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제주 바다. 해양 쓰레기 예방이 최선이다
2019-11-21 11:45
김성민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청정 제주바다, 해양쓰레기 예방이 최선이다!


얼마 전 방사한지 열흘밖에 되지 않은 바다거북이 폐사한 체로 발견되었다. 뱃속을 갈라보니 수백점이 넘는 해양쓰레기로 가득 차 있었다. 지난 3월 각각 모슬포와 애월읍에서 발견된 바다거북 사체에선 수십 개의 해양쓰레기가 들어있었다. 이처럼 해마다 수십 마리의 바다거북이 해양쓰레기를 먹이로 착각해 먹고 죽을 만큼 전 세계적으로 해양쓰레기문제는 심각해져가고 있는데 제주도도 예외는 아니다.
제주지역에서는 매년 2만 t 이상의 해양쓰레기가 바다로 배출되고 있지만 그 절반정도 밖에 처리를 하지 못하면서 해양 오염의 심각성이 가시화되고 있다.
일반 쓰레기문제와 다른 해양쓰레기만의 특성으로는 첫째, 이들 쓰레기의 대부분이 해양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잘 썩지 않으며 마모되고 파손되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5mm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한다. 미세플라스틱을 해양생물들이 플랑크톤으로 착각해 섭취하므로 해양생태계에 축적되어 우리의 식탁에도 올라와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며, 빨대나 비닐류의 플라스틱 쓰레기는 투명하여 잘 보이지 않고 해양생물들의 먹이와 유사해 해양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둘째, 수거 및 수거 후 처리과정의 어려움이다. 해양쓰레기는 유동적인 바다환경 특성상 지속적으로 움직이기에 수거가 어렵고 수거하는데 선박을 이용해야하므로 기존 쓰레기 처리비용의 2배 이상 비용이 소모된다. 또한 쓰레기가 바다를 떠돌아다니며 이동하므로 책임소재가 불분명해 지자체간에 관할논란도 비일비재하다. 또한 수거 후에도 해양쓰레기는 염분을 머금고 있어 이를 제거하거나 플라스틱을 재처리하는 과정에서 2차오염이 일어나기 쉽다.
이러한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어구관리정책을 도입해야한다. 해상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류는 폐어구·어망이 대부분이다.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는 폐스티로폼의 경우 쉽게 부서지는 저밀도 부표를 친환경 인증제품으로 교체 시 일정 금액 지원하는 정책이나 부표의 생산-구매-회수-재활용 등 전 생애주기 관리를 위해 어업용 폐스티로폼 통합관리시스템을 도입해야한다.
둘째로 제주도민들의 해양쓰레기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해양쓰레기는 육상쓰레기와는 달리 주민들에게 악취나 미관 훼손 같은 문제가 보이지 않으므로 의식하기 쉽지 않다. 또한 바다에 버리더라도 바다가 넓고 쓰레기가 금방 이동해버리므로 상대적으로 도덕적 가책도 느끼기 힘들다. 그렇기에 우리는 해양쓰레기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야 하며, 우리에게 어떠한 악영향으로 돌아올지를 생각해야 한다.
해양쓰레기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며, 우리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태이다.
우리가 바다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후손들에게 깨끗한 제주바다는 설화처럼 책에서만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제주대학교 2학년 김성민

No 제목 이름 날짜
2634 기고문(청렴한 제주! 우리가 모범이 되어야)  ×1 ×1 자치행정과 04-16
2633 봄철, 소각행위는 불법이다.  ×1 ×1 강성원 03-30
2632 2주간의 골든타임 '사회적 거리두기' 너나없다.  ×1 강인규 03-30
2631 [기고] 데이트 폭력, 피해신고가 생명을 지켜준다.  ×1 김문석 03-30
2630 기고문(코로나19 경험으로 되돌아보는 친절)  ×1 ×1 고영길 03-28
2629 (기고) 불법소각에 우리 자연과 농작물은 오염돼가고...  ×1 삼양동 03-24
2628 영논철 농기계안전, 교통사고 없는 행복한 제주 농촌  ×1 고기봉 03-22
2627 세금과 즐거움의 크기  ×1 ×1 삼도1동 차무관 03-20
2626 (기고)깨끗한 자연을 위한 시작, 탄소포인트제 참여  ×1 ×1 양현주 03-16
2625 기고) 음주운전, 음주폭력, 아닌 지금은 코로나 종식위해 함께 뜻을 모울 때  ×1 김문석 03-14
2624 [기고] 내게 배정된 마스크, 양보합니다!  ×2 김양우 교수(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03-13
2623 [기고] 이호동 김건_안전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한 작은 손길  ×1 이호동 김건 03-13
2622 코로나19의 위기... 상생으로 극복하자!  ×1 농협 구례교육원 이은영교수 03-12
2621 불법소각에 대처하는 의용소방대장의 당부   ×1 ×1 남원남성의용소방대장 홍창보 03-11
2620 기고  ×1 ×1 비밀글 홍정민 03-10
2619 제주산림,IT 기술로 지킨다  ×1 고호영 03-06
2618 지키기 쉬운 5가지 '코로나19' 대응법  ×1 강인규 03-06
2617 코로나19 극복위한 안전문화 실천  ×1 ×1 위미여성의용소방대 대장 강미숙 03-06
2616 코로나- 생활 속 방역  ×1 안성희 03-05
2615 코로나19   ×1 ×1 김민호 03-05
2614 [기고]코로나19 장기화, 취약계층 어린이에게 각별한 관심을….  ×1 ×1 제주가정위탁지원센터 03-03
2613 '코로나19' 예방수칙 준수로 다 함께 이겨내자!  ×1 고기봉 03-01
2612 기고) 신학기 학교폭력 예방,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이 모아질 때  ×1 김문석 02-28
2611 한시 발표회 김세웅 02-24
2610 제주 한화 호텔&리조트, 봉아름지역아동센터에 목욕서비스 제공.  ×1 봉아름지역아동센터 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