험금 청구가 가능하다.
제주 도민안전공제보험이 제주도민 모두가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뿐 만아니라 사회의 관심과 각종 제도적인 혜택 밖에 놓여 있어 작은 사고에도 생활 자체가 위협받는 사회적 약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로 정착돼 더블어함께 사는 사회를 만들어나가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래본다.
사고접수 및 보상관련 문의는 064-710-6918 또는 전국 02-6900-2200 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강사 고기봉(행정학 박사 )

No 제목 이름 날짜
3471 무늬만 친환경, 그린워싱!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유영 06-19
3470 계속해서 증가하는 보이스피싱 사고, 예방법은?  ×1 비밀글 제주대학교 3학년 문동혁 06-18
3469 이상 기후 발생 더불어 낙뢰 피해까지.. 엘니뇨 현상 때문?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아름 06-16
3468 제주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방향 제언  ×1 ×1 강봉오 06-15
3467 제주특별자치도의 기초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방향 제언  ×1 ×1 강봉오 06-15
3466 무더운 여름 전기 값을 아낄 수 있는 방법들   ×1 비밀글 제주대학교 3학년 문동혁 06-14
3465 제7회 노인학대 예방의 날을 맞이하며  ×1 [2] 정상섭 06-14
3464 해양보호 구역 확대를 기대하며 해양 생태계에 관심을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김주영 06-13
3463 재미 삼아 쌓은 돌탑, 그 밑에 생명들이 살아있다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고도은 06-12
3462 다문화 자녀의 건강한 정체성 형성  ×1 김지혜 (제주대학교 4학년) 06-12
3461 우리나라 다문화 행사의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  ×1 김유리 (제주대학교 4학년) 06-12
3460 제주 올레길, 안심하고 걸어요!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지우 06-11
3459 일회용품컵 보증금 제도, 더욱 활성화 해야한다.  ×1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양미래 06-10
3458 AI 기술, 위기인가, 기회인가 문경환 06-09
3457 '쓰레기 섬' 되어가는 제주바다, 이대로 가면..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고현준 06-09
3456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2023년 찾아가는 섬마을 이동복지관 “ᄎᆞ자…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06-09
3455 제주포럼 청년세션, 성황리에 마무리  ×1 김수정 06-08
3454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입소생 김**양, 여성가족부 장관표창상 수상  ×2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06-07
3453 '세계 사막화 방지의 날'을 맞아 제주 바다의 사막화에 관심 필요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이나경 06-07
3452 장애인 인권, 이제는 진정한 실천이 필요할 때  ×1 제주대학교 4학년 김수준 06-05
3451 고향사랑기부제를 아시나요?  ×1 김형배 06-04
3450 기고문  ×1 ×1 비밀글 양성준 06-02
3449 자율방범대의 위상과 역할  ×1 ×1 양대석 06-02
3448 현충일을 맞이하여 태극기 올바르게 게양하자  ×1 비밀글 송현서 06-01
3447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아름 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