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김치 한 포기의 의미
2019-11-20 11:05
유승훈 (Homepage : http://)
김장김치 한포기의 의미

이름 :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연락처 : 010-8612-7801

하루 세끼식사에 빠지지 않고 올라오는 반찬이 있다. 그것도 배추, 무, 갓, 파에 갖가지 양념이 버물어져 그 이름을 달리하여 여러 종류가 올라온다. 바로 우리네 김치이야기다. 식생활 패턴이 쌀밥에서 대체식품으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지만 김치만큼은 대체식품이 없는 듯하다. 어떤 음식을 먹더라도 김치생각이 간절한 걸보면 아마도 우리의 김치사랑은 쉽사리 변하지 않을 것 같다. 입맛은 쉽게 변하지 않는 것 같지만 김장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많이 변화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올해 10가구 중 6가구만이 김장을 직접 담을 계획이 있다고 한다. 시판김치를 구입하겠다는 비중은 전체 조사 가구 중 19%로 조사됐다. 이는 2014년 8% 비율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김장을 생략하거나 구입하는 비율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김장에는 단순히 반찬을 만들어 먹는 것 이상의 의미가 들어있다. 집집마다 김치맛이 다르듯이 우리 집안의 음식문화를 대표하고, 이웃과 연대감을 나누는 정다운 풍습이 담겨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던 이유이다. 즉 대한민국에서 김장은 여러 세대에 걸쳐 가정에서 전승되고 있고, 동절기에 대비한 나눔과 공동체 문화를 상징한다. 또한 사회 구성원들간 결속과 연대감 강화를 통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부여한다. 그래서일까 예로부터 김장을 담그는 날은 특별히 손 없는 날을 정해 모든 집안 식구들, 이웃들이 모여 다음 한해를 준비하는 행사처럼 진행되었다.

케이웨더 발표에 따르면 올해 김장하기 좋은 시기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11월 하순부터 1월 상순까지로 전망했다. 일 평균기온이 4℃ 이하이고, 일 최저기온이 0℃ 이하로 유지될 때 김장을 하면 가장 좋은 맛을 낸다고 한다. 이제 곧 김치를 맛있게 담을 수 있는 김장철이 돌아온다. 이번 김장철엔 가족들과 함께 김장을 하는 날을 정해보는 것은 어떨까? 김장문화를 각자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여 가족과 함께 모여서 특별한 활동을 하는 날로 정해보는 것이다. 아이들과 모여 놀이처럼 김치를 만들고, 김장의 의미에 대해서 아이들에게 설명해 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다 만들어진 김치는 정을 담아 이웃집과 나누어 먹으면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고 각박해져가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김장을 담그는 하루 만큼은 정을 나누는 곳에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소중한 날로 만들어 보자. 전국 곳곳에서 김장 나눔 행사도 진행되고 있으니 가족 모두 참여해 뜻깊은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김장을 할 때면 간이 맞는지 보라며 배추 한줄기 크게 뜯어 입에 넣어주시던 어머니의 모습이 아련하게 생각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396 다가오는 지구의날 ‘기후행동’ 실천하자  ×1 [2] 조호준 04-20
3395 (주)제이피엠 아름다운가게에 물품 기부  ×1 [1] (주)제이피엠 04-20
3394 숲길 걷기의 작은 에티켓  ×1 ×1 [4] 강한종 04-19
3393 장애인 인권, 이제는 진정한 실천이 필요한 때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수준 04-19
3392 제주환경을 살리고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 플로깅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조은빈 04-19
3391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산남새마을금고골프회부녀회산악회와 어르…  ×1 [5] 서귀포종합사회복지관 04-18
3390 제주관광 고부가가치화 전략 "웰니스"  ×1 ×1 [1] 고현숙 04-17
3389 제주올레길도 걷고, 클린올레도 하고  ×1 [2] 고상선 04-17
3388 방구석 작은 생태계 '테라리움' [4] 제주대학교 이유라 04-16
3387 [기고] 아파트 지하주차장, 반지하주택 침수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1 ×1 장명서 04-15
3386 우리의 일상이 된 미세먼지! 지혜롭게 대처해야  ×1 고혁준 04-14
3385 건강한서귀포시만들기  ×1 ×1 [1] 김태문 04-14
3384 사회적경제활성화 제주네트워크, 2023년 대표자회의 개최  ×1 (사)서귀포YWCA 04-12
3383 YWCA제주특별자치도협의회 여성신학아카데미 개최  ×1 [2] (사)서귀포YWCA 04-12
3382 제12회 우도 소라축제에 놀러 오세요.  ×1 우도면 04-12
3381 사람중심 '살고 싶은 도시' 서귀포시 만들기  ×1 [1] 윤매순 04-11
3380 작은나눔봉사회 후원물품 기탁  ×1 제주노인복지센터 04-11
3379 농업의 미래를 준비해야 비밀글 본문참조 04-11
3378 제주올레길도 걷고, 클린올레도 하고  ×1 [1] 고상선 04-06
3377 쓰레기로 하는 제테크 '쓰테크’  ×1 조호준 04-06
3376 동네를 지켜야 지구가 산다.  ×1 고기봉 04-05
3375 전동 킥보드, 우리도 파리처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성환 04-04
3374 4월 5일 식목일날 나무를 심어, 기후변화에 대응하자  ×1 [2] 제주대학교 3학년 문동혁 04-04
3373 위기임신출산 긴급전화 1422-37 사회공언 파트너십 협약 체결  ×2 애서원 04-04
3372 「에너지 효율향상 지원사업」활용을 통한 스마트한 비용 절감  ×1 에너지효율부 효율향상팀장 김 정 웅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