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조선시대로 옮겨온 셰익스피어 희극 '십이야'… 제주 공연

[한라일보] 셰익스피어 희극 '십이야'를 조선시대 배경으로 옮긴 연극 '십이야'가 제주 무대에 오른다. 제주아트센터는 오는 7월 18일부터 19일까지 '십이야'를 공연한다고 16일 밝혔다. 2025 국립극…

[문화] [문화쪽지] 우당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참여자 모집

ㅣ우당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제주시 우당도서관은 '2025년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집한다. 올해 프로그램은 '그림책 한 권에 담아보는 제주 이야기'를 주제로 인문학 강연과 글쓰…

[스포츠] "중위권 고비" 제주SK 18일 광주 상대 시즌 4연승 도전

[한라일보] 최근 5경기 3승2무로 무패행진하면 팀 분위기를 끌어올린 제주SK FC가 광주FC를 상대로 시즌 첫 4연승에 도전한다. 제주SK는 18일 오후 7시30분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광주FC와 '하나은행 K…

[문화] 도립제주합창단이 전하는 평화·위로의 울림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립 제주합창단이 이달 19일 오후 7시 30분 제주아트센터에서 제117회 정기연주회를 연다. '레퀴엠 시리즈Ⅰ'이라는 부제로 진행되는 이번 연주회는 호국 보훈의 달을 맞…

[제주시] 제주시 도로변 덩굴류 54㏊ 제거…산림경관 회복 '한몫'

[한라일보] 제주시는 올해 1월부터 덩굴류 조기 제거작업에 나서 50여㏊에서 마무리하며 산림경관 회복에 한몫하고 있다. 시는 올해 초부터 주요 도로변에서 제거에 나서 현재까지 연북로(14㎞), 번…

[정치/행정] '제주도 명장' 선정 기준 완화 추진

[한라일보]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도 명장(名匠)' 선정 심사기준을 완화하는 내용의 '명장 선정 및 지원 조례 시행규칙 개정안'을 17일 입법예고했다. 제주도 명장은 고숙련 기술을 갖춰 15년 이상 …

[경제] 제주 '서카름'서 즐기는 초여름... 27일부터 여름 여행주간

[한라일보] 이달 27일부터 내국인 관광 수요 촉진 및 제주 관광 활성화를 위한 '여름 제주 여행주간'이 운영된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가 해당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이달 22일까지 …

[교육] 김광수 제주교육감 시도교육감 평가 2위

[한라일보] 지난달 광역자치단체 교육감 직무수행 평가에서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이 52.4%의 긍정 평가를 기록하며 전국 2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김 교육감의 이번 …

[주목e뉴스] 비 그친 제주지방 오늘 낮 최고기온 30℃.. "무덥다"

[한라일보] 기압골와 정체전선이 주춤거리는 사이 제주지방에 반짝 무더위가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제주지방은 17일부터 18일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대체로 맑은 날…

[포토] 청년들에겐 이미 한여름

[한라일보] 16일 제주시 한림읍 금릉해수욕장을 찾은 관광객들이 조금은 때이른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강희만기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포토] 제주지역 장맛비·강풍에 쓰러진 기장

[한라일보] 16일 제주시 한림읍 수원리의 한 농경지에서 결실이 한창인 기장들이 지난 밤의 많은 장맛비와 강한 바람에 쓰러지는 피해를 입었다. 강희만기자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제주도, 언어의 갈라파고스 131] 3부 오름-(90) 붉은오름은 ‘불은오름’

불룩하게 솟아 붉은오름 [한라일보]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산158에 위치한 표고 560m, 자체높이 129m의 오름이다. 남조로 남원방향 도로 우측에 있는 오름으로, 제주도 발행의 '제주의 오름'이라는 …

[오피니언] [홍인숙의 문연路에서] 저출생·고령화 대책, 실천이 필요하다

특별위원회 활동 1년간관련 조례 제·개정 추진 [한라일보] 지난해 7월 제주 지역 저출생·고령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힘차게 내디딘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의 발걸음이 어…

[오피니언] [고용현의 한라칼럼] 제주도의 포구들

[한라일보] 제주도는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이기 때문에 수많은 작은 포구(작은 어항 또는 어민들이 사용하는 작은 항구)들이 존재한다. 제주도의 포구의 수는 대략 국가 항구가 5개, 지방 어…

[오피니언] [양태규의 특별기고] 물류의 위상이 크게 변하고 있다

[한라일보] '택배'를 물류, logistics 혹은 운송이라고 거창하게 이해하는 사람은 드물다. 택배는 이제 우리의 일상이며 친숙한 생활방식이다. 택배산업은 1991년 사업을 개시한 이래 1998년 IMF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