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농업의 가치와 비전
2019-03-19 06:52
|
||||
---|---|---|---|---|
이성돈 (Homepage : http://)
|
||||
제주 농업의 가장 기본적 기능은 건강한 먹거리 공급의 역할이다. 농업은 자연 순환을 토대로 하는 유일한 녹색산업이고 물질순환을 통해 환경을 보전하는 산업이며, 정착 생활 이후에 꾸준히 인간과 함께 해온 산업이며, 생명을 지지하는 산업이다. 제주농업의 두 번째 가치는 깨끗한 지하수 유지의 문제이다. 제주는 물 빠짐이 좋은 화산회토로 내린 빗물이 고이지 않고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로 채워지며 그 지하수를 이용하여 생명활동이 이루어지는 특이한 순환구조를 갖고 있는 게 우리 제주의 생태계이다. 제주 농업의 유지는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와 깊은 연관이 있다. 만약에 제주에 농업이 없고 싱가폴, 홍콩 등과 같이 높은 빌딩과 콘크리트로 바닥을 도배하는 도시국가가 된다면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는 유지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세 번째 가치는 지구 온난화와 산업화에 따른 미세먼지 등 청정 대기환경의 문제이다. 최근 대두 되는 지구 온난화 속도를 완화시키는 완충 지대로서의 기능을 농업은 지키고 있다는 것이다. 농업을 통해 유지되는 녹색 식물은 토양 먼지 발생을 억제하고 최근 이슈가 되는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부정할 이는 없을 것이다. 앞으로 제주의 비전을 얘기할 때 이 세 가지를 포함한 제주농업이 지닌 다양한 가치는 더욱 새롭게 인식되어져야 한다. 어쨌든 다양하고 무한한 가치를 지닌 제주 농업이 미래의 청정 제주를 견인하기 위해서는 제주 농업의 다원적 기능의 가치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역기능이 있다면 이를 주저하지 말고 저감시키려는 노력이 동시에 필요함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농업을 통한 아름다운 제주를 유지하여 제주도민 및 제주를 찾는 이들에게 청정의 기쁨을 주는 것이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는 제주에서의 농업의 비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
|
21일 지급 개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궁금증 풀이 '10문 10답'
제주 우도 8년 만에 전세버스·전기 렌터카 운행 허용
"설립할 수 없는 곳을…" 제주 국가기관 유치 철회 촌극
'장수수당' 미신청자 계속 발생… 제도 개선 필요
[현장] 폭염·폭우 속 클린하우스 지키는 도우미들
용암해수 활용 제주해양치유센터 건립 본격화
오영훈 제주지사 상반기 직무 긍정평가 47% [한국갤럽]
"한라산 구상나무 개화 주기는 3년".. 첫 확인
'폭염' 제주 식중독 '비상'.. 6월 29명, 7월 벌써 26명
제주도교육청, 교육공무직 채용 제도 개선
JIBS 노조 “노조탄압·부당노동행위 사장 사퇴하…
제주도 수출역량진단 시스템 사용자 중심으로 …
'유도 명가' 제주 남녕고 청풍기 매트 메쳤다
제주도, 캐나다산 씨돼지 33마리 도입
김성환 "기후에너지부 신설방안 두 가지 안 논의…
"피아노·그림으로"… 두 장애 예술인이 전하는 …
"10년째 논의만.. 제주형 체육 중·고 설립해달라"
서귀포 유명 카페서 10대 고등학생 불법촬영 적…
서귀포시축협 7월 가축시장 최고가 수소 730만원
제주지방 열대야 식히는 많은 비.. 18일 최대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