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유마경(維摩經, Vimalak?rti-nirdesa-S?tra)』 해설(解說)(10회)-제10장 향적여래의 향기로운 공양(향적불품:香積佛品)
2021-03-25 13:24
|
|
---|---|
박규택(華谷).孝菴 公認 大法師 (Homepage : http://)
|
|
종래 출가교단의 권위주의와 보수주의에 대한 사상적 비판이 실려 있는 이 경전의 원형은 이미 대승불교가 발흥하기 시작하던 서기 1세기경에는 성립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범어원전이 처음 한역된 시기가 서기 188년 이므로[후한 엄불조 역 고유마힐경, 실전(後漢 嚴佛調 譯 古維摩詰經, 失傳)] 적어도 서기 1세기경에는 이 경전의 원형이 성립되어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본 경은 옛부터 7역 3존(七譯三存)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즉 일곱 차례 한역되었으나 세 가지 역본(譯本)만이 전해진다는 것이다. 7역(七譯) 3존(三存)은 다음과 같다. 1) 서기 188년(中平 5年) 후한(後漢) 엄불조(嚴佛調) 譯 『고유마힐경(古維摩詰經)』 2권(失傳) 2) 223년(建興 1年) 오(吳) 지겸(支謙) 譯 『불설유마힐경(佛說維摩詰經)』 3권(存) 3) 291년(元康 元年) 서진(西晋) 축법란(竺法蘭) 譯 『비마라힐경(毘摩羅詰經)』 3권(失傳) 4) 303년(太安 2年) 서진(西晋) 축법호(竺法護) 譯 『유마힐소설법문경(維摩詰所說法門經)』 1권(失傳) 5) 중국 진(秦)나라 동진(東晋, 317년∼420년) 우전인(于?人) 기다밀(祇多蜜, Gi-tamitra) 譯 『유마힐경(維摩詰經)』 4권(失傳) 6) 406년(弘始 8년) 후진(後秦) 구마라집(鳩摩羅什) 譯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 (存) 7) 650년(영휘:永徽 元年, 一說 貞觀年中) 당(唐) 현장(玄裝) 譯 『설무토구칭경(說無土垢稱經)』 6권(存) 이상의 7역 3존 가운데 현존하는 역본은 지겸(支謙, 1145년~1229년)·구마라집(鳩摩 羅什, Kumarajiva 344~413)·현장(玄?, Hsuantsang 602~604)에 의한 3역본(三譯本)이다. 특히 구마라집의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은 유마경(維摩經)이라는 약칭으로 가장 널리 독송되어 왔으며 아름답고 힘찬 문체로 유명하다. 구마라집 역 유마힐소설경의 전(全)14품명(品名)을 14회에 걸쳐 살펴보기로 한다. |
|
제주 온열질환 추정 80대 밭에서 숨진 채 발견
수령 72년 추정 한라산 '구상나무 대표목' 공개
서귀포시 기당미술관, 여름방학 어린이미술학교…
서귀포관악단 제88회 정기연주회 '3개의 춤·우주…
나비 연구·제주학 아우른 석주명의 일생… '제…
1인당 15만∼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어떻게 받…
제주서 경운기 뒤집혀 80대 중상... 11시간만에 구…
제주국제아트페어 개막… 국내외 52곳 갤러리 참…
하버드대 아카펠라·제주 학생들 함께 4·3을 노…
제주 양지공원 7월 윤달 기간 개장유골 화장 2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