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대”가 바라본 환경문제
2018-06-04 19:20
이은영 (Homepage : http://)
기고문.hwp ( size : 15.50 KB / download : 21 )
나는 소위 말하는 ‘요즘 애들’이다. 흙 묻은 당근보단 마트에 진열된 상품이 더 익숙하고, 숲이나 자연보단 빽빽한 고층 건물이 더 자연스러운 그런 세대. 정부와 교육계는 앞으로의 많은 환경 문제를 직면하며 살아갈 우리네 세대들을 위해 환경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효과는 크지 않아 보인다. 아이들은 여전히 습관처럼 에어컨을 찾고, 버려지는 잔반은 해가 갈수록 늘어가며, 학교 축제나 소풍날의 길거리는 버려진 종이컵과 나무젓가락, 비닐로 가득하다. 이처럼 환경이 중요하다는 말엔 모두가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정작 자신의 편의를 ‘희생’하려 하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식과 실제 행동 간의 불균형은 어디서 기인하는가? 이는 어쩌면 지금까지의 환경 교육이 정작 ‘대상자’인 아이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데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교육이란 단지 교과서 지식의 습득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보고, 듣고, 느끼며 배우는 그 모든 순간이 아이들에겐 교육이다. 하지만 주위를 둘러보라. 환경 교육이 강조하는 자연, 그 자연엔 ‘아이들’이 없다. 사람의 시야는 본인이 경험한 만큼 넓어지는 법인데 근본적으로 자연을 보고 자라지 못한 아이가 어떻게 환경을 아끼고 이해하길 바라는가.

이제 우리네 교실을 한번 살펴보자. 실상 학교에서 환경이 다뤄지는 비중은 굉장히 미미하다. 학생으로서 내가 배웠던 환경하면 그저 교과서 몇 페이지, 한두 번의 강연, 얇은 책자 정도가 떠오를 뿐이다. 자신의 이름을 딴 교과목도 없이 다른 과목 교과서에서 살짝 얼굴을 비출 뿐이며, 그마저도 ‘주요’ 과목을 위해 넘겨지기도 한다. 이유? 간단하다. 시험엔 안 나오니까. 국·영·수가 아닌 다른 정식 과목들조차 외면받는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이 중요하다는 공익 광고나 교육은 그저 따분한 잔소리일 뿐, 단지 몇 마디의 말과 글로 이제껏 개인이 살아온 견고한 생활방식을 한순간에 바꾸기란 쉽지 않다.

실제 사회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우리는 학교 안팎으로 한국 사회에서 경제가 어떤 위상을 가지는지 보고 자랐다. 국내 주요 기업들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묻기보단 정, 재계 인사들이 한데 모여 수출 확대 방안을 논하는 모습이 더 익숙하며, 환경이란 경제성장을 위해 마땅히 양보되어야 하는 차선의 가치로 인식되기도 한다. 일반 국민들에게는 대중교통 사용을 장려하면서, 정책을 펴는 장본인은 차를 몰고 다니고, 광고를 통해 자동차에 대한 환상을 극대화하는 것이 지금의 대한민국이다.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이 시행되기 까지 적지 않은 예산과 인력이 투입된다. 교육 관계자는 많은 노력을 들여 시행한 환경 교육이 왜 효과가 없는지 한숨 쉬기 이전에 지금의 교육과 아이들의 상황이 부합한지를 고민해 보아야 한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주변을 보면서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학습한다. 하지만 아이들이 배우는 교육과 주변의 상황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그건 도리어 큰 혼란을 만들어낸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이 가지는 의미가 커지고 있다. 기존 환경 교육의 문제를 인식하여 실제 아이들의 상황을 고려하고, 한국 사회에 보다 적합한 교육 모형을 찾아야 할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071 [기고]과세 안녕하십니까  ×1 비밀글 유효상 01-18
3070 「우리 농·축산물 소비활성화를 위해 청탁금지법 가액 상향은 계속돼야 한…  ×1 농협 구미교육원 교수배동언 01-18
3069 노형119센터에서의 값진 2주간의 실습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정유희 01-18
3068 우리의 食문화, “전통주”를 아시나요?  ×1 제주도청 식품원예과 김지영 주무관 01-07
3067 (열린마당)올레길은 이래서 좋다.  ×1 고상선 01-06
3066 더 행복할 수 있도록 기초연금 드림  ×1 고경희 01-04
3065 [달리는 건강쿠킹버스 활용 식생활교육] 운영성과보고회 개최  ×1 서귀포YWCA 12-31
3064 올레길은 이래서 좋다.  ×1 고상선 12-31
3063 기고) 제주농업유산, 한류 원천 콘텐츠로 육성 필요  ×1 이성돈 12-30
3062 서귀포YWCA 청장년 취업특강 진행  ×1 서귀포YWCA 12-29
3061 "소방차 출동로는 생명을 구하는 길"  ×1 오라119센터 소방사 고충남 12-28
3060 '노인여가활동지원사업'을 진행하면서!  ×1 박우정 12-28
3059 [기고]겨울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운전_제주시 일도2동 강경표  ×1 일도2동 12-27
3058 (기고)제주에 있는 모두가 환경 보호 실천은 필수!!!  ×1 ×1 홍상환 12-23
3057 나눔과꿈 알약프로젝트 사업보고회 진행  ×1 비밀글 서부종합사회복지관 12-21
3056 영어잘하기~, 내건강지키기~ 유익한 12-20
3055 한 학기 환경정책학 강의를 마무리하며..  ×1 고기봉 12-18
3054 서귀포YWCA ‘서귀포시MZ세대를 위한 청년토크콘서트’ 개최  ×1 서귀포YWCA 12-17
3053 서귀포YWCA ‘서귀포시MZ세대를 위한 청년토크콘서트’ 참가자모집  ×1 서귀포YWCA 12-15
3052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어린이들의 안전은?  ×1 신성여자중학교 이다현 12-15
3051 서귀포시장애인종합복지관, 행복설계사례관리사업 성과보고 및 사례발표…  ×1 ×1 최예진 12-13
3050 국민건강보험공단제주지사 (사)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에 성금 전달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2-13
3049 우리들의 추억의 장소 탐라문화광장, 앞으로의 모습은?  ×1 양지혜 12-10
3048 소통과 공감으로 하나되는  ×1 제주대 12-10
3047 안전이 보장되는 특수교육의 필요성  ×1 강권식 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