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봄은 아직 멀었다
2019-06-15 03:14
김은아 (Homepage : http://)
나는 유채꽃이 아름다운 섬, 제주에서 태어났다. 지금은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 다니고 있지만 얼마 전 고향에 내려갈 일이 있어서 한 번 갔다 왔다. 간 김에 과제 할 것이 있어 제주 4.3 기념관을 찾아갔다. 놀라울 정도로 사람이 없었다. 이제 그들을 기억하고 찾아오는 이들은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들뿐인 것 같았다. 하긴, 사실 그렇게 놀라울 일도 아니었다. 예부터 이 공원을 찾는 사람은 대부분 제주도에 사는 중고등학생들이었다. 육지 사람들이 방문한다고 하면 그나마도 대부분 수학여행으로 잠깐 방문하는 경우가 거의 전부고, 그나마도 기억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내가 대학에 들어가고 강의 중 이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80명이 넘는 대형강의에서 제주도에 가 본 사람은 그럭저럭 있었지만, 4.3 기념관에 가 본 사람은 제주도에서 온 나 말고는 단 한 명도 없었다. 그 날 그 수업으로 육지 사람들이 제주 4.3 사건에 대해 알고 있으리라는 내 막연한 기대는 무참히 깨져버렸다. 나는 8살 때부터 약 12년간 매년 빠지지 않고 4.3 사건에 대한 계기 교육을 받았었고, 과거청산 사업이 진행되었던 만큼 사람들이 이제는 제주 4.3 사건을 잘 알고 있으리라고 막연히 기대했던 것이다. 확실히 시대가 변해서 제주에 그런 사건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꽤 많이 늘어난 듯했지만, 제주도 밖에서 제주 4.3 사건을 잘 아는 사람을 찾기는 여전히 정말 힘들다.
확실히, 한때 제주 4.3사건의 과거청산 사업이 진행되기는 했었다. 우리는 한동안 침묵을 강요당했다. 제주 4.3사건을 입에 올리는 것조차 금기시되었던 때가 있었다. 그 이름을 입에 올리는 것이 죄가 되었던 때가 있었다. 5.16 군사 정변으로 집권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이 과거사 청산 운동을 철저히 억압하고 탄압했던 그때. 그러나 6월 민주화 항쟁 후 유족들, 제주도민, 사회운동단체가 함께 진상규명운동을 전개했다. 그 후 ‘제주도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제주 4.3 위원회도 출범했다. 2년 6개월 동안의 노력을 거쳐 노무현 정부 출범 후인 2003년, ‘제주 4.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가 나오기도 했다. 그 뒤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를 했었고, 제주 4.3 기념관 건설 등의 위령사업도 진행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4월 3일 제주를 방문해 추념사도 한다.
잘된 일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일까? 대통령이 사과하고, 법이 제정되고 보고서가 나오고 위령사업이 진행되면 끝인가? 대한민국은 과거 역사에 대해서 제대로 끝맺은 게 하나도 없다. 제주 4.3 사건의 계기가 된, 제주도당의 무장봉기를 강압한 미 군정의 입장은 어디에 있는가? 왜 제주도의 그 어느 관광지보다도 찾는 발길이 많아야 할 기념관이 텅 비어있는가? 왜 제주도에서 한 발자국만 나가도 4.3 사건을 제대로 아는 사람을 찾을 수가 없는가?
왜인지는 너무나 자명하다. 그 누구도 제대로 가르치지 않기 때문이다. 역사 교과서에 참고 자료로만 조그맣게 나오는 제주 4.3사건을 학생들이 시험이 끝나고도 기억할 리가 만무하다. 역사 교사들도 다른 부분을 가르치느라 바빠 제주 4.3사건을 설명하는 데 그리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다. 매년 제주 4.3사건을 추모하고 기리기 위하여 진행되는 각종 백일장, 사생 대회, 문예 창작 대회에 참여하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이 제주도 사람들이다. 육지 사람들은 그런 행사가 있다는 것조차 모른다. 그러니 누가 제주 4.3사건을 기억할 수 있을까? 제주 4.3은 여전히 풀어나가야 할 숙제가 많다. 제주도 밖에서는 잊힌 역사나 다름이 없기 때문이다. 역사가 진실을 밝혔다고 끝나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 밝혀진 역사를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다면 600쪽에 달하는 보고서가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과거사를 청산한다는 것은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밝히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과거청산의 시작이다. 그리고 피해자에 대한 배상을 거치고, 책임자 처벌을 거쳐 모든 사람이 그 사건을 기억하게 되었을 때 비로소 끝이 나는 것이다. 때문에 나는 사람들에게 기억할 것을 요구한다. 산들산들 유채꽃이 아름답게 핀 이 생명의 섬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아직도 백비 위에 잠들지 못한 사람이 있다는 것을. 제주의 봄은 아직 멀었다는 것을.

No 제목 이름 날짜
2502 생수 대신 수돗물 사용으로 환경을 보호하자!  ×1 양기혁 11-04
2501 영농폐기물 더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없을까?  ×1 허가람 11-02
2500 대중교통 이용 불편 해소를 위해  ×1 허지영 11-01
2499 사회적기업활성화 제주네트워크 ‘학교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 …  ×1 서귀포ywca 10-31
2498 영주음사 한시 발표회 김세웅 10-31
2497 모두 함께 어우러진 화합의장, 제주애덕의집 '나누미의날'개최  ×2 제주애덕의집 10-30
2496 서귀포시노인복지관 척척척사업단을 마치며...  ×1 박길자 10-30
2495 청렴은 함께 하는 사소한 것에서 부터 비롯된다.  ×1 비밀글 고기봉 10-30
2494 이젠, 자연재해 피해는 풍수해보험으로 보상받자 강인규 10-29
2493 올 가을에는 '호국영웅 강승우 길'을 걸어보자!  ×1 강응봉(군경유족회) 10-28
2492 독자 의견 비밀글 독자 10-28
2491 기고. 폐농약 수거함을 홍보하고 관리하여 환경을 보호하자!  ×1 박찬경 10-27
2490 서귀포YWCA ‘취업 대비 기본 컴퓨터교육’ 개강  ×1 서귀포YWCA 10-25
2489 남해어업관리단,제주도장애인복지관에서 봉사활동 전개  ×2 제장복 10-24
2488 성평등정책관에서 1년...변화를 기대하며  ×1 ×1 김재연 10-24
2487 일본 경제보복의 무기가 '쌀'이었다면 비밀글 김종현 10-23
2486 아이들과 함께 건너는 건널목  ×1 새마을지도자삼양동협의회장 윤 태 훈 10-22
2485 마당극 개최  ×2 김영숙 10-21
2484 대중교통의 효율성을 높이자!  ×1 현수진 10-21
2483 (기고)생명의 문 비상구를 보호하자  ×1 ×1 이도119센터 10-19
2482 서귀포신협 조합원 자선골프대회 개최  ×1 서귀포신용협동조합 10-16
2481 (기고) 누구든지 언제든지 불법주차 찰칵!  ×1 ×1 서귀포시 교통행정과 진승미 10-16
2480 가족과 함께 하는 "어린이 오르미체험 여행" 참가자 모집   ×1 제주인오름 10-15
2479 (기고)119구급대의 이송병원 선정, 믿고 함께해 주시면 안될까요?  ×1 ×1 이도119센터 10-13
2478 OO중독 대신, 너에게 중독  ×1 심소연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