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주문만 스마트하게? 포장 배출도 스마트하게!
2020-12-25 18:50
홍석준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된 지 거의 1년이 다 되어간다. 그 속에서 우리는 방역을 위해 덜 나가고 덜 모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을 이어가게 됐다. 다소 답답하고 불편하지만 나와 가족 그리고 이웃 모두를 위한 선택으로 전염병에 맞서고 있다. 그리고 생활또한 자주 나가지 못하는 현 상황에 맞추어 바꾸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배달’이다.
배달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되기 이전부터도 꾸준히 인기가 높아지고 있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되자 외출하지 않는 생활이 권장됐고, 이에 자연스럽게 배달의 빈도가 향상되었다. 꼭 배달 뿐이 아니더라도 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빈도 또한 상당히 늘어났다. 그리고 늘어난 배달량과 포장량 만큼 그와 관련된 폐기물 또한 늘어나게 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기존 매립장들이 잔여 매립공간이 얼마 남지 않고, 일부는 수용량을 넘어선 ‘과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어 폐기물의 적합한 처리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졌다. 이에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실시, ‘재활용 도움센터 설립’ 등 재활용 가능 자원의 자원순환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실시해왔다. 그러던 중 ‘배달용기’와 ‘포장지’ 폐기물이 늘어나는 상황에 놓였고, 이를 적절히 처리해야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서로간의 거리유지로 전염병을 방지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거리두기로 인해 바뀐 생활방식이 우리 생활환경을 망가뜨리지 않도록 좀 더 세심하게 관심을 기울이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 코로나 19에 이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폐기물 포화문제까지 겪지 않기 위해선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할까? 지금까지 해왔던 폐기물 분리배출 노력에 아주 살짝만 더해서 ‘새롭게 늘어난 폐기물’들을 올바로 배출하도록 조금 더 신경쓰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포장비닐이나 배달용기, 종이에 기름이나 소스가 묻었다면 따로 분리해 가연성으로 버리자. 특히 플라스틱 용기도 이물질이 잔뜩 뭍어 있다면 분리배출이 어려우므로 가능한 새척 후 재활용으로 배출하면 좋다. 혹시 페트병이 생겼다면, 현재 페트병 별도배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별도배출 함이 설치된 공동주택이거나 근처에 재활용도움센터가 있는 곳이라면 페트병만 구분해서 분리배출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2020년 일상들의 많은것이 바뀌었다. 하지만 변하는 삶 속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것들도 여럿 존재한다. 답답한 상황이 우리에게 번거로움을 주고 있지만 그럼에도 잠시 시간을 갖고 우리가 해야할 일들을 차분히 해나가야, 현 상황을 극복하고 극복 이후의 생활도 문제없이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상황속 사회적 거리두기, 자신도 관리하기, 폐기물도 가려 버리기. 함께 지켜 슬기롭게 우리 자신과 우리들의 생활환경을 지켜나가는 관리왕이 되보는건 어떨까?

No 제목 이름 날짜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