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위에 무법자 전동퀵보드
2021-06-08 13:57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현대사회에서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으로 인해 대중교통이나, 도보로 걷기, 자전거 사용을 생활화하기 등 자동차 사용을 줄이자는 환경운동을 벌이고 있다. 자동차 사용 줄이기 중 한 가지인 전동퀵보드를 스마트폰 앱으로 대여해서 사용 후 목적지 인근의 어디서든 반납 가능한 서비스가 생겨났다. 저렴한 이용료와 이동의 편리성 때문에 도심의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전동퀵보드 사용에 따른 법적 제재나 절차가 없는 상태에서 전동퀵보드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면서 전동퀵보드에 대한 여러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안전장구 착용 없이 차도를 달릴 수 있기 때문에 안전장치가 되지 않은 채 자동차와 함께 달리게 되면서 자동차보다 훤저히 속도가 느린 전동퀵보드는 자동차 운전자에게 위협이 되곤 한다. 그리고 한 명이서 타는 것인데 2명이서 타고 다니는 모습도 흔히 보이며 위험천만하다. 또한 목적지 인근에 전동퀵보드를 놔두고 가는 것이 원칙이라 놔두고 가는데 도로 한 가운데 놔두고 가서 자동차가 이동할 때 장애물이 된다거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나무숲 사이에 버려두고 가는 등 반납할 때도 문제가 생겨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전동퀵보드 관련 법을 제정했다. 만16세 이상만 취득할 수 있는 제2 원동기장치 자전거 면허 이상의 면허증이 필요하고, 이를 어기면 20만 원 이하의 범칙금을 내야 한다. 아이들이 운전할 때는 보호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된다. 2인 이상 탑승은 전면 금지하고, 헬멧 의무 착용을 해야 한다. 또한 야간에 주행할 경우에는 식별이 가능한 장치를 달아야 하며, 자전거 도로를 이용해서 운행을 하고, 자전거 도로가 없는 경우에는 차도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서 통행해야 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3022 아동 학대 예방의 날을 기억해 주세요!  ×1 김은지 11-17
3021 반복되는 아동학대! 여러분들의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아동보호전문기관 11-16
3020 1980년에 멈춰있는 성소수자들의 삶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전공 이혜윤 11-15
3019 “우리, “마음(心) 겨울 채비” 할까요!”  ×1 한전 제주본부 한은진 차장 11-15
3018 112는 언제나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1 ×1 제주경찰청 112상황실 경감 강권삼 11-13
3017 날이 갈수록 말라가는 제주의 물  ×1 비밀글 김제곤 11-13
3016 11월 11일, 이제는 유엔 참전용사의 날로 기억되길  ×2 제주대학교 2학년 이해창 11-09
3015 [기고] 농업인의 날, 빼빼로데이와 상생해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8
3014 의료 사각지대로 내몰린 농촌, 기다릴 여유가 없다.  ×1 임규현(농협창녕교육원 교수) 11-08
3013 2021년 노인일자리(전기차충전기관리사업)를 마치며..  ×1 허옥일 11-05
3012 자원순환사회로 가는 제주  ×1 ×1 제주도청 자원순환관리팀장 정근식 11-04
3011 김장철 원산지 위반, 이제는 달려져야!  ×1 ×1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김종우 교수 11-03
3010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해신사, 김석윤 가옥, 제주목 관아, 삼성혈 4곳에…  ×1 제주문화진흥재단 11-03
3009 코로나19, 일상회복 그리고 농업인의 날  ×1 유승훈(농협구례교육원 교수 11-02
3008 기고  ×1 이선엽(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01
3007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2021 새 생명 나누기’사랑의 장기기증 …  ×1 ×1 사)한국신장장애인협회제주협회 11-01
3006 우리 가족을 위한 보행자 중심 교통문화 만들기  ×1 ×1 생활공감 정책 10-31
3005 국민의 비상벨 112 올바른 신고를 당부한다 강준익 10-30
3004 알고 있었나요?편리한 지방세 납부 방법  ×1 강동훈/남원읍사무소 10-29
3003 서귀포시노인복지관 노인일자리를 통해 나의 노년의 즐거움을 찾다  ×2 가순열 10-28
3002 서귀포YWCA 평화아카데미 현장탐방 진행  ×1 서귀포YWCA 10-27
3001 제주역사문화재돌봄센터, 추자도에서 최영장군 사당 등 정비 진행  ×2 제주문화진흥재단 역사문화자돌봄센터 10-27
3000 비대면 디지털 건강관리 집중  ×1 ×1 오미옥 10-25
2999 (기고)신고포상제를 아시나요?  ×1 연동119센터 현재민 10-21
2998 (기고)위드 코로나 시대 장애인 인권  ×1 ×1 비밀글 강지호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