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위기. 기후변화라는 판도라 상자
2020-09-18 20:43
유승훈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보기
하늘을 지배하는 신 제우스는 인간과 동물에게 재능을 부여하는 신 에피메테우스와 그의 아내 판도라에게 선물로 상자를 건네며 말했다. “이 상자를 받아서 안전한 곳에 고이 간직하거라. 하지만, 미리 일러두건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이것을 열어 보면 안 된다.” 하지만 판도라는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상자를 열고 만다. 상자를 열자증오, 잔인성, 굶주림, 고통, 질병 등 장차 인간이 겪게 될 온갖 재앙이 쏟아져 나왔다고 한다.

호주, 미국 서부의 초대형 산불, 중국 남부를 휩쓴 홍수, 한국 역대 최장기 장마, 시베리아 38도 폭염 등 지금 우리는 기후변화라는 판도라 상자를 조금씩 열고 있다. 기후란 일정한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대기현상의 평균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즉, 쉽게 변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기후도 태양에너지 변동 등 자연현상에 의해 수십 또는 수백 년 정도의 긴 주기를 가지고 변한다. 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한 인위적인 변화이다. 특히 지구평균온도 변화는 심각한데, 지난 1만년 동안 자연에 의해 4℃ 상승하였지만, 산업화 이후 인간에 의해 100년만에 1℃가 상승했다. 세계 기후과학자들은 여기서 1℃가 더 상승하면 우리 인류가 단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환경에서 살아가야 한다고 경고한다.

기후변화가 무서운 이유는 무엇일까? 발생 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는 전염병, 모든 것을 휩쓸고 가는 태풍. 정말 무서운 것들이지만 더 무서운 것이 식량위기이다. 전염병이든, 태풍이든 언젠가는 극복될 것이고 먹고 살 수는 있다. 하지만 더이상 먹을 게 없다? 이건 계산 불가능한 위험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온도에 따른 생산량의 변화는 섭씨 30도 이전에는 크지 않지만, 온도가 30도 이상 올라가는 순간 급격하게 감소한다고 한다.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미래에는 작물 생산량 감소가 빈번할 것으로 예상된다. 심지어 세계인구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어, 식량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다. 국내 식량자급률 46.7%(2018년 기준)로 쌀을 제외한 대부분의 곡물류를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가장 먼저 위기를 맞을 수 있다.

판도라의 상자에 마지막으로 남은 것은 '희망'이었다. 우리 인간들이 갖가지 불행을 겪으면서도 살아갈 수 있는 건 바로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가급적 채식을 하는 일은 기후변화로 인한 현재의 불행속에서도 희망을 남겨두는 일이다.

No 제목 이름 날짜
2796 제주도를 지키기 위한 환경보호 운동이 필요합니다.  ×1 이소민 12-08
2795 애물단지가 되어버린   ×1 고동훈 12-08
2794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품 사용량 늘어나  ×1 백지원(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12-08
2793 기고.  ×1 고기봉 12-07
2792 (기고)극심해지는 지구온난화, 우리의 생활습관 성찰 및 고안  ×1 강향기나 12-04
2791 도민들의 무관심 속에 사라져가는 제주 용천수  ×1 이창석 12-03
2790 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정책적 뒷받침 절실  ×1 허예진 12-03
2789 업사이클링, 환경 프로그램으로 개발해보자  ×1 김유미 12-02
2788 친환경=석유의 감소  ×1 김선준 12-02
2787 "나 하나'쯤이야'" 가 아닌 "나 하나'부터'"  ×1 ×1 양준호 12-01
2786 코로나 19로 인한 환경오염, 무엇이 문제인가  ×1 강연지 11-30
2785 질병치료에 좋은 민간치료법~, 영어 쉽게 정복하는 법~ 유익한 11-30
2784 제주도농아복지관, 권익옹호교육 실시  ×1 제주도농아복지관 11-27
2783 [기고] 안전한 제주시 만들기, 우리 함께 해요  ×1 ×1 이호동 김건 11-26
2782 제주도내 쓰레기로 방치된 오름들 이대로 괜찮은가  ×1 ×1 고동현 11-25
2781 민관이 함께 지켜야할 다중이용실설 비상구  ×1 ×1 남원119센터-김슬기 11-24
2780 대기오염의 심각성과 정부와 개개인의 노력  ×1 강길현(제주대학교 행정학과 11-23
2779 보조 배터리 재활용 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1 고기봉 11-22
2778 (기고)공공장소에서 지켜야 하는 필수 에티켓   ×1 이호동주민센터 김정희 11-19
2777 [독자투고] 코로나19 재확산, 로컬푸드로 이겨내자  ×1 비밀글 임관규 11-18
2776 [기고]농촌에 부는 스타트업 바람을 기대하며  ×1 송민형 11-17
2775 (독자투고) 어울림과 멀어짐으로 계획하는 김장김치 담그기  ×1 유승훈 11-17
2774 [기고]우리 집 안전한 겨울나기 첫 걸음, 주택용소방시설  ×1 양승호 11-14
2773 (기고)고향을 지키는 슬기로운 선택, '고향세'  ×1 임규현 11-12
2772 체육종목별회장선거에대한우려  ×1 김병우 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