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영의 문연路에서] 도민 삶을 지탱하는 힘, 사회복지 가치

[강하영의 문연路에서] 도민 삶을 지탱하는 힘, 사회복지 가치
종사자들 열악한 환경 속
묵묵히 참아내며 헌신 중
복지정책 전문성 초점둬야
  • 입력 : 2025. 09.23(화) 03:40
  • 고성현 기자 kss0817@ihalla.com
  • 글자크기
  • 글자크기
[한라일보]지난 9월 7일은 제26회를 맞이한 사회복지의 날이었다.

나는 제주특별자치도의회 12대 의원으로 의회에 처음 입성해 보건복지안전위원회에 배정된지 올해로 4년 차를 맞이한다. 그때만 해도 사회복지는 낯선 분야였다. 법과 제도를 이해하고 정책을 검토해야 하는 책임 앞에서 막막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복지를 단순히 제도적 지원으로만 생각했던 나에게 현장은 전혀 다른 세계였다.

의원으로서 복지를 접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노인, 아동·청소년, 여성, 장애인 등 대상별 복지는 각각 다른 필요를 갖고 있었고, 돌봄·의료·주거·고용 등 분야별 정책도 함께 고려해야 했다. 여기에 세대 간, 계층 간 이해관계와 재원의 배분 문제가 얽혀 있어 단순히 제도로만 해결할 수도 없었다. 결국 균형 있는 정책 조율이 도민 삶의 질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현장에서 만난 사회복지 종사자와 도민들의 이야기는 책에서 배운 것과 다른 현실을 보여주었다. 사회복지는 단순한 제도가 아니라 누군가의 하루와 내일을 바꾸는 힘이라는 것을 절실히 느꼈다. 동시에 현장의 어려움도 알 수 있었다. 사회복지 종사자들은 과중한 업무와 낮은 처우, 열악한 근무 환경 속에서도 묵묵히 도민을 위해 헌신했다. 복지 수요는 꾸준히 늘어났지만 제도적 뒷받침은 여전히 충분하지 않았다.

의정 활동을 이어가면서 복지가 특정 계층을 위한 제도가 아니라 도민 모두의 삶을 지탱하는 기반임을 배울수 있었다. 특히 제주 사회가 직면한 저출생·고령화 문제에서 복지의 역할은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다. 고령화로 인한 돌봄, 아동·청소년 보호, 청년 세대의 불안은 모두 사회복지와 직결된다. 이를 해결하려면 현장의 종사자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앞으로 사회복지 정책은 단순한 서비스 확대가 아니라 종사자 처우 개선과 전문성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인건비 현실화와 인력 확충, 번아웃 예방 체계 마련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특히 도의회는 읍면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교통비 지원, 새로일하기센터 종사자 처우 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으나, 제주도정은 소극적 태도로 일관해 왔다. 현장의 절박한 목소리를 외면하는 것은 도민의 삶과 제주 사회의 미래를 외면하는 일일 것이다.

처음 복지를 접했을 때의 낯섦과 어려움은 소중한 자산이 되었다. 그 경험 덕분에 현장의 목소리를 가까이에서 듣고 정책 방향을 깊이 고민할 수 있었다. 사회복지는 완성된 제도가 아니다. 끊임없이 보완하고 발전시켜야 하며, 그 중심에는 언제나 도민과 종사자가 있다.

도민 곁에서 헌신하는 모든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노력이 존중받고 보상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의회가 더 큰 책임을 다해야 함을 다짐한다. 복지는 공동체의 미래를 지켜내는 힘이며 우리 모두가 함께 키워 나가야 할 가치일 것이다.

<강하영 제주특별자치도의원>



■기사제보
▷카카오톡 : '한라일보' 또는 '한라일보 뉴스'를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 064-750-2200 ▷문자 : 010-3337-2531 ▷이메일 : hl@ihalla.com
▶한라일보 유튜브 구독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홈
  • 메일
  • 스크랩
  • 프린트
  • 리스트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이         름 이   메   일
8127 왼쪽숫자 입력(스팸체크) 비밀번호 삭제시 필요