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폐기물 더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없을까?
2019-11-02 14:17
허가람 (Homepage : http://)

원본 이미지 크기입니다.

영농폐기물. 더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없을까?

최근 제주도의 환경오염에 대한 소식이 나날이 들려온다.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필자가 생각하는 원인은 영농폐기물 실질적 처리의 곤란이라고 생각한다. 영농폐기물은 영농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 재배용 하우스나 비 가림용의 폐비닐, 폐농약병을 말한다.

농업인들은 영농폐기물 배출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농경지에 무단 방치하거나 노천 소각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로 인하여 농촌지역 토양 및 환경 오염요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나아가 비닐하우스 등 화재로 이어져 농가의 경제 손실로 이어지는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소식을 종종 듣고 있다.

제주도는 감귤로 유명한 만큼 감귤 밭이 많은 만큼 영농폐기물의 양 역시 많을 수밖에 없다. 물론 영농폐기물은 각 밭에서 나름대로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해 노력을 하지만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클린하우스에 가서 분리수거를 하는 것 정도이다. 영농폐기물 집하장이 있기는 하지만 버리는 과정이 까다롭다.

물론 젊은 세대는 인터넷을 이용하면 처리 방법을 알 수 있겠으나 감귤 밭을 경작하는 실질적인 세대는 어르신 세대이다. 인터넷을 제대로 사용하는 법을 모르며 휴대 전화조차 사용 못 하시는 분도 계시다. 이런 분들 대다수는 어디에 영농폐기물 집하장이 있는지 모를 것이고 영농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도 모르실 것이다.

대부분 이동 수단이 오토바이인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폐기물처리는 불가능하다. 물론 읍·면 사무소에서 상·하반기에 동네를 돌아다니며 영농폐기물을 수거해가기도 한다. 하지만 제3자의 입장에서는 버려진 폐기물인지 아니면 사용할 곳이 있어 밭에 가져다 둔 것인지 불확실하고 밭을 일일이 돌아다니는 것 역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네 농약 판매처를 이용을 제안한다. 대부분 지역에는 농약판매처가 있고 지역농민들이 이를 이용한다. 농약판매처에 협조를 구하여 영농폐기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폐기물처리가 쉬워질 것이다.

밭의 위치와 혹시 영농폐기물의 유뮤를 파악하고 그것을 밭의 입구에 꺼내어두게 한다. 그럼 매달 주변 동사무소나 읍사무소에서 농약판매처가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회수하는 것이 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밭에 방치된 영농폐기물은 우리가 쉽게 생각하지 못하는 동시에 쉽게 소재를 파악하기 어려운 폐기물이다. 하지만 환경오염 문제는 서로가 힘을 합쳐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그만큼 각 세대에 맞추어 접근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허가람

No 제목 이름 날짜
3289 한라산지킴이 클린활동 봉사 [1] 박세권 12-08
3288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타세요  ×1 [1] 강원석 12-06
3287 기고문  ×1 김현진 12-06
3286 제주의 바다, 반드시 지켜내야  ×1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김현진 12-05
3285 하논분화구 보존복원  ×1 하논분화구 12-02
3284 세상을 바꾸는 움직임, 그린 컨슈머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길수민 12-01
3283 겨울철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예방 대책 마련 시급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서행환 11-30
3282 기고  ×1 비밀글 고기봉 11-29
3281 기후변화에 대응할 때  ×1 곽현우 11-28
3280 서귀포시노인복지관 2022년 노인인식개선캠페인 진행   ×2 비밀글 허민지 11-25
3279 길거리 흡연, 이제는 없어져야 한다!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권재경 11-24
3278 건강한 제주 만들기는 플라스틱 사용 자제로부터   ×1 행정학과 김소현 11-23
3277 남원119센터, 남원의용소방대 불조심 강조의 달 캠페인 실시  ×1 남원119센터 예방담당 오성룡 11-23
3276 자신의 모습에 끊임없이 집착하는 사람들  ×1 ×1 동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지화 11-22
3275 2022년 후원자·자원봉사자 감사의 날 실시 - 서귀포시홀로사는노인지원센터  ×1 서귀포시홀로사는노인지원센터 11-22
3274 플라스틱 제로 제주 만들기는 플라스틱 사용 자제로부터   ×1 ×1 김소현 11-22
3273 어린이 탑승 주차장을 아시나요! 제주 ‘어린이 탑승 주차장’ 저출산 막…  ×1 행정학과 조예진 11-19
3272 제주경로당 보치아대회에 초대합니다  ×1 제주도청 노인장수복지과 유은숙 11-18
3271 반복하지말자 대형산불  ×1 ×1 김형철 11-17
3270 11-16
3269 순국선열의 희생정신을 국민정신으로.....   ×1 광복회제주특별자치도지부장 강혜선 11-15
3268 플라스틱 라벨 잘 제거하시나요?  ×1 제주대학교 2학년 문동혁 11-14
3267 긍정적 사고가 성공으로 이끈다..  ×1 고기봉 11-12
3266 남원119센터, 불조심 강조의 달 화재 예방 교육  ×1 남원119센터 예방담당 오성룡 11-11
3265 제주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도, 개선과 보완의 필요성  ×1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정연아 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