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률과 환경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생활 속 작은 변화를 바라며
2019-12-16 01:09
|
|||
---|---|---|---|
강준형 (Homepage : http://)
|
|||
10년 전 중·고등학생 시절에 나는 캔 음료나 길거리 음식들을 먹고 나온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공원에 비치된 ‘삐그덕 삐그덕’ 소리 나던 은색 쓰레기통이나 공공화장실 세면대와 대변기 칸마다 비치됐던 파란색 휴지통을 찾아다니며 버리곤 했고 가정에서 발생하던 쓰레기들도 한데 모아 아무렇게나 비닐에 싸서 배출하였다. 하지만 요즘은 어떠한 공원, 공공화장실에서도 쓰레기통을 찾아 볼 수 없게 되었고 집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들도 요일별 배출제 도우미 관리‧감독 하에 쓰레기를 분류하지 않고서는 클린하우스 등에 버리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환경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나를 비롯하여 많은 도민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시작된 정책들이고 이로 인하여 실제로 많은 도민들의 환경인식은 높아졌고 함부로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 또한 많이 줄었다. 뿐만 아니라, 빨대 없이 얼음 음료를 먹을 수 있는 일회용 컵 뚜껑과 플라스틱을 대체 한 종이 빨대 등의 제품들이 개발되며 이런 제품들을 사용하는 커피숍이 늘기 시작하였고 거의 모든 음식점에서는 종이컵, 나무젓가락 등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일반 소비자와 나란히 공급자들도 함께 환경 인식과 쓰레기 분류배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개선돼야 할 곳이 많다. 혼밥족 등이 늘면서 편의점 등에서 손쉽게 데우기만 하면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데 편의점에서 먹고 난 후 쓰레기를 처리하려고 보면 쓰레기통이 음식물쓰레기, 병‧유리, 일반쓰레기로만 분류되어 있는 곳이 대부분이고 이로 인하여 종이, 플라스틱 쓰레기등 일반쓰레기가 아닌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들도 일반쓰레기통에 버려지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관공서 등에 흡연부스들이 설치되어 있지만 부스 내 재떨이를 보면 담배꽁초와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통이 일원화 되어 여러 쓰레기들이 분류되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버려지고 있다. 아직 우리가 신경 쓰지 못한 공간에도 기존 쓰레기통 이외 재활용품별로 쓰레기통을 비치하는 등 사소한 변화를 시도한다면 재활용률은 물론 우리 도민의 환경에 대한 인식도 더욱 높아질 것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강준형 |
|
[종합] 제주 기획조정실장 양기철·서귀포 부시장 김원칠
제주농협, 신사옥 옆 주차장 15일부터 주민 개방
‘작별하지 않는다’ 표선 한모살 4·3학살터 표지석 어디로
[2025 제주도교육청 학생기자단] 노형중, 감정과 생각을 여는 …
[양병우의 문연路에서] 삼나무, 천덕꾸러기 취급되어서는 안…
제주 어르신 '기초질서 지킴이' 활약상 빛났다
구좌농협 송철주·오복민 부부, 7월 '이달의 새농민상'
'원거리 출어' 제주 갈치 위판량·위판액 모두 늘었다
제주서 렌터카로 고의 사고… 보험금 편취 일당 덜미
[양건의 문화광장] 호암 양창보, ‘바람의 섬과 붓끝 사이’ …
[해설] 제주도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 배경은…
제주 스노쿨링 하던 40대 관광객 물에 빠져
김창숙 부띠끄 여성의류 기탁
[알림] 스타강사와 함께하는 JDC 톡톡튀는 교육특…
[열린마당] 저출산, 미래를 위한 우리의 담대한 …
[열린마당] 외국인 범죄 예방은 우리 모두의 책…
[김용성의 한라시론] ‘사람 존중’ 자녀 인성 …
[사설] 중소기업 고용시장 활로가 보이지 않는다
[사설] 트라우마센터 국비 전액 지원 관철시켜야
[열린마당] 모두를 위한 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