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없는 섬" 제주 구현 노력
2020-12-15 09:54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우리나라 청정지역을 대표하는 제주에 미세먼지에 이어 오존까지 덮치면서 오존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대기오염도 측정사이트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오존은 대기 중에 배출된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이 자외선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2차 오염물질이다. 오존에 반복해서 노출되면 가슴 통증, 기침, 메스꺼움, 목 자극 등의 증상을 보이고 기관지염, 심장질환, 폐기종 및 천식을 악화시킨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자동차, 화학공장, 정유공장과 같은 산업시설과 자연적 생성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다. 오존의 주범인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자동차도 제주에서 몇 년 새 크게 증가했다.
이런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탄소 없는 섬’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도내 모든 전력을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하고 수송 수단 전체를 전기차로 대체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자립을 이루며 신기후 체제에 대응한다. 현재 도내 차량 중 전기차는 5%의 점유율을 달성하고 있다. 전기차를 대중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제주도는 전기렌터카 도입 시 렌터카 등록기준 완화, 차령 연장 등 차별화된 인센티브를 확대·개선 추진해 나가고, 전기렌터카 사용 유도를 위한 이용자 위주의 가치관광 및 환경보전에 대한 자긍심 고취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도내 차량 감차정책과 연계하여 내연기관 차량 폐차와 감차 유도 정책도 확대 진행된다. 종전 내연기관 차량을 폐차한 후 전기차 구매 시 150만원 추가 지원과 더불어, 내연기관 차량을 도외로 이전 후 전기차 구매 시에는 이전비용 50만원을 일부 지원한다. 이 외에도 전기차 공영주차장 이용 시 감면제도 확대, 집중충전소 확대 등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제주도에서는 노력을 하고 있다.
바람의 섬 제주의 평균 풍속은 7m/s로, 다른 지역에 비해 풍력발전에 적합하다. 무한한 바람과 바다로 둘러싸인 섬의 환경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은 제주 신재생 에너지 사업의 가장 중요한 축이다.
압도적인 전기차 선도 도시로서의 지위와 섬의 자연적 특성으로 인한 강력한 바람은 그린 에너지 산업을 위한 제주가 가진 가장 큰 자원이다. 이렇게 주도적이며 주체적으로 전기차 이용을 선도하고, 자연적 특성을 이용해 제주를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

No 제목 이름 날짜
4014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특별지원활동프로그램 '1분기 생일…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5-08
4013 혼자가 아닌 함께, 제주가치돌봄으로 따듯한 동행을 시작하세요  ×1 ×1 제주시 주민복지과 고수정 05-08
4012 자연재해는 막을 수 없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장명서 05-07
4011 (기고)봄철 공사장 화재, 작은 주의가 큰 안전을 만든다.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한울 05-07
4010 구좌119센터, 구좌읍사무소에서 여름철 풍수해 대비 수방장비 교육 실시  ×1 구좌119센터 소방사 김경민 05-07
4009 2024년 사상 가장 더운 해,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2025년에는 더 이상 좌시…  ×1 김제현 05-05
4008 제주 장애인 휠네비길, 모두를 위한 길이 되려면  ×1 김제현 05-05
4007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삼성드림클래스' 운영기관 선정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6 - - 04-29
4005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지원협의회와 함께하는 진로 특강' 운영  ×1 서귀포시청소년수련관 방과후아카데미 04-29
4004 봄철, 안전한 산행을 위한 안전수칙  ×1 서귀포소방서 동홍119센터 문해민 04-29
4003 가정의 달 맞이‘청소년 주류 제공 주의보’  ×1 서귀포시 위생관리과 한정숙 04-29
4002 2025년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분과 민·관 협력 공동사업 시민건강… 제주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04-28
4001 따뜻한 동행  ×1 윤매순 04-27
4000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 자원봉사 기초교육’ 진…  ×1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4-25
3999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8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1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04-25
3997 신재생에너지 포괄적 권한 이양과 관련하여  ×1 ×1 김정혁 04-25
3996 (기고)불법 소각, 그 감당 못할 책임에 경각심을  ×1 구좌여성의용소방대장 오춘미 04-24
3995 산불없는 제주를 위해 모두가 지켜주세요.  ×1 부재윤 04-22
3994 (기고) 한번에 뚝딱 완성되는 숲은 없다.  ×1 제주시 양은옥 04-22
3993 고사리철 이것만은 지켜주세요!  ×1 고기봉 04-18
3992 [기고] 자연재해! 준비는 지금! 풍수해·지진재해보험으로 안심하세요.  ×1 장명서 04-18
3991 보이지 않는 곳에서 청정 제주의 미래를 지키는 하수처리 이야기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4-17
3990 [기고] 청년농업인, 지속 가능한 농업의 미래를 여는 열쇠  ×1 ×1 오종훈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