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을 위한 자전거 페달을 밟아요!
2021-06-22 01:22
김희연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탄소중립을 위해 자전거 페달을 밟아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하여 자전거 페달을 밟아요.

제주도는 관광지로 부상하며 그에 따른 자동차의 수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제주도의 자동차 수는 세대당 1.35대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이에 포함되지 않는 렌터카의 수까지 더한다면 제주도의 자동차보유비율은 우리나라 최고라 할 수 있다.

우도는 지난 2008년 렌터카의 수를 감당할 수 없어 차량총량제를 실시했다. 차량총량제란 지역에 들어올 수 있는 차량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 결과 우도는 차량정체와 소음공해가 줄어들고 자연환경을 보존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우도의 사례는 자동차의 수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예시이다.

자동차를 대신할 수단 중 대표적인 예시로는 자전거가 있다. 자전거는 소음, 대기오염, 분진 등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또한 교통체증, 주차장의 부족 등 교통문제를 해결할 대안이기도 하다. 더 넓게 본다면 자전거를 하나의 관광 상품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자전거로 인한 활동량 증가로 도민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제주는 대여소 11곳에 88대의 공공자전거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버스에 자전거 캐리어를 설치하는 등 자전거 관련 사업에 힘을 기울였다. 하지만 자전거 관련 정책은 전기차 정책에 밀려난 실정이다. 공공자전거 이용률은 늘어났지만 적은 예산으로 인해 자전거의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으며, 고장으로 인해 119대의 자전거 중 현재 운영 중인 자전거는 88대에 불과하다.

자전거는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동수단이다. 자전거는 도민들의 운동량 증가로 건강에 도움이 되며, 대기오염물질·소음·수질오염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 제주의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자동차의 증가는 교통체증, 환경오염 뿐 만 아니라 주차장의 부족 등 환경적·경제적인 문제를 만들어냈다. 이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바로 공공자전거이다. 하지만 제주도 내 공공자전거 정책이 부진한 만큼 공공자전거 정책이 활성화되기 위해선 도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시대적·사회구조적 전환 과정에서 자전거정책은 시민들이 기후문제에 참여하면서 생활체육 수단으로 일석이조 효과를 낼 수 있어 제주도의 과감한 인식 전환과 투자가 요구된다.
제주도는 국내외의 성공적인 공공자전거 정책사례를 참고하고 장기적인 계획의 수립, 제도 정비를 통해 시들해진 공공자전거 정책의 페달을 밟아야 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희연

No 제목 이름 날짜
3573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청소년복지시설 숏폼 영상 공모전 수상  ×1 제주시여자단기청소년쉼터 11-22
3572 전기자전거, 제주의 새로운 길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21
3571 식습관 바꾸기로 기후위기에 맞서자! 비밀글 김혜빈 11-21
3570 환경오염에 대해 스스로 부담하는 환경부담금  ×1 안서영 11-20
3569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홍준영 11-19
3568 11월은 불조심 강조의 달  ×1 전민석 11-18
3567 구좌119센터, 의용소방대 전문성 강화 11월 정기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11-18
3566 추운 겨울, 안전을 위한 화재 예방 수칙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하상윤 11-18
3565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한라대학교 학생 대상 노인인식개선교육 실시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11-17
3564 하나금융나눔재단, (사)제주YWCA에 지역사회 소외계층 지원 및 상생을 위한 …  ×1 (사)제주YWCA 11-16
3563 청렴(淸廉)과 함께 가는 길  ×1 김태현 11-15
3562 청년! 기후위기 대응을 말하고 실천하다.  ×1 김신관 11-10
3561 산불 예방으로 아름다운 국립묘지를 지켜나가자  ×1 국립제주호국원 시설팀장 박상언 11-09
3560 하귀에선 배추사러 해남으로 간다.  ×1 비밀글 하귀농협하나로마트 고영보팀장 11-08
3559 제주도의 말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1 ×1 비밀글 양창범 11-07
3558 도로 다이어트 도전! 제주대학교 이유라 11-07
3557 제3회 아태영리더스포럼 제주, 청년을 연결하여 미래를 그리다.  ×1 김신관 11-03
3556 이스라엘, 디지털화 그리고 제주 ICT페스티벌 행사  ×1 비밀글 제주도 정보전략팀장 정창보 11-01
3555 일회용 플라스틱 환경오염 위기 “더 이상 남 일 아냐”  ×1 양현상 10-31
3554 제주도민대학 탐라의 얼 아카데미를 참여하며  ×1 ×1 제주 밥상문화원 김양희 10-31
3553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LH주거행복지원센터(서귀포동홍6단지)에서 이…  ×1 서귀포시노인보호전문기관 10-30
3552 모두가 함께 만드는 청렴한 사회  ×1 제주도청 수산정책과 송은아 10-26
355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대정적십자봉사회와 협력하여 취약가구 주…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5
3550 대정적십자봉사회,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과 ‘시원한 가을 나들이…  ×1 서귀포시서부종합사회복지관 10-24
3549 삭제글 비밀글 삭제글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