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월 그리고 꽃, 다섯 번째 봄 기억해요
2019-04-09 19:53
|
|||
---|---|---|---|
김민경 (Homepage : http://)
|
|||
하지만 가족의 부재로 마음 한 편이 허전한 이들도 있다. 2014년 4월 16일 그때의 필자는 단원고 친구들과 같은 학년이었다. 학교에서 아침 수업을 듣다가 수학여행단배가 침몰됐다는 얘기를 들었다. 수업을 마치고 생중계로 지켜보는 와중에 전원구조라는 오보와 잘못된 구조 대응으로 시간이 지나도 구조에는 별 다른 소식이 없었다. 그렇게 세월호는 모든 이들에게 통한의 눈물을 남기며 우리들 마음속에 깊숙이 가라앉았다. 지금도 여전히 그날의 진실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세월호 유가족들은 세월호가 잊히는 것이 가장 두렵다고 한다. 억울한 죽음이기에 밝혀져야 하고, 그래서 그들은 진상규명을 위해 오늘도 목소리를 내고 있다. 5년이라는 시간이 흘러 함께 분노하고 울었던 시민들은 이제는 대부분 일상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잊혀져가는 세월호를 기억하려는 움직임들이 곳곳에서 이어져 오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추모행사 및 영화상영, 사진전등이 열리고 있다. 세월호 같은 참사가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우리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월호를 기억하기를 원한다. “기억하지 않으면, 혹은 기록하지 않으면 인생의 모든 일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소설가 김연수의「원더보이」中) 말처럼 꽃을 보듯 당신을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
|
제주도청 김유라 전국단체대항 태권도 '금빛 돌…
제주 최고 '몸짱' 김민서 아사아선수권 은메달 '…
나무 위에 새겨진 예술, 서각의 세계를 만나다
[종합] 양영철 JDC 이사장 사표 수리..김현민 대행…
제주지방 오늘도 낮에 폭염, 밤엔 열대야.. 태풍 …
제주 온열질환 추정 80대 밭에서 숨진 채 발견
수령 72년 추정 한라산 '구상나무 대표목' 공개
서귀포시 기당미술관, 여름방학 어린이미술학교…
서귀포관악단 제88회 정기연주회 '3개의 춤·우주…
나비 연구·제주학 아우른 석주명의 일생…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