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해지는 가을 태풍 철저한 대비 필요
2020-07-07 16:33
김태종 (Homepage : http://)
기고문.hwp ( size : 129.50 KB / download : 27 )
강력해지는 가을 태풍 철저한 대비 필요

최근 일본과 중국에서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적어도 170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되는 등 인명·재산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제주지역도 집중호우에 대비한 예방책으로 잘 견디어 내야겠다. 이제 조금 있으면 장마전선이 우리나라에서 물러나면서 폭염이 이어질 것이고 여름 내내 달궤진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최고치에 이르러 태풍이 북상하는 8~9월을 맞는다. 작년에는 평년 3.1개보다 많은 태풍 7개가 한반도를 거쳐 갔다. 게다가 가을에 접어든 9월에만 3개의 태풍이 발생,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다. 근대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태풍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강력해지고 있고, 가을 태풍 발생 빈도는 점차 잦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큰 인명과 재산 피해를 남겼던 가을 태풍은 1959년 9월 '사라'(SARA), 2003년 9월 '매미'(MAEMI), 2007년 9월 '나리'(NARI), 2016년 10월 '차바'(CHABA)가 기억난다. 특히 '매미'는 제주에서 순간최대풍속이 초속 60m를 기록하는 등 역대 가장 강력한 가을태풍으로 볼 수 있다. 높아진 바닷물의 온도 때문에 가을 태풍은 여름에 발생하는 태풍보다 더 위력적일 수 있다.
태풍은 강력한 바람과 함께 엄청나게 많은 비를 뿌린다. '나리'가 상륙한 2007년 9월 16일 제주에서는 하루 420㎜의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일일강수량 역대 1위를 기록했다. 2014년에는 태풍 '나크리' 영향으로 8월 2일 하루 한라산 윗세오름에 1천182㎜의 비가 내렸다. 2015년에는 태풍 '찬홈' 영향으로 7월 11일부터 13일 오전 6시까지 윗세오름에 1천432.5㎜라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기도 했다.
기상청은 태풍정보 서비스 개선에 따라 종전 강도 ‘약’은 ‘-’로 표기하고, ‘중’, ‘강’, ‘매우강’에 올해부터‘초강력’을 신설하여 태풍의 강도를 분류한다. '초강력'은 최근 10년간 발생한 태풍의 강도 중 상위 10%에 해당하며, 중심 부근 최대풍속 초속 54m 이상인 태풍을 말한다. 이 같은 초강력 태풍은 과거 태풍을 기준으로 2003년 '매미(65m/s)'와 2012년 '산바(56m/s)'가 해당한다. 기상청 국가태풍센터는 올해 여름철 태풍이 평년(11.1개)과 비슷한 9∼12개가 발생하며 이 중 2∼3개가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7월현재까지는 2개의 태풍(제1호 봉풍, 제2호 누리)이 발생한 상태이다.
태풍과 대설, 집중호우 등 모든 자연재해 중에서도 태풍이 제주도에 미치는 피해는 실로 엄청나다. 지난 1959년부터 2019년까지 각종 자연재해로 제주에는 315명(사망 83명, 실종 55명, 부상 177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집계된 재산피해는 4천683억원에 달한다. 이 중 제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태풍(71개)에 의한 인명피해는 268명(사망 63명, 실종 29명, 부상 176명), 재산피해는 4천142억원으로 전체의 85.1%, 88.5%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에 가장 큰 인명피해를 남긴 태풍은 1959년 '사라'로 118명(사망 11명, 부상 107명)이고 재산피해만으로는 2007년 '나리'(1천307억원)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태풍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유비무환의 자세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우리도에서는 태풍, 호우 등 풍수해 대책기간(5.15.~10.15.)을 정하고 대비책을 마련하여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다. 우선 여름철 풍수해 사전대비 T/F팀 구성·운영과 한 단계 빠른 상황대처 및 24시간 비상근무체계 구축을 위한 상황경보통합상황실을 상시 운영하고 있다. 또한 재해취약지역(790개소) 실태점검 및 정비 실시와 인명피해우려지역(89개소) 관리체계 및 주민대피체계를 구축완료 했다. 하천, 하수도, 저류지, 도로변 배수로 등 중요 방재시설물(1,041개소)을 점검 및 정비하고 재해영향평가 협의 사업장(77개소)에 대한 이행실태 점검을 실시했다. 상습침수도로(3,760m) 및 둔치주차장(1개소)에 대한 교통대책을 마련하고 자연재난 대처 행동매뉴얼 정비와 자연재난 피해예방 요령 홍보 및 훈련도 실시했다. 앞으로 태풍래습에 따른 재난대비를 철저히 준비하여 도민의 인명과 재산피해 예방 및 도민불편 최소화를 위해 만전을 기하고자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자연재난팀장 김태종

No 제목 이름 날짜
3823 이대로 가다간 ‘제주 삼다수’가 없어진다고?  ×1 오세빈 09-29
3822 [기고]소방시설의 철저한 관리가 안전을 지킵니다.  ×1 ×1 노형119센터 소방사 강정준 09-28
3821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처 요령  ×1 ×1 이상수 09-27
3820 전기차 화재 시 안전한 대처 요령  ×1 ×1 이상수 09-27
3819 앞으로 명절 선물로 손편지를 써보자!  ×1 송연지 09-27
3818 제주 푸드테크 스타트업, 자생력 기반의 지속 성장 필요성  ×1 조유진(제주대학교) 09-26
3817 공직자의 사명감  ×1 ×1 제주특별자치도감사위원회 도민감사관 09-26
3816 제주 장애 대학생들을 위한 취업·진로 관련 프로그램 운영  ×1 김민성 09-25
3815 우리동네 주민자치 시범실시환영합니다 동홍동주민 09-25
3814 죽 한그릇에 담긴 격세지감  ×1 김계담 09-24
3813 소화전 불법 주정차 금지는 나로부터  ×1 ×1 고길훈 09-24
3812 (기고)2024 제주시 소상공인 한마음 박람회 초대  ×1 ×1 이수현 09-23
3811 (기고문) 9월달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1 삼도1동 09-23
3810 하수슬러지 처리과정을 소개합니다  ×1 상하수도본부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 09-23
3809 계속되는 오염수 방류,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비밀글 고은서 09-23
3808 지구와 인간의 지속적 공존을 위한 실천교육의 필요성  ×1 오세빈 09-22
3807 환경을 생각하는 우리의 작은 노력이 더 큰 미래를 만든다.  ×1 고기봉 09-20
3806 환경을 지키는 작은 실천  ×1 ×1 청정제주환경모니터단 09-20
3805 도민행복일자리박람회, 제주일자리의 미래와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기회의…  ×1 제주특별자치도 고용센터과 박소현 09-18
3804 공직자의 청렴관  ×1 ×1 도민감사관 김용균 09-16
3803 [기고] 화재 없는 풍성한 한가위!  ×1 ×1 효돈119센터 소방교 장재혁 09-15
3802 기후위기, 은행이 해결할 수 있을까?  ×1 김현우 09-12
3801 지속 가능한 하수 이송체계 구축  ×1 상하수도본부 하수도부 이윤재 주무관 09-11
3800 제주 향토음식을 담은 새로운 유튜브 채널, '시즈널 딜라이츠'  ×1 ×1 김건우 09-11
3799 [기고]제주 행정구역 개편, 도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려야  ×1 강승현 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