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평화문학상 당선작 ‘눈 살 때의 일’의 오류
2019-05-23 10:21
양대영 시인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제주4.3평화문학상 당선작 ‘눈 살 때의 일’의 오류
양대영 시인

제주4.3평화재단은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2008년 10월 16일 설립된 공익재단이다. 이러한 제주4.3평화재단에서는 제주4.3의 아픈 상처를 문학작품으로 승화함과 아울러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가치를 일깨우는 수준 높은 문학작품의 출현을 기대하며 제주4.3평화문학상을 공모한다. 이번 제7회 제주4.3평화문학상은 김병심 시인의 시 ‘눈 살 때의 일’ 이 당선됐다.
당선작에는 제주도내 24개의 장소와 21개의 문장과 21개의 마침표와 5개의 쉼표가 나온다. 수식어와 피수식어로만 가득한 한 편의 시를 마주했다, ‘간잔지런한’이나 ‘비거스렁이’는 현대를 살면서 마주치기 쉽지 않은 우리말이다. 우리는 시를 읽으며 어머니의 젖가슴 같은 향그러운 말의 고향으로 따라 나선다. 하지만 2031대 1의 경쟁을 뚫고 뽑힌 이 시에는 오류가 하나도 아닌 둘이나 들어 있다. 하나는 지명표기 오류이며 또, 하나는 쪽박과 함박을 구분 못하는 모국어의 오류이다.
이 시 속에 ‘매화차의 아리다는 맛을 사내의 순정이라고 가르쳐준 한경면 금악리 웃동네’라는 부분이 있다. 탐라국 이래 한경면은 단 한 번도 리 소재지로 금악리를 가져본 적이 없다.
다른 하나는 ‘깨어진 쪽박이란 뜻인 함박동, 성공한 사람이 하나도 없다던 그곳에서 태어나 삼촌들의 이야기를 쓸 수밖에 없던 소설가’에서 보이는 모국어의 오류이다. 쪽박과 함박은 다르다.
이 문장에서 시인은 ‘삼촌들의 이야기를 쓸 수밖에 없는 소설가’ 즉 현기영 소설가를 이야기한다. 현기영 소설가는 제주의 4.3을 소재로 ‘순이삼촌’을 쓴 장본인이다. 함박동이 고향인 현기영 제7회 제주4.3평화문학상 운영위원장은 이 당선작을 제대로 읽어보기나 했는지 의문이다. 지형을 따라 지어진 고향 이름 함박동을 쪽박이라고 말하는 김병심 시인의 시를 당선작으로 올렸다.
김병심 시인은 퇴고를 했음으로 미루어 짐작된다. 그런데도 모국어를 잘못 쓴 부분은 퇴고를 하지 못했다. 시인은 모국어를 포기하지 않는다. 시는 모국어를 포기하지 않는다.

No 제목 이름 날짜
2996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은 이렇게  ×1 성산 10-19
2995 스토킹 범죄 신고는 112  ×1 강준익 10-16
2994 청렴과 코로나  ×1 ×1 비밀글 송경아 10-09
2993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9월 뉴스레터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10-08
2992 제주체육고등학교설립의필요성  ×1 강권식 10-08
2991 관광객으로 인한 제주 환경의 몸살, 환경보전기여금으로 회복 노력 필요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소언 10-08
2990 당신의 일방적인 관심! 스토킹 범죄일 수 있습니다.  ×1 박성욱 10-04
2989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제주 바다 이대로 괜찮은가. -오염수 방류에 대한…  ×1 비밀글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은지 10-03
2988 저탄소 농산물 랜선 체험단 모집  ×1 서귀포YWCA 10-01
2987 노인 교통사망 사고 제로화를 위하여  ×1 비밀글 고기봉 10-01
2986 "아폴로 11호"에서 우주여행을 다니는 세상으로  ×1 고경희 10-01
2985 냄비 속 인간  ×1 김대영(제주대학교 행정학과) 09-26
2984 스토킹은 애정이 아닌 범죄입니다.  ×1 윤여정 09-26
2983 제주형 5차 긴급생활지원금 신청하세요  ×1 ×1 제주시 위생관리과 김성수 09-16
2982 청와대 국민청원 고광식 09-15
2981 각종 피싱사기 추석절 대목을 노린다  ×1 강준익 09-12
2980 월드프렌즈, 제주지역사회 위기청소년에게 유기농 생리대 후원  ×1 제주특별자치도일시청소년쉼터(고정형) 09-10
2979 우리가 즐거운 노인일자리  ×1 오영수 09-07
2978 코로나 시대의 특수교육  ×1 강권식 09-06
2977 (기고)인권도서도 읽고 선물도 받으세요  ×1 ×1 강지호(도 자치행정과) 09-03
2976 태풍 대비 『재난행동요령』을 숙지하자!  ×1 서귀포소방서 현장대응과 정용택 08-26
2975 진정한 물 복지 실현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  ×1 ×1 부명숙 08-26
2974 제주외고 대정읍지역으로 이전 공론화 필요  ×1 ×1 고재옥 08-24
2973 농축산물 청탁금지법 선물상한액 폐지 법제화되어야  ×1 제주감귤농협 조합장 송창구 08-19
2972 (기고)더 시원하고 안전하게 여름나는 방법  ×1 노형119센터 소방경 강성철 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