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8.중론(中論, Mādhyamaka-śāstra)(4회)-제4장 관오음품(觀五陰品)(9偈) : 오온(五蘊)에 대한 관찰
2022-10-20 12:42
|
|
---|---|
박규택(華谷).孝菴 公認 大法師 (Homepage : https:blog.naver.com/parkgt1459)
|
|
『중론(中論)』에 포함된 청목(靑目)의 주석은 『중송(中頌)』의 여러 주석들 중의 하나이다. 『중송(中頌)』은 용수(龍樹의 초기 작품으로서 초기 및 중기 대승불교사상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으며 그 후의 대승불교의 사상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대승불교의 중심을 이루는 중관사상의 요체가 이 책에 설파되어 있다. 중국 삼론종의 학승인 길장(吉藏, 549년 ~ 623년)은 『삼론현의(三論玄義)』에서 『중론』의 근본 입장[종(宗)]은 이제(二諦)이며 또한 이제는 중도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중론』의 주제는 연기라고 명시하였다. 인도 대승불교의 대표적 논서. 전 4권. 용수가 저술한 약 450의 게송과 후에 부가된 주석을 합쳐서 말한다. 원명은 『물라마디야마카카리카(Mūlamadhya-makakārikā)』 또는 『마디야미카샤스트라(Madhyamikaśāstra)』.산스크르트 원전, 티벳어역, 한역(쿠마라지바 역)이 현존한다. 인도의 중관파, 중국의 삼론종의 중심전적. 용수의 송(頌)은 간결한 게문으로 되어 있으며 27장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 논은 모두 4권으로 용수가 짓고 구마라집(Kumarajiva, 鳩摩羅什 344~413)이 다소 수정을 가해 한역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앞으로 27회에 걸처 설명하기로 한다. |
|
서귀포지역 매화 전년보다 12일 늦게 개화
제주시민단체 "공공주도 2.0 풍력개발 계획 철회…
일본 고교 사이클 선발팀 3년 만에 제주서 전지…
故 고행선 큰심방 무구자료 80건 민속자연사박물…
'찰칵 세리머니' 렉섬 아쉽게도 FA컵 5라운드 진…
'수소 트램' 도입 가능성은?.. 논의 구체화 장 열…
국민 10명 중 8명 한 달 한 번 이상 산이나 숲으로…
제주 해녀 안전 사고 잇따라…주의보 발령
제주 유통 도민 먹거리 "마음 놓고 드셔도 됩니…
민관배달앱 '먹깨비' 고전.. '배민' 장벽 못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