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추석에는...
2020-09-14 16:25
허성환 (Homepage : http://)
이번 추석에는....hwp ( size : 15.50 KB / download : 7 )

원본 이미지 보기
이번 추석에는...

코로나19가 1차 팬데믹을 넘어 전국에 2차 확산으로 연일 퍼지고 있다. 서울등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시행중이고, 일부 지자체도 강화된 행정명령을 내리는 등 코로나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와중 어느새 민족 최대 명절중 하나인 추석이 다가왔다. 코로나 사태 이전 같으면 벌써 마음은 고향에 가있겠지만 지금은 상황이 너무 긴박하다. 게다가 추석 대목이 다가오면서 또 다른 걱정거리가 생겼다. 바로 추석명절 사전 연례행사인 벌초다. 예부터 벌초는 한식이나 추석 전에 조상들을 기리기 위해 묘에 자란 풀을 베어 깨끗이 하고 주변을 정리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풍속이다. 이전부터 벌초 대행업체에 맡기는 경우가 드물었지만, 작금의 현실(코로나 펜데믹)에서는 예전처럼 오랜만에 만난 친인척이 못 다한 얘기를 나누고 음식도 나눠먹으며 정담을 나누는 것 그 자체는 좋지만, 코로나가 만연한 작금의 바이러스 전쟁 중에서는 방역상 옳지 않다.

그럼 안전한 언택트 벌초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무엇보다 중요한 수칙은 사람들끼리 접촉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다. 먼저 친인척 전체가 모이지 말고 직계가족별 벌초산소를 분산 지정하여 5명 이하의 소수인원이 떨어져 벌초를 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작업 범위를 축소해 꼭 필요한 직계산소는 직접 후손들이 하되, 반경을 벗어난 지역은 대행업체에 의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물론 대행업체도 모여서 작업하지 않고 떨어져 개별 맡은 산소를 벌초해야 할 것이다. 작업시간을 최소화하고 벌초 후 음식을 전처럼 같이 먹는 것은 절대 자제해야 한다.

코로나 2차 확산시기인 요즘 직접 함께하는 벌초를 지양하고, 코로나가 조금 누그러지면 추석 이후가 되더라도 그 때 벌초와 성묘를 하는 방법도 좋은 묘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 펜데믹 이전(CB) 벌초가 이뤄지는 요즘부터 추석연휴까지가 코로나 확산의 분수령이 되는 중요한 시기임은 누구나 알고 있다. 따라서 벌초, 추석, 성묘로 이어지는 적어도 이번 대목과 추석명절만은 지역간 이동, 대인 접촉을 최대한 자제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비대면 벌초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2차 확산을 막기 위해 중요하다.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이미 벌초와 성묘가 시작되었다. 과거처럼 벌초와 관련된 사건·사고가 아닌 적어도 이번 명절 벌초는 방역을 준수하는 벌초나 대행으로 조상을 섬기는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을 행하기를 기대해 본다.

기쁨과 보람으로 마쳐져야 할 벌초가 순간의 방역사항 미준소로 코로나 확진이라는 슬픔으로 얼룩지면 안 될 것이고, 반드시 방역사항에 한 번 더 신경을 기울여 안전한 비대면·언택트 추석 명절을 보냈으면 한다.

농협구미교육원 허성환 교수
☏010-2805-2874

No 제목 이름 날짜
3948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AI(인공지능)를 활용한 자기주도… (사)제주YWCA중등청소년방과후아카데 02-08
3947 디지털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리들의 자세  ×1 제주개발공사 정보관리팀 고상혁 02-07
3946 선박 안전운항 준수해야  ×1 비밀글 고기봉 02-06
3945 우리집 작은 소방서 '주택용 소방시설'  ×1 아라119센터 소방교 오수홍 02-05
3944 {기고} 신구간 이사철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 가이드  ×1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2-04
3943 꾸준함이 전문가를 만든다!  ×1 아라동주민센터 산업팀장 차무관 01-31
3942 여성긴급전화1366 제주센터에 후원해주셨습니다 1366제주센터 01-31
3941 [기고]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요양시설, 화재 예방이 생명  ×1 구좌119센터 소방사 오승근 01-30
3940 (사)제주YWCA, 제58차·제4차 정기총회 개최  ×1 (사)제주YWCA 01-21
3939 (사)제주YWCA, 창립 70주년 기념식 성황리에 마무리  ×1 (사)제주YWCA 01-21
3938 <플라스틱의 딜레마, 우리는 어떻게?>  ×1 제주개발공사 품질관리팀 이정헌 01-21
3937 즐거운 겨울철 산행을 위한 팁  ×1 제주소방서 119구조대 김현진 01-21
3936 전기자전거 구입 지원, 더 가까워진 녹색제주  ×1 오명수 01-20
3935 두 바퀴로 여는 제주의 푸른 미래  ×1 오명수 01-14
3934 [기고] 119구급대원 꿈을 위한 아라119센터 소방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한지원 01-10
3933 어른다운 어른이 되어야 한다 비밀글 김수현 01-09
3932 우리는 알게 모르게 유교(儒敎)적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1 제주특별자치도향교재단 01-07
3931 [기고] 효돈119센터에서의 실습을 마치며  ×1 박서현 01-07
3930 [기고] 불법현수막 없는 도시, 함께 만드는 깨끗한 미래  ×1 아라동 표세진주무관 01-07
3929 나의 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 이번 실습  ×1 현종민 01-07
3928 생명의 존귀함을 대하는 119 구급대원의 자세  ×1 ×1 고서현 01-06
3927 [기 고 ]전기자전거로 그리는 제주의 새로운 일상  ×1 오명수 01-06
3926 [기고] 구좌119센터 실습을 마치며  ×1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윤고은 01-03
3925 산분장: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장례 문화 비밀글 전윤경(농협경주교육원 교수) 01-03
3924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제주도본부,유진주간활동센터에 10년간 기부금 전달  ×1 김경민 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