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노망
2020-02-04 01:18
|
|||
---|---|---|---|
손계생 (Homepage : http://)
|
|||
얼마 없어 그 할머니는 돌아가셨는데 치매였던 것이다. 그나마 그 할머니는 “조용하고 얌전한” 치매였던 같다. 그때는 치매환자가 많지 않았다. 아마도 수명이 지금보다 짧아서 그랬을 것이다. 치매를 앓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았기에 치매로 인한 증상 중에 이상행동을 하면 고의로 하는 것처럼 여겨서 “노망”한다고 했던 것이다. 아마 치매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미국 대통령을 지낸 레이건이 치매환자라고 고백하면서부터 아닌 가 쉽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시행 된지도 12년째다 그 동안 치매, 중풍 등으로 스스로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는 많은 어르신들을 만났다. 또한 그 가족들을 같이 많이 만나면서 어르신보다 더 힘들어하는 모습도 보게 된다. 그 어떤 질환보다는 치매가 제일 힘들고 문제가 많은 것 같다. 거동이 힘든 상태보다 신체기능은 정상에 가까운데 인지상태가 정상이 아닌 분들은 여러 가지 치매 증상으로 인해 가족들을 힘들게 한다. 심한 경우에는 도저히 같이 지낼 수가 없고 가족과 따로 떨어져 병원이나 시설 등에 모실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가족 중에 누가 항상 같이 지내면서 수발을 해야 하는데 그럴 수가 없는 것이다. 핵가족화 되면서 아예 돌볼 가족이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리고 치매는 노인이 아닌 젊은 층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정부가 치매를 개인 차원이 아닌 국가에서 돌보겠다는 “치매 국가 책임제” 선언한 것은 다행한 일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도 치매환자에 대해 수급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혜택을 확대하고 있다. 작년 8월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 중 치매환자가 37.5%로 압도적으로 중풍 등 다른 질환보다 많다. 많은 치매 어르신과 가족들을 만나면서 제일 안타까운 것은 자신을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자신도 모르고 배우자도 모르고 자식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이다. 우주개발도 좋고 AI시대도 좋지만 치매 치료제는 왜 빨리 못 만드는지 모르겠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치매 국가책임제” 실현하기 위하여 치매 수급자를 확대하고 치매 전담기관 확충 등 노인장기요양보험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치매환자와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무엇보다 치매 없는 세상이 빨리 오길 기대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주지사 손계생 |
|
제주서 달아난 성범죄자 뒤늦은 국제공조수사 '논란'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 검증 요구 국토부 입장 주목
제주지역 외국인 소유 주택·토지 얼마나 되나
서로의 빈 공간 채워가는 하모니, '空' 세 번째 이야기
만 나이 시행, 해수욕장 알박기 철거 등 '6월 달라지는 법'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5월 31일 제주 뉴스
[강권일 시민기자의 눈] 제주 등산문화를 선도할 산악인 14명…
제주 임진희 KLPGA 시즌 2승 도전장 던졌다
제주 강상현 첫 출전 세계선수권 금메달
[제주포럼] "오염수 먹어 가며 물질해야 하나.. 기가 막힐 노…
한때 잘나가던 제주 주택시장 침체 국면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6월 1일 제주 뉴스
비양도 도항선 충돌 사고… 올바른 대응 방법은?
바뀐 코로나 격리 지침... 제주 직장인들 벌써부…
제주·완도 사수도 관할권 분쟁 다시 헌법재판소…
"담배 대신 구해줄게… 3000원만 줘" 20대 남성 2명…
강창용 제주도체조협회장 아시아선수권 선수단…
불법체류 들킬까 봐 줄행랑… 20대 인도네시아인…
[종합] 1년 반 지켜보다 방치 차량 강제 처분 나…
제주 여성 1인 사업장 안심벨 사업 확대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