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2023-02-16 14:20
강평구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나라 한 명 당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21년 기준 0.81명으로, 1990년과 비교해 절반으로 떨어지는 등 매년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이를 방증하듯 올해 전국 17개 시도의 147개 초등학교 신입생이 0명이었고, 서울 모 초등학교도 곧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다. 유례없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노인인구가 전체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농촌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치, 행정, 교육, 일자리 등의 인프라가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기 때문에 지금도 인구는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으며 젊은 사람일수록 지방을 떠나려고 한다.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떠날수록 농어촌의 출산율 저하로 이어져 고령화까지 가속화 될 것이며 지방 소멸을 더욱 부추기게 될 것이다. 지방이 소멸된다면 지방에서 생산해서 공급해야할 원재료들은 모두 수입에 의존해야 하여 경제적 위기는 물론, 수도권 집중화도 보다 가속화되어 수도권 집값의 상승 등으로 인한 빈부 격차와 국토이용효율의 저하 등 다양한 사회, 경제적 문제 또한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 또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방이 살아야 대한민국도 살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해법을 이미 시행착오를 거쳐 안착한 일본의 고향세를 바탕으로 시행하고 있는 고향사랑기부제의 효과적인 운영으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2008년 지방세법 개정을 통해 일본은 고향납세제를 제도화하였으며 본인의 거주지를 포함하여 원하는 지역에 2천 엔 이상을 기부하면 소득세와 주민세 공제를 받을 수 있고 기부한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답례품을 받을 수 있다. 기부금은 지자체들의 교육, 문화, 마을 조성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고향 살리기에 큰 힘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올해 1월부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고향사랑 기부제를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고향사랑e음 사이트를 통해 기부자가 선택한 방법으로 어디서든지 쉽게 기부를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오프라인에서는 가까운 NH농협은행을 방문하면 된다. 개인이 주소지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 1인당 연간 500만 원 이하 일정금액을 기부하면 10만원까지는 전액세액공제가 가능하고 초과분은 16.5%까지 가능하다. 기부금의 30%에 해당하는 기부 포인트와 답례품까지 제공 받는다. 기부금은 해당 지자체에서 기금사업으로 사용하게 된다.

고향사랑 기부제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지역 간의 격차 해소 등 다양한 산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운 우리의 고향이 지금 어려움에 처해있다. 누구나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를 통해 지방의 소멸과 고령화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862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포상제 바로알기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 서무반장 김순영 11-07
3861 지속가능한 제주, 친환경우수골프장의 가치  ×1 강윤정 제주특별자치도 물정책과 11-06
3860 대중교통 활성화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1-06
3859 [기고]우리나라 환경 정책의 태동과 변화,현 모습  ×1 오진우 11-05
3858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의 중요성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지도부장 우민호 11-04
3857 플라스틱 덫으로부터 제주 지키기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김수연 11-04
3856 보행자의 날, 안전한 세상을 위한 우리의 노력 11월 11일, 보행자의 안전을 …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4학년이민수 11-03
3855 [기고]제주 바다 갯녹음,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필요  ×1 강유민 11-02
3854 [기고] 비상구 폐쇄 등 불법행위 신고, 작은 실천이 생명을 구합니다  ×1 구좌남성의용소방대 부대장 주창범 11-02
3853 신엄중학교, 국화꽃 축제(꿩지빌레국화한마당축제) 성황리 개최  ×2 최병훈 11-01
3852 NH농협은행 제주시지부, (사)제주YWCA에 우리쌀 소비촉진을 위한 ‘아침밥 먹…  ×1 (사)제주YWCA 10-30
3851 자율방범대, 지역사회 안전을 위한 든든한 파트너! 곽대주 10-30
3850 [봉사활동] 제이피엠 임직원 헌혈 봉사 참여로 따뜻한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1 (주)제이피엠 10-29
3849 (사)제주YWCA, ‘2024 가을 나눔바자회’ 성료  ×1 (사)제주YWCA 10-28
3848 홀로 사는 노인의 대한 소고  ×1 ×1 제주특별자치도사회서비스원 서귀포시종합 10-28
3847 도민감사관 하반기 분임활동을 마치며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0-26
3846 [기고]비상구, 우리의 생명을 살리는 희망의 길  ×1 ×1 고정훈 10-26
3845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입주민 봉사단 발대식 개최  ×1 김대홍 10-24
3844 주택관리공단 제주아라 주거행복지원센터 취약계층 찾아가는 음악회  ×1 ×1 강재운 10-24
3843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오감을 활용한 직업체험’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10-23
3842 제주 해녀를 위해 건강한 바다를 만들어주세요.  ×1 박민이 10-21
3841 [기고]운전자는 감속을, 보행자는 밝은 옷을  ×1 ×1 강태희 10-19
3840 도민중심의 대중교통 활성화 방안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10-19
3839 [기고문] 지구를 지켜주세요- 지구를 위해 우리가 바꿔야할 습관  ×1 김주희 10-18
3838 귤빛여성합창단 20주년 기념 음악회 ‘Bravo My Life’  ×2 이동화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