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_플로깅을 통한 환경 정화 활동
2022-03-27 14:13
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_플로깅.hwp ( size : 204.50 KB / download : 7 )

원본 이미지 보기
미래를 위한 작은 실천- 플로깅(plogging)을 통한 환경 정화 활동.
청소년은 미래가 아닌, 현재 기후 위기 ‘당사자’이다

《개미와 베짱이》는 이솝 우화 중 하나이다. 겨울을 대비하기 위해 무더운 한여름에도 땀을 뻘뻘 흘리며 식량을 실어 나르는 개미와 나무 그늘에서 한가로이 노래만 부르며 하루하루를 보내는 베짱이의 이야기이다. 우화는 여름과 가을이 지나고 겨울이 오자 베짱이는 굶주림에 시달리다 식량을 얻기 위해 개미의 집을 방문 하지만 개미가 이를 거절하며 마무리한다. 이 우화를 통해 우리는 미래를 위해 계획하고 부지런히 인생을 준비하며 살지 않으면 남는 것이 없다는 교훈을 얻는다.

플로깅은 스웨덴어의 ‘플로카 업(plocka upp; 줍다)’과 ‘조가(jogga; 조깅하다)’를 합성하여 만든 ‘플로가(plogga)’라는 용어의 명사형으로 ‘쓰레기를 주우면 조깅하기’라는 의미이다. 조깅을 하는 동안 눈에 띄는 쓰레기를 주워 환경을 지키기 위한 작은 실천에 동참하자는 취지로 행하는 환경보호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플로깅의 준비물과 실천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조깅을 시작하기 전에 쓰레기를 담을 봉투와 장갑을 챙기고, 목적지까지 달리며 눈에 보이는 쓰레기를 줍고 분리수거 하면 된다. 플로깅 캠페인에 참여하거나 플로깅 모임에 가입하여 많은 사람과 실천하기도 하지만, 본인이 원하는 장소와 시간을 선택하여 자신의 동네, 해변, 공원 등에서 혼자서 실천해도 된다. 걷기 운동이나 산책을 하며 실천하는 것 또한 일반적으로 플로깅으로 보기 때문에 달리는 것이 부담스러운 사람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개미와 베짱이》에서의 교훈에서 알 수 있듯이, 환경 또한 미래를 위해 지금부터 보호하지 않으면 우리가 좋아하고 바라는 환경의 모습은 남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작은 활동부터 부지런히 실천하여 환경보호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족, 친구와 또는 혼자서라도 플로깅을 통해 환경 정화 활동을 실천해 보는 것은 어떨까?

우리 모두가 기후 위기의 당사자이다. 당사자들이 함께한다면, 더 큰 변화가 가능하고 변화는 가능해야만 한다. 당사자로서 기후 위기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기후 운동에 참여하는 것에서 변화는 시작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3학년 현민희.

No 제목 이름 날짜
3205 제주탐모라 로타리클럽, 가롤로의집 물품 후원  ×1 가롤로의집 09-02
3204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8월 카드뉴스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09-01
3203 은빛마을노인복지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유니클로와 함께하는 "착한바…  ×1 김영희 09-01
3202 독자기고  ×1 허태현 08-30
3201 제주 3년 살기 &..   ×1 강기두 08-30
3200 자립준비청년들의 건강한 내일을 꿈꾸며  ×1 변성환 08-29
3199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 반드시 숙지하자  ×1 ×1 남원119센터 소방사 김재업 08-21
3198 삭제요청  ×1 비밀글 삭제요청 08-21
3197 봉개동 '우리동네 마을 우체통'을 아시나요  ×1 봉개동 08-19
3196 행복농촌 만들기 문자투표  ×1 고기봉 08-15
3195 "아직은 할 일이 많아서 못간다고 전해라~~!  ×1 임용국 08-11
3194 표선119센터 현장실습을 마치며  ×1 조성돈 08-10
3193 성안노인복지센터 sk그룹 후원 어르신 무료급식 지원  ×2 이경자 08-03
3192 지속가능 제주환경 전문가 양성교육을 수료하면서  ×1 ×1 신동화 08-02
3191 환경문제,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1 고기봉 08-02
3190 골목점포들도 골목형상점가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1 ×1 문원영 08-01
3189 선진국으로의 길, 무장애 길과 맞닿아 있습니다.  ×1 ×1 (주)두리함께 트레블 헬퍼 김영근 07-29
3188 서귀포YWCA 달리는 건강 쿠킹버스 활용한 식생활교육 [건강 in 식생활]7월 초…  ×1 서귀포YWCA 07-20
3187 정신장애인 대상 “건강 돌봄 프로젝트-찬찬이 건강 살림”사업진행   ×1 공생하우스 07-18
3186 성산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안정호  ×1 ×1 김정호 07-18
3185 4-H 농촌문화유적길 조성의 갖는 의미를 되새긴다.  ×1 (사)서귀포시4-H본부 회장 고성봉 07-15
3184 선박화재 항상 대비 이뤄져야  ×1 고기봉 07-12
3183 폭염대비! 어렵지 않아요!  ×1 동홍119센터 소방교 강규택 07-11
3182 농촌문화유적길  ×1 고성봉 07-11
3181 요양시설 화재안전에 진심을 담자  ×1 오희숙 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