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환경교육은 선택 아닌 필수)
2019-09-29 17:18
고기봉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환경교육은 선택 아닌 필수
함께해요, 플라스틱 폐기물 줄이기

인류의 역사는 석기, 청동기, 철기와 같이 그 시대를 대표하는 도구로 구분된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훗날 어떻게 기록될까? 아마도 플라스틱기(Plastic Age)라고 부르지 않을까 싶다.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데는 5초가 걸린다. 사용하는 데는 5분, 썩는 데는 500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인터넷 기사를 읽다가 'GPGP'라는 생소한 단어를 발견했다. 태평양에는 한반도 면적 7배에 달하는 거대한 쓰레기 섬(Great Pacific Garbage Patch)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플라스틱 쓰레기가 모여 만든 이 거대한 인공 섬은 99%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게는 자그마치 8만t에 이른다 하여 해양 오염의 대표 사례로 자주 인용된다.
일회용품 사용의 편리함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편하게 사용하다 쓰레기통에 버리면 그만이고, 매일 아침 커피 한잔을 위해 텀블러를 설거지하는 노고를 들이지 않아도 된다. 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돌아가면 되니 내 손을 떠난 일회용품의 향방은 내 손을 떠남과 동시에 생각하지 않아도 그만이다.
따라서 환경을 있는 그대로 잘 보존해가며 살아갈 수 있도록 2세들을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고 시급하다. 현재 자연환경은 후세들로부터 빌려 쓰는 것이므로 현재도 미래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아이들을 중심에 두고 환경정책이 결정돼야 하고 예산 사용도 선후를 따져봐야 할 것이다. 인간에 의한 난개발로 깨진 생태계 평형을 과거 어느 시점 상태로 복원할 것인지도 중요한 문제다.우리는 소비 생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최소화 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환경교육의 최종 목표인 3R만 기억하면 된다. 
즉 발생억제(Reduce), 재활용(Reuse), 재생이용(Recycle)의 3R 정책을 시민, 사업자, 행정기관이 서로 협력 실천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생활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착되길 기대해 본다.
현실적으로 우리 삶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환경교육은 어릴 적부터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효과가 높다. 현재도 많은 환경운동가들이 현재와 그리고 미래의 지구를 지키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어릴 적부터 생활 속에 스며드는 환경교육을 받고 실천하며 자란다면 국민 모두가 환경을 지키는 환경운동가가 되지 않을까 싶다. 교육은 세상을 바꾸는 혁명이다.

제주대학교 시간강사 고기봉

No 제목 이름 날짜
3343 열린평생학습디자인에 도민제안을 담는다  ×1 ×1 문원영 03-06
3342 기고(인공지능 스마트경로당 본격 추진)  ×1 제주도청 유은숙 03-06
3341 왜 제주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위해 노력하는가  ×1 ×1 에너지산업과 오정헌 03-06
3340 우리아이들의 ‘건강한 한끼’, 세이브더칠드런이 함께 합니다  ×1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3-06
3339 들불축제와 함께 제주 축산을 생각한다 비밀글 양창범 03-06
3338 파란 하늘을 위한 작은 실천, 자동차 탄소 중립 포인트제  ×1 고기봉 03-02
3337 제주 미래농업을 위한 혁신의 주체는 농업인이다.  ×1 ×1 비밀글 김혜은 03-02
3336 체리슈머와 로컬푸드  ×1 ×1 비밀글 조정훈 03-02
3335 서귀포YWCA,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모집 신민경 02-28
3334 이도2동, 모두가 함께하는 즐거운동네사업 추진   ×1 ×1 이도2동 02-27
3333 13월의 보너스 고향사랑기부제와 함께  ×1 ×1 한미선 02-24
3332 사회복지법인 청수 한부모와 자녀들 입학&졸업 축하 기념식 개최  ×1 애서원 02-23
3331 (기고)대공간 지하층 피난 안전관리의 중요성  ×1 ×1 안덕119센터 소방사 김덕남 02-22
3330 제이피엠 사랑의 헌혈봉사  ×1 (주)제이피엠 02-20
3329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1 강평구 02-16
3328 정전 사고 예방을 위한 아파트 노후 변압기 교체․지원  ×1 한전 제주본부 영업계획팀장 김경수 02-15
3327 기후위기시대 자연보호 활동의 중요성  ×1 자연보호중앙연맹 표선면지회장 강 희 02-14
3326 중문요양원 화재안전컨설팅  ×1 중문119센터 소방사 강준수 02-14
3325 기고(인공지능으로 어르신의 삶의 질 높인다)  ×1 유은숙 02-13
3324 안전한 물 통합관리에 달렸다.  ×1 고기봉 02-12
3323 기고(윤달 앞두고 화정서비스 확대)  ×1 제주도청 유은숙 02-06
3322 서귀포4-H회장 소고  ×1 ×1 서귀포 4-h회장 소고 02-03
3321 자발적인 마스크 착용의 중용성  ×1 ×1 김성봉 02-01
3320 안전하고 행복한 이사를 위하여  ×1 박창형 01-31
3319 [기고]공사장 용접 작업 시 안전 수칙 잘 지키자  ×1 우도119지역대 소방사 문종호 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