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률과 환경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생활 속 작은 변화를 바라며
2019-12-16 01:09
|
|||
---|---|---|---|
강준형 (Homepage : http://)
|
|||
10년 전 중·고등학생 시절에 나는 캔 음료나 길거리 음식들을 먹고 나온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공원에 비치된 ‘삐그덕 삐그덕’ 소리 나던 은색 쓰레기통이나 공공화장실 세면대와 대변기 칸마다 비치됐던 파란색 휴지통을 찾아다니며 버리곤 했고 가정에서 발생하던 쓰레기들도 한데 모아 아무렇게나 비닐에 싸서 배출하였다. 하지만 요즘은 어떠한 공원, 공공화장실에서도 쓰레기통을 찾아 볼 수 없게 되었고 집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들도 요일별 배출제 도우미 관리‧감독 하에 쓰레기를 분류하지 않고서는 클린하우스 등에 버리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환경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나를 비롯하여 많은 도민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시작된 정책들이고 이로 인하여 실제로 많은 도민들의 환경인식은 높아졌고 함부로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 또한 많이 줄었다. 뿐만 아니라, 빨대 없이 얼음 음료를 먹을 수 있는 일회용 컵 뚜껑과 플라스틱을 대체 한 종이 빨대 등의 제품들이 개발되며 이런 제품들을 사용하는 커피숍이 늘기 시작하였고 거의 모든 음식점에서는 종이컵, 나무젓가락 등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일반 소비자와 나란히 공급자들도 함께 환경 인식과 쓰레기 분류배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개선돼야 할 곳이 많다. 혼밥족 등이 늘면서 편의점 등에서 손쉽게 데우기만 하면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데 편의점에서 먹고 난 후 쓰레기를 처리하려고 보면 쓰레기통이 음식물쓰레기, 병‧유리, 일반쓰레기로만 분류되어 있는 곳이 대부분이고 이로 인하여 종이, 플라스틱 쓰레기등 일반쓰레기가 아닌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들도 일반쓰레기통에 버려지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관공서 등에 흡연부스들이 설치되어 있지만 부스 내 재떨이를 보면 담배꽁초와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통이 일원화 되어 여러 쓰레기들이 분류되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버려지고 있다. 아직 우리가 신경 쓰지 못한 공간에도 기존 쓰레기통 이외 재활용품별로 쓰레기통을 비치하는 등 사소한 변화를 시도한다면 재활용률은 물론 우리 도민의 환경에 대한 인식도 더욱 높아질 것이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2학년 강준형 |
|
4월의 토요일 물들일 클래식 향연
제주대 조성윤 명예교수에게 듣는 '제주도 주정…
제주 해양관광 '랜드마크' 바다 위 '위미웨이' 걸…
안보실장 교체 '미스터리'.. 용산에 대체 무슨 일…
차별없이 그려낸 세상, 봄처럼 피어나길
[기획] "편지 쓰듯 써 내려간 글… 4·3 아픔 마주…
제주시 단독주택 화재로 80대 남성 1명 화상
[한라일보 저녁잇슈] 2023년 3월 29일 수요일 제주 …
"4·3은 공권력의 가혹함에 대한 제주도민의 자주…
"판·검사 로비해줄게" 사기 친 40대 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