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 꺾을 땐 함께가요
2022-04-06 16:18
양희진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제주의 4~5월 벚꽃이 떨어지고 유채꽃이 노랗게 필 때쯤 비가 촉촉이 내리고 나면 하나둘씩 솟아나기 시작한 고사리를 꺾기 위해 사람들은 들로 산으로 나간다. 제사상에 올릴 고사리를 봄에 충분히 꺾어 확보하는 것이 제주 도민들의 오랜 풍습인데다가 맛도 좋고 식감도 좋아 반찬으로 해 먹기 제격이기 때문이다. 매년 반복되는 고사리 꺾기는 가족들과 지인들과 함께 인근 오름과 중산간 지대를 다니면서 하하 호호 떠들며 즐거운 추억거리가 된다. 하지만 자칫 순간의 방심으로 큰 사고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늘 안전에 유의하여야 한다. 고사리가 나오는 중산간 지대는 숲이 우거진 산속이기 때문에 고사리를 쫓아서 이리저리 들어가다 보면 길을 잃기 십상이다. 길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의 사항이 있다.
첫 번째, 길이 나 있는 곳으로 다닌다.
두 번째 혼자 가지 않고 2인 이상 함께 간다.
세 번째 일몰 시간을 기억해 해가 지기 전에 반드시 돌아온다.
산속은 금방 해가 지기 때문에 시간을 잘 봐야 한다.
네 번째 주변에 큰 사물들을 기억하자.
마지막으로는 비상시 연락이 가능한 휴대폰을 반드시 소지해야 하며 저체온, 탈수에 대비하여 비옷과 물등 약간의 간식을 챙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갑자기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된다면 누구라도 할 것 없이 두려움을 느끼며 당황하기 마련이다. 혹시라도 길 잃음 사고를 당하게 되면 지체 없이 119에 구조요청을 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며 고사리를 꺾으러 갈 때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선에서 안전 수칙에 유의한다면 매년 반복되는 고사리 철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즐거운 고사리 꺾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모두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예방수칙을 숙지해 사고 없는 따뜻한 고사리 철이 됐으면 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양희진-

No 제목 이름 날짜
3839 [기고문] 지구를 지켜주세요- 지구를 위해 우리가 바꿔야할 습관  ×1 김주희 10-18
3838 귤빛여성합창단 20주년 기념 음악회 ‘Bravo My Life’  ×2 이동화 10-18
3837 메디체크 한국건강관리협회, “독감 걱정, 주사 한 방으로 날려버리세요”  ×2 메디체크 10-15
3836 "제주 해녀를 위해 건강한 바다를 만들어주세요."  ×1 박민이 10-11
3835 기고문  ×1 ×1 비밀글 보건환경연구원 10-10
3834 [기고문] 저는 자원봉사 스토리텔링 교육 강사입니다.  ×2 허숙자 10-08
3833 [기고문] 청렴과 다짐  ×1 조예진 10-08
3832 [기고]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천이 필요할 때  ×1 현주희 10-07
3831 장애 대학생들을 위한 고용복지 안정적 뒷받침 돼야  ×1 김민성 10-06
3830 계속되는 오염수 방류,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비밀글 고은서 10-03
3829 세계 식량의 날을 아십니까? -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위기  ×1 송연지 10-02
3828 [기고문] 제주, 글로벌 문화를 선도하다  ×2 김설희 10-02
3827 삭제 삭제 10-01
3826 청정 제주가 쓰레기 섬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 환경보전분담금 부과 추진…  ×1 오세빈 10-01
3825 올레길에 쓰레기를 버리지 말자. 그 이유는!?! 궁금한 제주Y 환경기자단 09-30
382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찾아가는 청소년 안전센터’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9-30
3823 이대로 가다간 ‘제주 삼다수’가 없어진다고?  ×1 오세빈 09-29
3822 [기고]소방시설의 철저한 관리가 안전을 지킵니다.  ×1 ×1 노형119센터 소방사 강정준 09-28
3821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처 요령  ×1 ×1 이상수 09-27
3820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처 요령  ×1 ×1 이상수 09-27
3819 앞으로 명절 선물로 손편지를 써보자!  ×1 송연지 09-27
3818 제주 푸드테크 스타트업, 자생력 기반의 지속 성장 필요성  ×1 조유진(제주대학교) 09-26
3817 공직자의 사명감  ×1 ×1 제주특별자치도감사위원회 도민감사관 09-26
3816 제주 장애 대학생들을 위한 취업·진로 관련 프로그램 운영  ×1 김민성 09-25
3815 우리동네 주민자치 시범실시환영합니다 동홍동주민 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