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기물처리시설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위치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2일 제주시 가연성쓰레기 수거차량의 소각장 진입을 또 막아섰다. 사진은 지난달 7일 동복리 주민들이 센터 진입로를 막아서면서 길게 줄지어선 쓰레기 수거 차량들. 한라일보DB
[한라일보] 제주도내 최대 폐기물처리시설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위치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2일 제주시 가연성쓰레기 수거차량의 소각장 진입을 또 막아섰다.
주민지원협의체 감시요원들이 가연성쓰레기 수거차량에 대한 반입검사를 벌여 종량제봉투 안에 불에 타지 않는 불연성과 재활용품이 섞여 있다며 반입을 봉쇄, 수거차량 30대가 되돌아가고 경찰까지 출동했다.
동복리 주민들이 지난달 7일부터 제주도에 농경지 폐열지원사업 이행을 촉구하며 센터 진입로를 봉쇄하다 11일 제주도와 마을발전사업에 공동 합의하며 봉쇄를 푼지 채 한달도 안돼 또 센터를 봉쇄하자 언제든 쓰레기 반입이 막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제주시와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에 따르면 이날 구좌읍 동복리·북촌리 주민으로 구성된 주민지원협의체 감시요원들이 소각장으로 반입되는 제주시 지역 가연성쓰레기 수거차량에 대한 반입검사를 벌였다. 차량에서 종량제봉투를 내려 개봉해 가연성 외에 불연성이나 재활용품, 음식물쓰레기가 섞였는지 확인하며 2대 차량을 제외하고 대기중이던 30대는 쓰레기를 내리지 못하고 차고지로 되돌아갔다. 이로 인해 약 150t의 가연성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한 상태다.
감시요원들은 지난달 29일부터 반입차량에 대한 표본검사를 벌였는데, 2일에는 제주시 소속 차량에 대한 전수검사에 나섰다. 이날 서귀포시 동부지역 가연성쓰레기 수거차량 9대와 민간수거업체의 차량은 정상적으로 반입됐다.
감시요원들이 제주시 수거차량 반입을 저지하며 소각장 민간위탁업체에서 영업방해 혐의로 신고하며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은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기관은 지원협의체가 요구하는 경우에는 지원협의체에서 추천하는 주민감시요원에게 폐기물의 반입·처리 과정 등을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는 감시요원들이 쓰레기 반입검사는 하지만 수거차량의 진입을 막을 권한은 없고, 문제가 되는 쓰레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정상 반입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센터 관계자는 "감시요원은 반입 폐기물의 감시와 확인만 가능하고, 확인 후 조치는 제주도 광역폐기물소각시설 운영·관리조례 상 도지사에게 있다"며 "반입검사는 하되 소각장 운영에 지장에 있으면 안되니 문제되는 쓰레기를 제외한 나머지 가연성쓰레기는 반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주민지원협의체 김병수 위원장은 "주민지원협의체 요청으로 감시요원들이 정기적으로 쓰레기 반입검사를 하고 있다"며 "내일(3일)도 가연성쓰레기 차량 반입검사는 하겠지만 쓰레기의 원활한 수거 문제가 있으니 현장에서 감시요원, 환경자원순환센터측과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