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일보] 제주관광공사의 만성적인 적자가 도의회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제주도로부터 연간 수백억원 이상의 공기관 대행사업비와 인건비 등을 지원받고 있지만 만성적인 적자구조에 시달리고 있어서다.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는 지난 21일 제주도 관광교류국 소관 공기관 대행사업을 집중 질타했다. 내년 예산에서 관광교류국 소관 공기관 대행사업은 78건·232억원이다. 대부분 관광공사가 위임받아 수행한다. 또 관광공사는 제주도로부터 매년 운영비와 인건비 명목으로 70억원을 지원받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지원에도 면세점 수익이 악화되면서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강철남 의원은 "수익은 별로 없는데 사업은 과도하게 몰려 있다"며 "관광공사가 관광마케팅과 같은 본업에 집중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공기업 존재 이유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고 일침을 가했다. 특히 공기관 대행사업이라는 간접적 수익구조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점도 지적을 받았다. 더불어민주당 김대진 의원도 "면세점 특허권이라는 엄청난 메리트를 갖고 있음에도 적자운영이라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수익이 나지 않는 구조라면 도민부담만 커질 뿐"이라고 비판했다.
관광공사의 만성적인 적자 운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면세점 수익 악화라는 구조적 문제가 원인이지만 경영개선을 위한 부단한 자구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조직에 대한 종합 진단을 통해 슬림화시키고 공기관 대행사업의 수익성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 기존 운영방식에 대한 과감한 혁신이 뒤따라야 한다.
■기사제보▷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