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원하는 감귤(만감)
2019-04-02 14:52
|
|
---|---|
부영인 (Homepage : http://)
|
|
어떻게 생산 할 것인가? (삼무포럼서귀포시지회장 부영인) 다양한 과일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는 상황에서 이제는 소비자가 외면하는 감귤(만감)을 생산하지도, 판매해서도 안 된다. 감귤은 우리 제주의 기간산업이요 생명산업인데 우리가 지켜야만 후손들이 살아갈 수 있다는 신념을 가져야 할 때이다. 소비자로부터 호응을 얻으려면 철저한 비배관리와 생리, 그리고 확고한 농업 정신을 가슴에 담고 생산에 주력해야 한다. 소비자가 원하는 감귤(만감)을 만들려면 첫째, 당(糖)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당은 H2O+Co2+햇빛(광)이 조화를 이루어야 상승한다. 꽃이 성냥개비만 할 때와 콩알만 할 때 자방속 당 밀도를 넓게 해 주어야 당 상승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2차 낙과 후 그리고 과일이 탈색될 때 질소질 비료를 시비해서는 안 되며 이온이 3가인 희토류와 포도당칼슘, 그리고 닭털아미노산으로 해결할 수 있다. 둘째, 당산비(糖酸比)에 신경써야 한다. 당(糖)은 13브릭스 정도를 넘어야 하고, 산(酸)은 1%이내에 머무는 감귤(만감)을 생산해야 한다. 셋째, 양낭(갑)이 부드러우면서도 씹히는 정도가 가벼워야 한다. 양낭(갑)을 부드럽게 하려면 봄순이 굳고 첫 세근(뿌리)이 나올 때 자연(천연)가리가 흡수되어야 하는데 토양에서 모자라면 문제가 생긴다. 자연(천연)가리는 불재(불치라고도 함)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구하기가 어려워 부식산(자연가리 9%)을 이용하여 관주해 주면 쉽게 대체할 수 있다. 넷째, 향이다. 감귤(만감)을 먹고 나서 여운의 향이 남아있어야 한다. 특히, 소비자는 향나는 감귤(만감)에 주목하고 있다. 양낭(갑) 속에는 사양(흔히 톡톡 터지는 알맹이)이 2,500~3,500여개가 들어있는데 이 사양이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다섯째, 껍질이 얇아야 한다. 꽃이 성냥개비만 할 때 기온이 14℃가 되어야 토양속 자연 인산이 흡수되는데 기온이 낮으면 껍질이 두껍게 되므로 엽면시비를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 이제 우리는 감귤(만감)의 생리를 바로 알고 비배관리를 철저히 해서 진정 소비자가 원하는 감귤(만감)을 생산해야 한다. 그래야만 좋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한 해가 될 것이라 다짐해 본다. |
|
‘김치찌개 3000원’, 이 가격을 가능하게 한 따뜻한 사람들
제주자치경찰 청소년 상대 변종 '룸카페' 적발
2023 공립 중등교사 임용시험 167명 최종 합격
제주 학교 조리실무사 채용 '발등에 불'… 결원 51명
'명가' 제주서초 화수분 축구 뿌리 내렸다
'12일 폐막' 제주비엔날레 마지막 '무료 관람' 이벤트
'될성부른 떡잎' 제주고 야구 김지혁 업그레이드 본격
어린이집 줄폐원 막는다.. "차액보육료 지원 확대"
제주 '매 맞는 노인' 130~150명.. 가해자는 '배우자·아들'
'공공성 상실' 제주 2.0풍력발전정책 '합동개발' 방식 제시
"근로청소년 나이 설정, 연소자 증명서 신중해야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2월 7일 화요일
민선 8기 신규 정책 추진으로 재정 수요 증가 어…
행정 여건 복잡·다양화에 제주시 법률 자문도 '…
코로나 특수 끝?... 제주 찾는 골프 관광객 발길 …
가수 이승기 공개열애 이다인과 4월 결혼 발표
[카드뉴스] 제주 레지오넬라증 확진자 사망
우당도서관 개관 39주년 맞이 기념행사 다채
제주 한파 피해 노지 만감류 '시장격리' 신청·접…
한층 진화한 창작무용극 '순력'을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