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6.『화엄경(華嚴經, The Avatamska Sutra)』 (4회)-제3장 여래명호품(如來名號品)
2023-12-20 15:15
|
|
---|---|
박규택(華谷)·孝菴 公認 大法師 (Homepage : https://cafe.naver.com@parkgt1459)
|
|
Buddha-ayatamsaka-nama-mahavaipuly-sautra이다. 화엄경(華嚴經)의 종류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모두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이라는 똑같은 제목이 붙어 있기 때문에 구별하기 어렵다. 그 첫째는 불타발타라(佛駄跋陀羅, Bud-dhabhadra 359~429)가 418년에서 429년 사이에 한역한 것으로, 모두 60권 34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칭 60화엄이라고 부른다. 불타발타라는 구마라집(鳩摩羅什, kumarajiva 344년 ~ 413년)보다 15세 정도 연하였으며, 장안에서 라집(羅什:구마라집의 약칭)을 만나게 되었지만 그와는 달리 왕실을 멀리하다 보니 그 문하로부터 배척을 당해 혜원(慧遠)을 찾아가 역경사업에 종사했다고 한다. 이 불타발타라의 60화엄이 예로부터 화엄종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구역(舊譯)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실차난타(實叉難陀, Sikasananda 652~710)가 7세기 말에 한역한 것으로 모두 80권 39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흔히 80화엄이라고 하며, 신역(新譯)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실차난타는 695년에 낙양에 범본 화엄경을 가지고 와서 의정,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 572년~727년)와 함께 번역하기 시작하여 699년 복례(復禮)와 법장(法藏)과 같이 번역을 끝마쳤다. 이 신역은 구역보다 내용이 비교적 완비되어 있고 구역의 ‘입법계품(入法界品)’에서 일부 빠진 구절들을 보충하고 품을 세분화했으며, 특히 구역에서는 볼 수 없는 ‘십정품’ 같은 내용을 보충하고 있다. 세 번째는 계빈국 출신의 반야(般若, 미상~ 미상)가 번역한 것으로, 40권 1품으로 되어 있어 보통 40화엄이라고 부른다. 이 40화엄은 60화엄과 80화엄 속에 있는 ‘입법계품’의 내용을 다른 범본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40화엄의 1개품 이름은 ‘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이다. 본 해설서의 저본으로 사용된 동진(東晋)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Buddhabhadra 359-429) 역 60권 화엄경, 전 7처 8회 34품을 중심으로 다음과 나누어져 있어 『화엄경(華嚴經)』의 해설에서 부터 각 품별로 35회에 걸처 연재(連載)하여 게재하기로 한다. |
|
21일 지급 개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궁금증 풀이 '10문 10답'
제주 우도 8년 만에 전세버스·전기 렌터카 운행 허용
'장수수당' 미신청자 계속 발생… 제도 개선 필요
"설립할 수 없는 곳을…" 제주 국가기관 유치 철회 촌극
[현장] 폭염·폭우 속 클린하우스 지키는 도우미들
용암해수 활용 제주해양치유센터 건립 본격화
오영훈 제주지사 상반기 직무 긍정평가 47% [한국갤럽]
"한라산 구상나무 개화 주기는 3년".. 첫 확인
'폭염' 제주 식중독 '비상'.. 6월 29명, 7월 벌써 26명
제주도교육청, 교육공무직 채용 제도 개선
JIBS 노조 “노조탄압·부당노동행위 사장 사퇴하…
제주도 수출역량진단 시스템 사용자 중심으로 …
'유도 명가' 제주 남녕고 청풍기 매트 메쳤다
제주도, 캐나다산 씨돼지 33마리 도입
김성환 "기후에너지부 신설방안 두 가지 안 논의…
"피아노·그림으로"… 두 장애 예술인이 전하는 …
"10년째 논의만.. 제주형 체육 중·고 설립해달라"
서귀포 유명 카페서 10대 고등학생 불법촬영 적…
서귀포시축협 7월 가축시장 최고가 수소 730만원
제주지방 열대야 식히는 많은 비.. 18일 최대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