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코로나19 집단감염 확산
2021-06-05 14:31
이창석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5월 제주도 내 발생 확진자 수는 일 평균 10.8명으로 작년 12월 수준에 거의 근접한 상황이다. 노래연습장, 피시방 등 일부 고위험 시설 강화만으로는 현재의 상황을 발전시키기는 역부족이라는 의견이 나오면서 5월 31일부터 6월 13일까지 2주간 사회적 거리 두기를 2단계로 격상시킴과 동시에 방역수칙 추가 강화를 실시하였다.

대학 운동부에서 촉발된 집단감염은 여러 단계의 연쇄 감염을 거쳐 학생, 직장인 등 사회생활 전반에 걸친 확산으로 전환되었다. 확진자의 조사 범위가 단기간에 급증함에 따라 방역당국의 역학조사 인력과 시간이 한계에 도달함에 따라 통제 범위를 벗어난 대유행 위기 상황 발생이 우려된다.

실제로 지난 3일 하루 동안 총 2,277건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진단 검사가 진행됐고, 이중 21명이 확진됐다. 4일 오후 5시 현재 제주지역 누적 확진자 수는 1,103명이다.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상향 조정이 적용되는 첫째 날 12명의 확진자가 발생했고, 둘째 날 14명, 셋째 날 12명, 넷째 날 21명으로 나흘 연속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최근 확진자들의 발생 양상을 살펴보면 어린이집, 주점으로 인한 연쇄 감염과 제주지역 내 가족과 지인 접촉으로 인한 감염으로 확진자는 모두 제주지역 거주자로 조사됐다.

특히 집단감염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연쇄 감염이 5명 이상 이어질 경우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고 있다. 지난 3일 제주도청 어린이집에서 4명이 추가 확진되었고, 제주시 중앙로에 위치한 주점에서 총 10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제주시 직장 관련 집단감염은 지난 5월 3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31일 2명의 추가 확진자가 확인되었고 1일에 6명, 2일에 1명, 3일 3명이 추가로 확진되면서 총 13명이 집단 감염됐다. 세 차례 집단감염으로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코로나19의 주된 확산 원인은 마스크 미착용, 환기가 불충분한 실내 공간 내 장기 체류, 식사·음주 등 비말 발생이 많은 행동 등이다. 감염자가 숨 쉴 때 바이러스가 든 아주 작은 입자나 비말이 나와서 코로나19가 퍼진다. 이러한 비말이나 작은 입자는 다른 사람이 들이마시거나 다른 사람의 눈, 코, 입에 떨어지기도 하며, 때에 따라서는 접촉하는 표면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감염자와 2m 이내 밀접 접촉하는 사람은 감염 가능성이 높다.

한편 5일 0시 기준 제주도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도민은 총 95,943명으로 백신 접종률이 14%를 넘었다. 그중 2차 접종까지 마친 대상자는 28,028명으로 전체 도민의 4%로 집계됐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접종 예약률 또한 전국 예약률보다 0.8%p 높은 78.1%로 나타났다. ‘예방접종 완료자 일상 회복 지원방안’이 시행되면서 예약 접종 희망 신청자가 늘어나고 있다.

예방접종이 진행되면서 코로나19에 대해 자칫 해이해질 수 있지만, 더 이상의 무분별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 코로나19에 대한 긴장을 늦추지 않아야 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64 무더운 여름 독서로 이겨내자!  ×1 고기봉 07-02
4063 “초록 감수성, 두 눈에 담고 마음에 심다” 서부종합사회복지관 07-02
4062 2026년 전국장애인체전을 먼저 개최하는 특별한 이유  ×1 ×1 제주도청 전국체전기획단 강수연 07-01
406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6.25 전쟁 75주년 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30
4060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복작…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27
4059 우리 팀이 어린이집으로 향하는 이유  ×1 제주시청 여성가족과 허성진 주무관 06-27
4058 반려견 등록은 의무입니다  ×1 심소연 06-26
4057 다시 찾아온 제주의 푸르른 바다, 관광 쓰레기 문제에 다시 주목해야...   ×1 신하늘 06-26
4056 지하수를 지키는 가장 힘 있는 목소리, 바로 ‘도민’입니다.  ×1 물정책과 이준호 06-25
4055 6·25참전유공자회 제주지부–한전MCS(주) 제주지사직할지점, 보훈의 달 맞아…  ×2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제주특별자치 06-24
4054 추락하는 서귀포 구도심 상권 이대로 놔둘 것인가?”  ×1 ×1 김장관 06-23
4053 도민감사관의 역할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6-23
405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도박문제예방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6-20
4051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50 제주 관광개발과 생태보전, 기로에 선 ‘관광 1번지’  ×1 김한휘 06-20
4049 무알콜 제도의 필요성: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선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8 독·미·프국의 ‘폭력으로부터의 보호법' 한국의 과제 '가해자 주거 분리  ×1 이도이동주민센터 심소연 06-18
4047 정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1 고동현 06-14
4046 제주에서 울리는 평화의 종, 6.25를 기억하다  ×1 문지하 06-14
4045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심폐소생술(CPR)교육’ 진행  ×1 (사)제주YWCA초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 06-14
4044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하루, 세계 리필의 날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송유진 06-13
4043 가슴에 새기는 호국보훈  ×1 한국자유총연맹 제주특별자치도지부 회장 06-12
4042 서귀포시각장애인주간보호시설 사랑의열매 “동서남북 ᄀᆞ망ᄀᆞ망” 프…  ×1 서귀포시각장애인주간보호시설 06-11
4041 한국에너지종합기술,코리오제너레이션과 O&M 협력 위한 양해각서 체결  ×1 한국에너지종합기술(주) 06-10
4040 제주 삼다콘서트, 도심 속 여름밤의 낭만을 노래하다  ×1 문지하 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