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그리고 채식
2021-05-23 20:04
기고문_채식주의자.hwp ( size : 15.00 KB / download : 8 )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는 지구의 많은 자원을 활용하여 인류의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자원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기후위기와 환경오염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현재 지구의 상태는 과도한 온실가스 발생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겪고 있으며 대기와 수온의 상승으로 비정상적인 기후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채식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채식과 기후위기는 무슨 관련이 있는 것일까?

대한민국 국민 기준 하루 평균 140g 정도의 육류를 섭취한다. 점차 늘어나는 육류 사용의 증가로 축산업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가축을 기르고 생산물을 가공하는 것을 축산업이라고 하는데, 축산업에 필요한 목초지, 사료, 물 등 많은 자원이 소모된다. 그 결과 축산업은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무분별한 산림 파괴 등으로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가축을 키우며 발생하는 온실가스 증가와 산림파괴는 일차적인 문제이고, 점차 파괴되는 산림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카본싱크(지구 온난화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넓은 삼림 지대)가 훼손되는 이차적인 문제까지 야기되고 있다.
2019년 8월 발표한 ‘기후변화와 토지’ 특별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사람들이 육류를 섭취하지 않는다면, 80억 톤가량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2018년 전 세계에서 배출된 온실가스가 371억 톤인데 만약 전 세계 사람들이 채식할 경우 80억 톤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즉 채식만으로도 22%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 당장 육류를 섭취하지 말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일생을 지켜왔던 식단을 갑작스럽게 바꾸기는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채식 시장규모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으로 채식이 주는 긍정적인 면을 국민에게 홍보하여야 할 것이고, “채식은 맛이 없고 건강하지 않다”라는 부정적인 면을 극복하기 위한 기업들의 메뉴개발과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최근 서울시에서 채소·과일 섭취량을 늘려 건강뿐만 아니라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들의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채식환경 조성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제정하였다. 또한, 작년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급식 채식 선택제를 발표하는 등 시민들에게 채식문화를 확산하고, 채식이 주는 긍정적인 면을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식품업계는 대기업 주도로 콩고기와 같이 육류 및 생선류를 대체하는 채식 품목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으며, 음식뿐만 아니라 천연 원료와 동물실험을 거치지 않은 비건 화장품, 비건 패션 등 많은 분야에 있어 채식이 전반적 라이프 스타일로 자리 잡히기 위한 노력에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와 기업의 노력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 모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지구를 미래세대에게 선물할 수 있을 것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3789 고향사랑기부제  ×1 비밀글 고기봉 09-04
3788 (사)제주YWCA, (사)제주YWCA가정폭력·성폭력통합상담소, 제주여성인력개발센…  ×1 (사)제주YWCA 09-04
3787 동부 증설 집행정지 재항고 “대법원 기각결정”에 대한 오해  ×1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 하수시설과 09-04
3786 [기고] 절대금연! 주유소 내 흡연 금지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장재혁 08-28
3785 올 추석 선물로 안심콜 등록 어떤가요?  ×1 ×1 송소희 08-27
3784 상하수도본부 건설공사 공법․자재 선정 공정성 확보  ×1 디자인실 08-27
3783 [기고] 추석연휴 전후 '벌 쏘임' 사고 주의! 예방활동 및 대처요령은?  ×1 ×1 동부구조대 윤성원 08-26
378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구강보건교육’ 참여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8-23
3781 지속가능한 농업, 영농폐기물 처리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1 고기봉 08-23
3780 [기고]효돈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정민혁 08-13
3779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우리들의 메모리’ 2박 3일 캠프 …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8-12
3778 서귀포소방서, 폭염대비태세 및 생활안전수칙 홍보 강화  ×1 서귀포소방서 예방구조과 08-12
3777 전기차 화재예방  ×1 ×1 서귀포시의용소방대장 08-09
3776 2024년 서귀포시지역 언어·청각장애인들의 직업재활서비스를 위한 업무협…  ×1 서귀포시장애인종합복지관 08-08
3775 전기차 화재 예방 특별대책“이제는 정부가 답할 차례이다”  ×1 중문남성의용소방대장 강영철 08-08
3774 '여름아! 힐링을 부탁해' 2024 하계수련회 개최  ×1 사회복지법인 청수 08-08
3773 서귀포소방서, 폭염대비태세 및 생활안전수칙 홍보 강화  ×1 ×1 서귀포소방서 예방구조과 08-07
3772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주중체험활동프로그램 ‘소소한 레…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8-01
3771 메디체크 한국건강관리협회, “학생 불균형 체형 예방과 건강관리는 지금!…  ×1 건강관리협회 07-31
377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2024 즐기며 배우는 방과 후 과학 …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7-30
3769 해수욕장 찾아오는 불청객, 해파리 조심하세요!  ×1 오혁진 07-30
3768 인공지능(AI) 시대를 살아가려면  ×1 고기봉 07-26
3767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월경 교육’ 참여 (사)제주YWCA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07-25
3766 바다와 제주 그리고 우리를 위해서 궁금한 제주Y 환경기자단 07-25
3765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영양교육’ 참여 (사)제주YWCA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